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 |
| 2 | +# Time Complexity: O(m * n), where m = text1.length(), n = text2.length() |
| 3 | +# Space Complexity: O(m * n) |
| 4 | +
|
| 5 | +DP로 접근했습니다. |
| 6 | +text1[0..i], text2[0..j]의 LCS의 길이를 lcs[i][j]라고 정의하겠습니다. (0 <= i < m, 0 <= j < n) |
| 7 | +lcs[i - 1][j - 1], lcs[i - 1][j], lcs[i][j - 1]을 미리 구해두었다면, lcs[i][j]는 아래처럼 O(1)에 계산할 수 있습니다. |
| 8 | +
|
| 9 | +1. text1[i] != text2[j]인 경우 |
| 10 | +lcs[i - 1][j] 를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text1[i] != text2[j]이기 때문에, text1[0..i-1]에 text1[i]를 추가한다 해도, LCS의 길이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
| 11 | +마찬가지로 lcs[i][j - 1] 을 기준으로, text2[0..j-1]에 text2[j]를 추가해도, LCS의 길이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
| 12 | +따라서 lcs[i][j] = max(lcs[i - 1][j], lcs[i][j - 1]) 로 구할 수 있습니다. |
| 13 | +
|
| 14 | +2. text1[i] == text2[j]인 경우 |
| 15 | +이 경우에는, lcs[i - 1][j - 1]에서 구한 LCS에 1글자가 추가되므로, lcs[i][j] = lcs[i - 1][j - 1] + 1 로 구할 수 있습니다. |
| 16 | +
|
| 17 | +3. i = 0 혹은 j = 0인 경우의 예외 로직을 추가하면, LCS의 길이를 구하는 2차원 DP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 18 | +
|
| 19 | +*/ |
| 20 | + |
| 21 | +class Solution { |
| 22 | + public int longestCommonSubsequence(String text1, String text2) { |
| 23 | + int m = text1.length(); |
| 24 | + int n = text2.length(); |
| 25 | + int[][] lcs = new int[m][n]; |
| 26 | + |
| 27 | + for (int i = 0; i < m; i++) { |
| 28 | + for (int j = 0; j < n; j++) { |
| 29 | + if (text1.charAt(i) == text2.charAt(j)) { |
| 30 | + if (i == 0 || j == 0) { |
| 31 | + lcs[i][j] = 1; |
| 32 | + } else { |
| 33 | + lcs[i][j] = lcs[i - 1][j - 1] + 1; |
| 34 | + } |
| 35 | + } else { |
| 36 | + if (i == 0 && j == 0) { |
| 37 | + lcs[i][j] = 0; |
| 38 | + } else if (i == 0) { |
| 39 | + lcs[i][j] = lcs[i][j - 1]; |
| 40 | + } else if (j == 0) { |
| 41 | + lcs[i][j] = lcs[i - 1][j]; |
| 42 | + } else { |
| 43 | + lcs[i][j] = Math.max(lcs[i][j - 1], lcs[i - 1][j]); |
| 44 | + } |
| 45 | + } |
| 46 | + } |
| 47 | + } |
| 48 | + |
| 49 | + return lcs[m - 1][n - 1]; |
| 50 | + } |
| 51 | +}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