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 |
| 2 | +layout: single |
| 3 | +title: "직사각형 돌리기" |
| 4 | +categories: mathematics |
| 5 | +tags: [trivial mathemtics] |
| 6 | +use_math: true |
| 7 | +# publish: false |
| 8 | +# author_profile: false |
| 9 | +# toc: true |
| 10 | +--- |
| 11 | + |
| 12 | +어떤 독서모임에서 「로스할데」에 대해 소개했었는데 기다리다가 문득 다음과 같은 간단한 문제가 궁금해졌다. |
| 13 | + |
| 14 | +$x-y$평면 위에, 인접한 두 변의 길이가 $a$, $b$인 직사각형 $R$이 있다고 하자. |
| 15 | +$R$의 양 변은 각 축과 평행할 필요는 없다. |
| 16 | +이때 $R$의 최대 $x$값, 최소 $x$값, 최대 $y$값, 최소 $y$값을 통해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S$의 넓이는 언제 최대가 되며 그 최댓값은 얼마인가? |
| 17 | + |
| 18 | +위 설명이 조금 descriptive한 설명이었다면, 조금 더 수식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
| 19 | +$$S=\{x:(x,y)\in R\}\times\{y:(x,y)\in R\}$$ |
| 20 | +일 때, $S$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
| 21 | + |
| 22 | +말이 복잡하다. |
| 23 | +그냥 그림으로 보면 쉽다. |
| 24 | + |
| 25 | + |
| 26 | + |
| 27 | +위 그림에서 직사각형 $R=\square ABCD$가 $xy$평면 위에 있고, 이 직사각형의 $x$축 기준으로의 최솟값이 $D$에서 최댓값이 $B$에서 발생하고, $y$축 기준으로의 최솟값이 $A$에서 최댓값이 $C$에서 발생하고 있으니, $B$와 $D$를 각각 지나는 수직선과 $A$와 $C$를 각각 지나는 수평선을 그어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직사각형 $S=\square EFGH$를 생각했을 때, 이 $S$의 넓이는 언제 최대가 되며, 최댓값은 얼마인가? |
| 28 | + |
| 29 | +당연히, 문제는 각도 $\angle BAF$를 $\theta$로 두어 접근할 수 있고, 일반성을 잃지 않고 $0\le\theta\le\frac\pi2$라고 가정할 수 있다. |
| 30 | +문제를 풀기 전에 생각해보면, 당연히 $\theta=\frac\pi4$인 경우에 최댓값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볼 수 있다. |
| 31 | +그럼 왜 그때 최대가 되며, 그 의미는 무엇일지. |
| 32 | + |
| 33 | +주어진 $\theta$의 범위에서 $S$의 두 변의 길이는 |
| 34 | + |
| 35 | +$$ |
| 36 | +\begin{align*} |
| 37 | +EF&=x(B)-x(D)\\ |
| 38 | +EH&=y(C)-x(A)\\ |
| 39 | +\end{align*} |
| 40 | +$$ |
| 41 | + |
| 42 | +임이 명확하다. |
| 43 | +그러면 ($a=AD$, $b=AB$) |
| 44 | + |
| 45 | +$$ |
| 46 | +\begin{align*} |
| 47 | +EF&=a\sin\theta+b\cos\theta\\ |
| 48 | +EH&=a\cos\theta+b\sin\theta |
| 49 | +\end{align*} |
| 50 | +$$ |
| 51 | + |
| 52 | +여서 문제는 |
| 53 | + |
| 54 | +$$A(\theta)=(a\sin\theta+b\cos\theta)(a\cos\theta+b\sin\theta)$$ |
| 55 | + |
| 56 | +의 최댓값을 구하는 문제가 된다. |
| 57 | +단순히 전개하면 |
| 58 | + |
| 59 | +$$ |
| 60 | +\begin{align*} |
| 61 | +A(\theta) |
| 62 | +&=(a^2+b^2)\sin\theta\cos\theta+ab\sin^2\theta+ab\cos^2\theta |
| 63 | +\end{align*} |
| 64 | +$$ |
