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faa9454

Browse files
committed
finished upto section 2.
1 parent fef2c4b commit faa9454

File tree

1 file changed

+129
-27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129
-27
lines changed

_posts/2025-08-02-gauss_elimination.md

Lines changed: 129 additions & 27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2,42 +22,45 @@ toc: true
2222
블로그 글을 시작해놓고 제대로 끝내지 않은 글들이 한가득이라, 이번 글은 좀 마무리하도록 해보자.
2323
하지만 별 이야기를 많이 쓰진 않을 것이다.
2424

25-
가우스 소거법은 결국 일차연립방정식을 푼다는 것이고, 그건 선형대수 관점에서 보면 유클리드 공간의 subspace를 (더 정확하게는 affine space들의 교집합을) 구해나간다는 뜻이며, 당연히 subspace의 basis를 구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25+
가우스 소거법은 결국 일차연립방정식을 푼다는 것이고, 그건 선형대수 관점에서 보면 affine space들의 교집합을 구해나간다는 뜻이며, 당연히 affine space의 basis를 구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2626
그리고 가우스 소거법을 하고 나면 이 모든 것이 아주 systematic하게 구해진다.
2727

2828
변수가 두 개이고 식이 두 개인 nontrivial한 연립방정식은 풀린다.
29-
subspace는 zero space가 되어 affine space들의 교집합은 one-point-set이 된다.
29+
affine space들의 교집합은 one-point-set이 된다.
3030
변수가 세 개이고 식이 세 개여도 마찬가지이다.
31-
변수가 세 개이고 식이 두 개이면 subspace는 일차원공간이 되며, affine space들의 교집합은 삼차원에서의 직선이 된다.
32-
변수가 네 개이고 식이 두 개이면 subspace는 이차원공간이 되며, affine space들의 교집합은 사차원에서의 평면이 된다.
31+
변수가 세 개이고 식이 두 개이면 affine space들의 교집합은 삼차원에서의 (일차원) 직선이 되고, 변수가 네 개이고 식이 두 개이면 affine space들의 교집합은 사차원에서의 이차원 평면이 된다.
3332

3433
# 1. 아핀공간(affine space)
3534

3635
가우스 소거법은 지극히 쉬운데 괜히 affine space라는 어려워보이는 용어를 도입하는 것이 적절할 지 모르겠다.
37-
하지만 그래도 연립방정식의 상황과 가우스소거법의 결과를 기하학적으로 묘사하는 데에는 아핀공간에 대한 이야기가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36+
하지만 그래도 연립방정식의 상황과 가우스 소거법의 결과를 기하학적으로 묘사하는 데에는 아핀공간에 대한 이야기가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3837
아핀공간의 정의는 컨텍스트마다 그 형태가 다를 수 있겠지만 여기서 필요한 건 다음과 같이 간단하다.
3938

40-
벡터공간 $\mathbb R^n$ 위의 한 점 $v$와 부분공간(subspace) $W$에 대하여
39+
벡터공간 $\mathbb R^n$ 위의 벡터 $v$와 부분공간(subspace) $W$에 대하여
4140

4241
$$v+W=\{a+w:w\in W\}$$
4342

4443
를 아핀공간이라고 한다.
4544

46-
예를 들어, 일차방정식 $ax+by+cz=d$ 나타내는 집합
45+
예를 들어, 일차방정식 $ax+by+cz=d$이 나타내는 집합
46+
4747
$$A=\{(x,y,z):ax+by+cz=d\}$$
48+
4849
는 아핀공간이다.
4950
왜냐하면 벡터 $n=(a,b,c)$에 대한 orthogonal complement
51+
5052
$$n^\perp=\{(x,y,z):ax+by+cz=0\}$$
53+
5154
는 $\mathbb R^3$의 부분공간인데 $v=(-\frac da,0,0)$로 두면 $A=v+n^\perp$이기 때문이다.
5255

5356
다시 말해, 이차원 평면 상의 직선은 아핀공간이고 삼차원 공간 상의 직선과 평면도 아핀공간이다.
5457
한점집합(one-point-set)도 아핀공간이다.
5558
또한, 일차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한다는 것은 아핀공간들의 교집합을 구한다는 것이다.
56-
그런데 아핀 공간들의 교집합은 여전히 아핀공간이므로 (증명생략) 연립방정식의 해는 항상 아핀공간을 이루게 된다.
59+
그런데 아핀 공간들의 교집합은 여전히 아핀공간이므로 ([증명생략](https://math.stackexchange.com/q/297201)) 연립방정식의 해는 항상 아핀공간을 이루게 된다.
5760

