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Computer Science/Network/[Network] Blocking Non-Blocking IO.md b/Computer Science/Network/[Network] Blocking Non-Blocking IO.md
index 498804ea..26b81148 100644
--- a/Computer Science/Network/[Network] Blocking Non-Blocking IO.md
+++ b/Computer Science/Network/[Network] Blocking Non-Blocking IO.md
@@ -22,9 +22,10 @@
- `여러 Client 가 접속하는 서버를 Blocking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 I/O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을 중지 -> 다른 Client가 진행중인 작업을 중지하면 안되므로, client 별로 별도의 Thread를 생성해야 함 -> 접속자 수가 매우 많아짐
+ `여러 Client 가 접속하는 서버를 Blocking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 쓰레드는 I/O를 위해 `대기상태`로 돌입 -> I/O가 완료되기 까지 `대기`
+ -> 쓰레드가 반환되지않고 그 사이 client 요청에 대해서 `별도의 Thread를 생성`함 -> 접속자 수가 매우 많아질수록 `쓰레드 갯수` 증가
- 이로 인해, 많아진 Threads 로 *컨텍스트 스위칭 횟수가 증가함,,, 비효율적인 동작 방식*
+ 이로 인해, 많아진 쓰레드로 `컨텍스트 스위칭` 횟수가 증가 = 비효율적으로 동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