| 65 | + |
| 66 | +이고 |
| 67 | + |
| 68 | +$$ |
| 69 | +\begin{align*} |
| 70 | +A'(\theta) |
| 71 | +&=(a^2+b^2)(\cos^2\theta-\sin^2\theta)\\ |
| 72 | +&=(a^2+b^2)(\cos\theta-\sin\theta)(\cos\theta+\sin\theta) |
| 73 | +\end{align*} |
| 74 | +$$ |
| 75 | + |
| 76 | +가 되고 |
| 77 | +$A'(\theta)=0$이 되는 유일한 $\theta$는 $\theta=\frac\pi4$가 되며 이때 극댓값을 가지므로 이것은 최댓값이기도 하다. |
| 78 | +그 최댓값은 |
| 79 | + |
| 80 | +$$ |
| 81 | +A\left(\frac\pi4\right)=\frac12(a+b)^2 |
| 82 | +$$ |
| 83 | + |
| 84 | +이다. |
| 85 | + |
| 86 | +어 문제가 너무 쉽게 풀리는데? |
| 87 | +왜 나는 그당시에 $a$와 $b$에 대해 편미분하고 0으로 두었지. |
| 88 | +이 문제를 $a$와 $b$에 대한 함수로 보는게 의미는 크게 없어보이는데. |
| 89 | + |
| 90 | +하지만, 마지막으로 한가지는 언급하고 넘어가자. |
| 91 | +$A(\theta)$는 삼각함수의 합성을 통해 재밌는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
| 92 | + |
| 93 | +각도 $\phi$를 ($0\le\phi\lt2\pi$) |
| 94 | + |
| 95 | +$$ |
| 96 | +\begin{align*} |
| 97 | +\sin\phi&=\frac a{\sqrt{a^2+b^2}}\\ |
| 98 | +\cos\phi&=\frac b{\sqrt{a^2+b^2}} |
| 99 | +\end{align*} |
| 100 | +$$ |
| 101 | + |
| 102 | +를 만족시키는 각도라고 하자. |
| 103 | +그러면 |
| 104 | + |
| 105 | +$$ |
| 106 | +\begin{align*} |
| 107 | +EF |
| 108 | +&=\sin\theta\sin\phi+\cos\theta\cos\phi\\ |
| 109 | +&=\sqrt{a^2+b^2}\cos(\theta-\phi)\\ |
| 110 | +EH |
| 111 | +&=\cos\theta\sin\phi+\sin\theta\cos\phi\\ |
| 112 | +&=\sqrt{a^2+b^2}\sin(\theta+\phi) |
| 113 | +\end{align*} |
| 114 | +$$ |
| 115 | + |
| 116 | +가 된다. |
| 117 | +재밌는건, $\angle CAB$는 $\phi$와 같다고 볼 수 있으니까, 선분 $AC$와 각도 $\angle CAF$를 통해 보면 그림으로부터 $EH=\sqrt{a^2+b^2}\sin(\theta+\phi)$이 명확하다는 거다. |
| 118 | +$EF$도 마찬가지다. |
| 119 | +여하튼, $A(\theta)$는 |
| 120 | + |
| 121 | +$$ |
| 122 | +\begin{align*} |
| 123 | +A(\theta) |
| 124 | +&=(a^2+b^2)\sin(\theta+\phi)\cos(\theta-\phi)\\ |
| 125 | +&=\frac12(a^2+b^2)\left(\sin2\theta+\sin2\phi\right) |
| 126 | +\end{align*} |
| 127 | +$$ |
| 128 | + |
| 129 | +이 된다. |
| 130 | +그럼 $\theta=\frac\pi4$일 때 최대가 되는 게 당연하고 그때의 최댓값은 |
| 131 | + |
| 132 | +$$ |
| 133 | +\begin{align*} |
| 134 | +A\left(\frac\pi4\right) |
| 135 | +&=\frac12(a^2+b^2)\left(1+2\frac a{\sqrt{a^2+b^2}}\frac b{\sqrt{a^2+b^2}}\right)\\ |
| 136 | +&=\frac12(a^2+b^2+2ab)\\ |
| 137 | +&=\frac12(a+b)^2 |
| 138 | +\end{align*} |
| 139 | +$$ |
| 140 | + |
| 141 | +이 되어 이전 결과와 일치한다.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