5861
# 2. 일차연립방정식
5962

60-
## 2.1 변수 두 개이고 식이 두 개
63+
## 2.1 변수 2개, 식 2개
6164

6265
중학교 2학년 과정에서는 이원일차연립방정식을 배운다.
6366
교과과정에는 가감법과 대입법이 소개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등치법을 소개하기도 한다.
@@ -239,11 +242,11 @@ $x$를 소거하는 두번째 과정을 거치고 나서는 두번째 행의 두
239242
마지막으로 $y$를 소거하는 네번째 과정을 거치면 연립방정식의 해가 구해진다.
240243

241244
위와 같은 과정이 가우스 소거법이다.
242-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243-
- (1) 첫번째 행은 첫번째 계수를 1로 만든다.
244-
- (2) 두번째 행의 첫번째 계수를 0으로 만든다.
245-
- $n\gt1$인 $n$에 대하여 (3), (4)를 반복한다.
246-
- (3) $n$번째 행이 $n-1$번째 계수까지 0이라면, $n$번째 행의 $n$번째 계수를 1로 만든다.
245+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246+
- (1) 첫번째 행의 첫번째 열 값을 1로 만든다.
247+
- (2) 첫번째를 제외한 모든 행의 첫번째 열 값을 0으로 만든다.
248+
- $n\gt1$인 $n$에 대하여 $n$번째 행의 $n-1$번째까지의 열 값이 모두 0이면 다음의 (3), (4)를 반복한다.
249+
- (3) $n$번째 행의 $n$번째 계수를 1로 만든다.
247250
- (4) $n$번째 행을 제외한 모든 행의 $n$번째 계수를 0으로 만든다.
248251

249252
이 과정을 거치면 왼쪽 행렬을 항등행렬로 바꾸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해낼 수 있다.
@@ -260,14 +263,14 @@ $$
260263

261264
에서, $\frac a{a'}\ne\frac b{b'}$이면 해가 한 쌍 존재하고, $\frac a{a'}=\frac b{b'}=\frac c{c'}$이면 해가 무수히 많으며 $\frac a{a'}=\frac b{b'}\ne\frac c{c'}$이면 해가 없다고 배우게 된다.
262265
여기서 $\frac a{a'}=\frac b{b'}$인 조건은 정확히 왼쪽행렬의 판별식이 0인 것과 일치하는 것이다.
263-
즉, $\frac a{a'}=\frac b{b'}$이면 왼쪽행렬은 비가역행렬이 되고 rank가 1이하가 되며, 두 행이 일차독립이 되는 것이며, 간단히 말하면 윗행의 실수배가 아랫행과 일치하게 되어 두 변수가 한꺼번에 소거되는 경우에 해당하게 된다.
266+
즉, $\frac a{a'}=\frac b{b'}$이면 왼쪽행렬은 비가역행렬이 되고 rank가 1이 되어 두 행이 일차독립이고, 간단히 말하면 윗행의 실수배가 아랫행과 일치하게 되어 두 변수가 한꺼번에 소거되는 경우에 해당하게 된다.
264267

265268
마지막으로, 가장 간단하면서도 nontrivial한 이 경우에 대해, 아까 장황하게 늘어놓은 유클리드공간이나 affine space, one-point-set 이야기를 할 필요가 있겠다.
266269
이 문제는 변수가 두 개이므로 이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bb R^2$이 그 배경이 된다.
267270
두 식 $2x+3y=5$, $5x+4y=16$은 평면 위의 두 직선을 의미하며 이 직선들 각각은 affine space이다.
268-
두 affine space의 교집합은 one-point-set인 $\\{(4,-1)\\}$이며, 이것은 $\mathbb R^2$ 위의 한 점이 되는 것이다.
271+
두 affine space의 교집합은 one-point-set인 $\\{(4,-1)\\}$이며, 이것은 $\mathbb R^2$ 위의 한 점(두 직선의 교점)이 되는 것이다.
269272

270-
## 2.2 변수 세 개이고 식이 세 개
273+
## 2.2 변수 3개, 식 3개
271274

272275
이와 같은 이야기는 삼원일차연립방정식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273276
연립방정식
@@ -282,7 +285,7 @@ $$
282285
\end{align*}
283286
$$
284287

