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import java.util.ArrayList; |
| 2 | +import java.util.List; |
| 3 | + |
| 4 | +/** |
| 5 | + * 가장 먼저 들었던 의문은 왜 dp가 2차원 배열이 아닐까? 였지만, |
| 6 | + * dp를 2차원 자료구조로 선언하는 경우는 경로 저장이나 상태 전이가 2개 이상의 조건에 따라 나눠질 때인데 |
| 7 | + * 이 문제는 1차원으로 해결이 가능한 문제입니다. 가장 중요한 건 “마지막 원소 위치 i”라는 하나의 상태입니다. |
| 8 | + * |
| 9 | + * LIS = "주어진 수열에서 순서를 지키면서 고를 수 있는 원소 중, 값이 점점 커지도록 선택했을 때 만들 수 있는 가장 긴 부분 수열." |
| 10 | + * brute force로 이중 for문을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그래서 for문 + BS를 곁들였습니다. |
| 11 | + * |
| 12 | + * Arrays.binarySearch()는 정렬된 배열에서만 동작하므로 이 문제의 테스트 케이스에 맞지 않습니다. |
| 13 | + * |
| 14 | + * 신규 메서드: Collections.binarySearch() |
| 15 | + * List 안의 요소들에 대해서 이분 탐색을 해서 해당 index를 반환합니다. (없을 경우 -1) |
| 16 | + * 단, list 안의 요소들은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분 탐색의 기본 조건처럼) |
| 17 | + * 신규 메서드 혹은 직접적으로 binarySearch() 메서드를 구현해도 됩니다. 다만 원본 nums를 이분 탐색하는 것이 아니며 |
| 18 | + * 직관적으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간편한 메서드 방식인 Collections.binarySearch()를 사용했습니다. |
| 19 | + * |
| 20 | + * |
| 21 | + * [테스트 케이스 과정 출력] |
| 22 | + * 0 |
| 23 | + * [10] |
| 24 | + * 0 |
| 25 | + * [9] |
| 26 | + * 0 |
| 27 | + * [2] |
| 28 | + * 1 |
| 29 | + * [2, 5] |
| 30 | + * 1 |
| 31 | + * [2, 3] |
| 32 | + * 2 |
| 33 | + * [2, 3, 7] |
| 34 | + * 3 |
| 35 | + * [2, 3, 7, 101] |
| 36 | + * 3 |
| 37 | + * [2, 3, 7, 18] |
| 38 | + */ |
| 39 | +import java.util.*; |
| 40 | + |
| 41 | +class Solution { |
| 42 | + public int lengthOfLIS(int[] nums) { |
| 43 | + List<Integer> tails = new ArrayList<>(); // 길이 k인 증가 수열의 "꼬리 최솟값"들 |
| 44 | + |
| 45 | + for (int x : nums) { |
| 46 | + int idx = Collections.binarySearch(tails, x); |
| 47 | + // 해당 x 숫자를 찾지 못하면 -1을 반환하면 이는 list에서 범위에 벗어나기 때문에 |
| 48 | + // 음수면 삽입 위치로 변환해서 범위 예외를 처리해야 합니다. |
| 49 | + if (idx < 0) idx = -(idx + 1); |
| 50 | + |
| 51 | + // 중요 연산은 더하기와 교체입니다. |
| 52 | + // 가장 크다는 것: 주어진 인덱스와 꼬리 리스트의 길이가 같다. -> 새 subsequence가 생깁니다. |
| 53 | + // 그렇지 않다는 것은 최댓값보다 더 작은 값이 있다는 것, 그 자리를 주어진 x로 교체한다. |
| 54 | + // 결론: 가장 크면 add, 그 외에는 인덱스 자리를 x로 교체 |
| 55 | + if (idx == tails.size()) { |
| 56 | + tails.add(x); // 가장 크면 뒤에 추가 → 길이 +1 |
| 57 | + } else { |
| 58 | + tails.set(idx, x); // 아니면 그 자리의 꼬리를 더 작은 x로 교체 |
| 59 | + } |
| 60 | + } |
| 61 | + return tails.size(); // 꼬리 리스트 길이 = LIS 길이 |
| 62 | + } |
| 63 | +}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