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하지만 대입법이나 등치법으로 풀릴 수 있는 문제는 모두 가감법으로 풀릴 수 있고 따라서 가감법만 논해도 된다.
67
+
하지만 대입법이나 등치법으로 풀릴 수 있는 문제는 모두 가감법으로 풀릴 수 있으므로 가감법만 논해도 된다.
68
68
그리고 gauss elimination은 단순히 가감법을 해나가는 것과 다름없다.
69
69
70
70
연립방정식
@@ -245,13 +245,13 @@ $x$를 소거하는 두번째 과정을 거치고 나서는 두번째 행의 두
245
245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246
246
- (1) 첫번째 행의 첫번째 열 값을 1로 만든다.
247
247
- (2) 첫번째를 제외한 모든 행의 첫번째 열 값을 0으로 만든다.
248
-
- $n\gt1$인 $n$에 대하여 $n$번째 행의 $n-1$번째까지의 열 값이 모두 0이면 다음의 (3), (4)를 반복한다.
249
-
- (3) $n$번째 행의 $n$번째 계수를 1로 만든다.
248
+
- $n$의 값을 하나씩 늘려가면서 (3), (4)의 과정을 반복한다. $n=2$부터 시작한다.
249
+
- (3) $n$번째 행의 $n$번째 열 값을 1로 만든다.
250
250
- (4) $n$번째 행을 제외한 모든 행의 $n$번째 계수를 0으로 만든다.
251
251
252
252
이 과정을 거치면 왼쪽 행렬을 항등행렬로 바꾸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해낼 수 있다.
253
253
254
-
단, 문제가 '정상적'으로 풀리는 경우는 왼쪽행렬의 첫번째 행과 두번째 행이 일차독립인 경우, 즉 왼쪽행렬의 rank가 2인 경우이며, 다시말해 가감법을 했을 때 두 변수가 한꺼번에 소거되지 않는 경우이다.
254
+
단, 문제가 '정상적'으로 풀리는 경우는 왼쪽행렬의 첫번째 행과 두번째 행이 일차독립인 경우, 즉 왼쪽행렬이 full rank인 경우이며, 다시말해 가감법을 했을 때 두 변수가 한꺼번에 소거되지 않는 경우이다.
255
255
두 변수가 한꺼번에 소거되는 경우 또한 중학교 2학년 교과과정에서 간접적으로 소개되는데
256
256
257
257
$$
@@ -262,10 +262,14 @@ a'x+b'y&=c'\\
262
262
$$
263
263
264
264
에서, $\frac a{a'}\ne\frac b{b'}$이면 해가 한 쌍 존재하고, $\frac a{a'}=\frac b{b'}=\frac c{c'}$이면 해가 무수히 많으며 $\frac a{a'}=\frac b{b'}\ne\frac c{c'}$이면 해가 없다고 배우게 된다.
265
-
여기서 $\frac a{a'}=\frac b{b'}$인 조건은 정확히 왼쪽행렬의 판별식이 0인 것과 일치하는 것이다.
266
-
즉, $\frac a{a'}=\frac b{b'}$이면 왼쪽행렬은 비가역행렬이 되고 rank가 1이 되어 두 행이 일차독립이고, 간단히 말하면 윗행의 실수배가 아랫행과 일치하게 되어 두 변수가 한꺼번에 소거되는 경우에 해당하게 된다.
265
+
여기서 $\frac a{a'}=\frac b{b'}$인 조건은 정확히 왼쪽행렬의 판별식이 0인 것과 일치한다.
266
+
즉, $\frac a{a'}=\frac b{b'}$이면 왼쪽행렬은 비가역행렬이 되고 rank가 1이 되어 두 행이 일차독립이고, 간단히 말하면 윗행의 실수배가 아랫행과 일치하게 되어 두 변수가 한꺼번에 소거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267
267
268
-
마지막으로, 가장 간단하면서도 nontrivial한 이 경우에 대해, 아까 장황하게 늘어놓은 유클리드공간이나 affine space, one-point-set 이야기를 할 필요가 있겠다.
268
+
왼쪽 행렬이 full rank가 아닌 경우에는 종종 (1)과 (3)의 과정에서 해당 행의 해당 열 값을 1로 만들 수 없을 수 있다.
269
+
해당 행의 해당 열 값이 0일 수 있기 때문이다.