285-
중고등학교 수준에서 이 문제를 푸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288+
중고등학교 수준에서 푸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286289
먼저 $-2\times(1)+(2)$와 $(1)+(3)$으로부터 두번째 식과 세번째식에서 변수 $x$를 없앤다.
287290

288291
$$
@@ -294,8 +297,8 @@ $$
294297
$$
295298

296299
여기서 (2)+(3)을 하여 변수 $z$을 없애면 $6y=18$, $y=3$이 되고, 이것을 기존 식들에 계속 대입하면 $z=-1$, $x=2$을 얻을 수 있다.
297-
하지만, gauss elimination의 관점과 비슷하게 이 문제를 풀려면 $z$를 소거하기보다는 $y$를 소거하는 편이 더 나을 것이다.
298-
즉, (2)의 양 변을 5로 나눈 다음, 그것을 (3)에서 빼주면
300+
하지만, 일관된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나가려면 $z$를 소거하기보다는 $y$를 소거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301+
즉, (2)의 양변을 5로 나눈 다음, 그것을 (3)에서 빼주면
299302

300303
$$
301304
\begin{align*}
@@ -308,7 +311,7 @@ $$
308311
이 된다.
309312
이와 같이 진행하여도 같은 해 $(x,y,z)=(2,3,-1)$를 얻을 수 있다.
310313

311-
가우스 소거법으로 이 문제를 풀면
314+
가우스 소거법으로 이 문제를 풀면 다음과 같다.
312315

313316
$$
314317
\begin{align*}
@@ -386,7 +389,7 @@ $$
386389
이 문제는 변수가 세 개 이므로 삼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bb R^3$이 그 배경이 되며, $x-2y+ z=-5$와 같은 세 일차식들은 공간 위의 세 평면이 되고 이것들 각각이 affine space이다.
387390
세 affine space의 교집합은 이번에도 one-point-set인 $\\{(2,3,-1)\\}$로 주어졌다.
388391

389-
## 2.3 변수 세 개이고 식이 두 개
392+
## 2.2 변수 3개, 식 2개
390393

391394
앞의 두 사례에서는 nontrivial한 사례를 봤다.
392395
즉, 해가 하나인 연립방정식들만을 고려했다.
@@ -397,7 +400,7 @@ $$
397400
trivial한 사례는 변수의 개수와 식의 개수가 같은 앞의 두 사례와 같은 세팅에서 왼쪽행렬이 full rank를 가지지 않도록 하면 된다.
398401
3 by 3 case에서 rank 2짜리 행렬로 연립방정식을 만들어도 좋은 예가 될 것이다.
399402
하지만 여기서는 그냥 변수의 개수와 식의 개수가 다른, 변수의 개수가 식의 개수보다 많은 상황을 생각하려 한다.
400-
이 상황은 rank 2인 경우와 근본적으로 같을 것이다.
403+
이 상황은 3 by 3인 rank 2 행렬이 나오는 경우와 근본적으로 같을 것이다.
401404

402405
다음과 같은 연립방정식
403406

@@ -469,11 +472,11 @@ x&&&&-\frac23z&=\frac43\\
469472
$$
470473

471474
이 된다.
472-
그러면 $x=\frac23z+\frac43$, $y=\frac83z-\frac{11}3$이고, 따라서 이 연립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점 $(x,y,z)$들의 집합 $L$은
475+
그러면 $x=\frac23z+\frac43$, $y=\frac83z-\frac{11}3$이고, 따라서 이 연립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점 $(x,y,z)$들의 집합 $A$은
473476

474477
$$
475478
\begin{align*}
476-
L
479+
A
477480
&=\left\{(x,y,z):x-y+2z=5,2x+y-4z=-1\right\}\\
478481
&=\left\{(x,y,z):x=\frac23z+\frac43,y=\frac83z-\frac{11}3\right\}\\
479482
&=\left\{\left(\frac23z+\frac43,\frac83z-\frac{11}3,z\right):z\in\mathbb R\right\}\\
@@ -483,9 +486,108 @@ L
483486
\end{align*}
484487
$$
485488

486-
이 되어 basis가 $\\{(2,8,3)\\}$인 일차원 affine space가 된다.
489+
이 된다.
490+
이때 $\left\langle\left(\frac23,\frac83,1\right)\right\rangle\$는 벡터 $\left(\frac23,\frac83,1\right)$의 span이다.
491+
즉 해당 벡터를 basis로 하는 일차원 부분공간을 뜻한다.
492+
따라서 $A$는 일차원 affine space가 된다.
487493
즉, 이것은 $\left(\frac43,-\frac{11}3,0\right)$을 지나고 벡터 $(2,8,3)$의 방향을 향하는 직선이다.
488494

