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 tree Expand file tree Collapse file tree 1 file changed +8
-6
lines changed
Documentation/translations/ko_KR Expand file tree Collapse file tree 1 file changed +8
-6
lines change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863,6 +1863,7 @@ Mandatory 배리어들은 SMP 시스템에서도 UP 시스템에서도 SMP 효
18631863
18641864 (*) dma_wmb();
18651865 (*) dma_rmb();
1866+ (*) dma_mb();
18661867
18671868 이것들은 CPU 와 DMA 가능한 디바이스에서 모두 액세스 가능한 공유 메모리의
18681869 읽기, 쓰기 작업들의 순서를 보장하기 위해 consistent memory 에서 사용하기
@@ -1893,12 +1894,13 @@ Mandatory 배리어들은 SMP 시스템에서도 UP 시스템에서도 SMP 효
18931894
18941895 dma_rmb() 는 디스크립터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기 전에 디바이스가 소유권을
18951896 내려놓았을 것을 보장하고, dma_wmb() 는 디바이스가 자신이 소유권을 다시
1896- 가졌음을 보기 전에 디스크립터에 데이터가 쓰였을 것을 보장합니다. 참고로,
1897- writel() 을 사용하면 캐시 일관성이 있는 메모리 (cache coherent memory)
1898- 쓰기가 MMIO 영역에의 쓰기 전에 완료되었을 것을 보장하므로 writel() 앞에
1899- wmb() 를 실행할 필요가 없음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writel() 보다 비용이
1900- 저렴한 writel_relaxed() 는 이런 보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여기선 사용되지
1901- 않아야 합니다.
1897+ 가졌음을 보기 전에 디스크립터에 데이터가 쓰였을 것을 보장합니다. dma_mb()
1898+ 는 dma_rmb() 와 dma_wmb() 를 모두 내포합니다. 참고로, writel() 을
1899+ 사용하면 캐시 일관성이 있는 메모리 (cache coherent memory) 쓰기가 MMIO
1900+ 영역에의 쓰기 전에 완료되었을 것을 보장하므로 writel() 앞에 wmb() 를
1901+ 실행할 필요가 없음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writel() 보다 비용이 저렴한
1902+ writel_relaxed() 는 이런 보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여기선 사용되지 않아야
1903+ 합니다.
19021904
19031905 writel_relaxed() 와 같은 완화된 I/O 접근자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위해서는
19041906 "커널 I/O 배리어의 효과" 섹션을, consistent memory 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You can’t perform that action at this time.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