270
+
그럴 때에는 그 아래 행들 중 열값이 0이 아닌 열을 위로 올려 진행해야 할 수 있고, 그런 행이 없다면 다음 열로 이동해 비슷한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271
+
272
+
마지막으로, 변수가 2개이고 식이 2개인 위 문제에 대해, 아까 장황하게 늘어놓은 유클리드공간이나 affine space, one-point-set 이야기를 할 필요가 있겠다.
269
273
이 문제는 변수가 두 개이므로 이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bb R^2$이 그 배경이 된다.
270
274
두 식 $2x+3y=5$, $5x+4y=16$은 평면 위의 두 직선을 의미하며 이 직선들 각각은 affine space이다.
271
275
두 affine space의 교집합은 one-point-set인 $\\{(4,-1)\\}$이며, 이것은 $\mathbb R^2$ 위의 한 점(두 직선의 교점)이 되는 것이다.
@@ -386,13 +390,13 @@ $$
386
390
따라서, 연립방정식의 해 $(x,y,z)=(2,3,-1)$가 구해졌다.
387
391
388
392
이 문제가 nontrivial한 이유는, 그러니까 해가 '정상적'으로 한 개가 나오는 까닭은 왼쪽의 행렬이 full rank 3을 가지기 때문이며, 다시 말해 세 개의 행들이 서로 일차독립이기 때문이다.
389
-
이 문제는 변수가 세 개 이므로 삼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bb R^3$이 그 배경이 되며, $x-2y+ z=-5$와 같은 세 일차식들은 공간 위의 세 평면이 되고 이것들 각각이 affine space이다.
393
+
이 문제는 변수가 세 개 이므로 삼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bb R^3$가 그 배경이 되며, $x-2y+ z=-5$와 같은 세 일차식들은 공간 위의 세 평면이 되고 이것들 각각이 affine space이다.
390
394
세 affine space의 교집합은 이번에도 one-point-set인 $\\{(2,3,-1)\\}$로 주어졌다.
391
395
392
396
## 2.2 변수 3개, 식 2개
393
397
394
398
앞의 두 사례에서는 nontrivial한 사례를 봤다.
395
-
즉, 해가 하나인 연립방정식들만을 고려했다.
399
+
즉, 해가 유일한 연립방정식들만을 고려했다.
396
400
이번에는 trivial한 경우, 즉 해가 무한히 많은 경우를 다뤄보려 한다.
397
401
하지만 해가 무수히 많다고 하여, 그것들이 모두 같은 것은 결코 아니다.
398
402
해가 무수히 많은 경우도 그 경우마다 다 다른데 그 상황은 affine space와 그 basis로 가장 잘 묘사될 수 있을 것이다.
@@ -418,7 +422,7 @@ $$
418
422
즉, $x$, $y$, $z$를 deterministic하게 확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419
423
왜나하면, 삼차원 평면에서 두 평면이 만나는 도형은 일반적으로 직선(교선)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420
424
하지만 지금까지 하던 대로 gauss elimination을 해보면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421
-
즉, 직선(affine space)을 효율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표현식(basis)을 찾을 수 있다.
425
+
즉, 직선(affine space)을 효율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표현식을 찾을 수 있다.
422
426
423
427
가우스 소거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424
428
@@ -461,7 +465,9 @@ R_1 \leftarrow R_1+R_2\\
461
465
\end{align*}
462
466
$$
463
467
464
-
그렇게 해서 얻어진 augmented matrix는, 바라던 대로 왼쪽행렬이 reduced row echelon form이 되었다.
468
+
그렇게 해서 얻어진 augmented matrix의 왼쪽행렬은 아까처럼 항등행렬은 아니다.
469
+
대신 reduced row echelon form(RREF)이 되었다.
470
+
RREF는 해를 확정적으로 구할 수 없는 상태에서 얻을 수 있는 최선이다.
465
471
이 augmented matrix를 연립방정식의 형태로 다시 써보면
466
472
467
473
$$
@@ -472,7 +478,9 @@ x&&&&-\frac23z&=\frac43\\
472
478
$$
473
479
474
480
이 된다.
475
-
그러면 $x=\frac23z+\frac43$, $y=\frac83z-\frac{11}3$이고, 따라서 이 연립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점 $(x,y,z)$들의 집합 $A$은
481
+
그러면 $x=\frac23z+\frac43$, $y=\frac83z-\frac{11}3$이다.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