|
| 1 | +// 시간 복잡도: 트리의 모든 노드를 한 번씩만 방문 -> O(n) |
| 2 | +// 공간 복잡도: 재귀적으로 트리를 구성 -> |
| 3 | +// 트리가 균형 잡힌 경우(즉, 트리의 높이가 log(n)인 경우), 재귀 호출 스택의 깊이는 O(log n) |
| 4 | +// 트리가 편향된 형태(예: 모두 왼쪽 자식만 존재하는 경우)라면, 재귀 깊이는 O(n) |
| 5 | + |
| 6 | +class TreeNode { |
| 7 | + int val; |
| 8 | + TreeNode left; |
| 9 | + TreeNode right; |
| 10 | + |
| 11 | + TreeNode() {} |
| 12 | + |
| 13 | + TreeNode(int val) { |
| 14 | + this.val = val; |
| 15 | + } |
| 16 | + |
| 17 | + TreeNode(int val, TreeNode left, TreeNode right) { |
| 18 | + this.val = val; |
| 19 | + this.left = left; |
| 20 | + this.right = right; |
| 21 | + } |
| 22 | +} |
| 23 | + |
| 24 | +class Solution { |
| 25 | + |
| 26 | + int preIdx = 0; |
| 27 | + |
| 28 | + public TreeNode buildTree(int[] preorder, int[] inorder) { |
| 29 | + if (preorder == null || inorder == null || preorder.length == 0 || inorder.length == 0) { |
| 30 | + return null; |
| 31 | + } |
| 32 | + |
| 33 | + return build(preorder, inorder, 0, inorder.length - 1); |
| 34 | + } |
| 35 | + |
| 36 | + |
| 37 | + private TreeNode build(int[] preorder, int[] inorder, int inStart, int inEnd) { |
| 38 | + // 재귀 종료 조건 |
| 39 | + // 포인터(인덱스)가 배열 길이를 넘었을 |
| 40 | + if (preIdx >= preorder.length || inStart > inEnd) { |
| 41 | + return null; |
| 42 | + } |
| 43 | + |
| 44 | + // preorder 첫 번째 값은 해당 부분 트리의 root 이다. |
| 45 | + int rootVal = preorder[preIdx++]; |
| 46 | + TreeNode root = new TreeNode(rootVal); |
| 47 | + |
| 48 | + // inOrder 배열에서 root 값의 위치를 찾는다. |
| 49 | + int rootIndex = -1; |
| 50 | + for (int i = inStart; i <= inEnd; i++) { |
| 51 | + if (inorder[i] == rootVal) { |
| 52 | + rootIndex = i; |
| 53 | + break; |
| 54 | + } |
| 55 | + } |
| 56 | + |
| 57 | + // root 값을 기준으로 inorder 배열의 왼쪽 부분 배열(inStart ~ rootIndex-1)은 root의 left tree, |
| 58 | + // 오른쪽 부분 배열(rootIndex+1 ~ inEnd)은 root의 right tree 가 된다. |
| 59 | + root.left = build(preorder, inorder, inStart, rootIndex - 1); |
| 60 | + root.right = build(preorder, inorder, rootIndex + 1, inEnd); |
| 61 | + |
| 62 | + return root; |
| 63 | + } |
| 64 | +}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