489-
## 2.4 변수 네 개이고 식이 두 개
495+
## 2.2 변수 4개, 식 2개
496+
497+
2.3의 사례도 재미있지만, affine space가 1차원이라는 점에 있어서는 너무 간단한 예이기도 하다.
498+
affine space가 2차원이 되는 경우, 즉 대응되는 subspace의 basis vector가 두 개 이상인 경우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이다.
499+
이번에도 full rank를 가지지 않는 적절한 linear system을 생각하기보다는, 변수의 개수 자체를 식의 개수보다 많게 두려고 한다.
500+
501+
고려하는 것은 다음의 연립방정식이다.
502+
503+
<!-- (1, 3, 4, -1) -->
504+
505+
$$
506+
\begin{cases}
507+
2x-y+2z+w &=6\\
508+
6x+2y-5z-4w &=-4
509+
\end{cases}
510+
$$
511+
512+
가우스 소거법을 적용시키면
513+
514+
$$
515+
\begin{align*}
516+
\begin{bmatrix}
517+
2&-1& 2& 1&|&6\\
518+
6& 2&-5&-4&|&-4
519+
\end{bmatrix}
520+
&\rightarrow
521+
\begin{bmatrix}
522+
1&-\frac12& 1& \frac12&|&3\\
523+
6& 2&-5&-4&|&-4
524+
\end{bmatrix}
525+
&&
526+
\begin{matrix}
527+
R_1 \leftarrow \frac12R_1\\
528+
\,
529+
\end{matrix}\\
530+
&\rightarrow
531+
\begin{bmatrix}
532+
1&-\frac12& 1& \frac12&|&3\\
533+
0& 5&-11&-7&|&-22
534+
\end{bmatrix}
535+
&&
536+
\begin{matrix}
537+
\\
538+
R_2 \leftarrow -6R_1+R_2
539+
\end{matrix}\\
540+
&\rightarrow
541+
\begin{bmatrix}
542+
1&-\frac12& 1& \frac12&|&3\\
543+
0& 1&-\frac{11}5&-\frac75&|&-\frac{22}5
544+
\end{bmatrix}
545+
&&
546+
\begin{matrix}
547+
\\
548+
R_2 \leftarrow \frac15R_2
549+
\end{matrix}\\
550+
&\rightarrow
551+
\begin{bmatrix}
552+
1& 0&-\frac1{10}& \frac15&|&\frac45\\
553+
0& 1&-\frac{11}5&-\frac75&|&-\frac{22}5
554+
\end{bmatrix}
555+
&&
556+
\begin{matrix}
557+
R_1 \leftarrow R_1+\frac12R_2\\
558+
\,
559+
\end{matrix}
560+
\end{align*}
561+
$$
562+
563+
이다.
564+
따라서
565+
566+
$$
567+
\begin{align*}
568+
x&&&&-\frac1{10}z+\frac15w&=\frac45\\
569+
&&y&&-\frac{11}5z-\frac75w&=-\frac{22}3
570+
\end{align*}
571+
$$
572+
573+
이고 해집합 $A$는
574+
575+
$$
576+
\begin{align*}
577+
A
578+
&=\left\{(x,y,z,w):2x-y+2z+w=6,6x+2y-5z-4w=-4\right\}\\
579+
&=\left\{(x,y,z,w):x=\frac1{10}z-\frac15w+\frac45,y=\frac{11}5z+\frac75w-\frac{22}3\right\}\\
580+
&=\left(\frac45,-\frac{22}3,0,0\right)
581+
+\left\langle\left(\frac1{10},\frac{11}5,1,0\right),
582+
\left(-\frac15,\frac75,0,1\right)\right\rangle\\
583+
&=\left(\frac45,-\frac{22}3,0,0\right)
584+
+\left\langle\left(1,22,10,0\right),
585+
\left(-1,7,0,5\right)\right\rangle
586+
\end{align*}
587+
$$
588+
589+
이 된다.
590+
따라서, $A$는 4차원 공간 상에서 $\left(\frac45,-\frac{22}3,0,0\right)$를 지나고 두 벡터 $\left(1,22,10,0\right)$, $\left(-1,7,0,5\right)$를 basis로 하는 평면이다.
591+
490592

491593
# 3. code implementation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