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085a696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31418 from jihoon-seo/220120_ko_Update_type-nodeport_anchor_1.23
[ko] Update anchor (`dev-1.23-ko.1`)
2 parents 2f39630 + ff7af9c commit 085a696

File tree

5 files changed

+6
-6
lines changed

5 files changed

+6
-6
lines changed

content/ko/docs/concepts/configuration/overview.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55,7 +55,7 @@ DNS 서버는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쿠버네티스 API를 Watch하며
5555

5656
만약 오직 디버깅의 목적으로 포트에 접근해야 한다면, [apiserver proxy](/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access-cluster/#수작업으로-apiserver-proxy-url을-구축) 또는 [`kubectl port-forward`](/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port-forward-access-application-cluster/)를 사용할 수 있다.
5757

58-
만약 파드의 포트를 노드에서 명시적으로 노출해야 한다면, `hostPort`에 의존하기 전에 [NodePort](/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nodeport)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58+
만약 파드의 포트를 노드에서 명시적으로 노출해야 한다면, `hostPort`에 의존하기 전에 [NodePort](/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type-nodeport)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5959

6060
- `hostPort`와 같은 이유로, `hostNetwork`를 사용하는 것을 피한다.
6161

content/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ingress.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637,7 +637,7 @@ Events:
637637
사용자는 인그레스 리소스를 직접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서비스를 노출할 수 있다.
638638

639639
* [Service.Type=LoadBalancer](/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loadbalancer) 사용.
640-
* [Service.Type=NodePort](/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nodeport) 사용.
640+
* [Service.Type=NodePort](/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type-nodeport) 사용.
641641

642642

643643

content/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550,7 +550,7 @@ API에서 `엔드포인트` 레코드를 생성하고, DNS 구성을 수정하
550550
* `ClusterIP`: 서비스를 클러스터-내부 IP에 노출시킨다. 이 값을 선택하면
551551
클러스터 내에서만 서비스에 도달할 수 있다. 이것은
552552
`ServiceTypes`의 기본 값이다.
553-
* [`NodePort`](#nodeport): 고정 포트 (`NodePort`)로 각 노드의 IP에 서비스를
553+
* [`NodePort`](#type-nodeport): 고정 포트 (`NodePort`)로 각 노드의 IP에 서비스를
554554
노출시킨다. `NodePort` 서비스가 라우팅되는 `ClusterIP` 서비스가
555555
자동으로 생성된다. `<NodeIP>:<NodePort>`를 요청하여,
556556
클러스터 외부에서
@@ -568,7 +568,7 @@ API에서 `엔드포인트` 레코드를 생성하고, DNS 구성을 수정하
568568
[인그레스](/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ingress/)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인그레스는 서비스 유형이 아니지만, 클러스터의 진입점 역할을 한다. 동일한 IP 주소로 여러 서비스를
569569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라우팅 규칙을 단일 리소스로 통합할 수 있다.
570570

571-
### NodePort 유형 {#nodeport}
571+
### NodePort 유형 {#type-nodeport}
572572

573573
`type` 필드를 `NodePort`로 설정하면,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은
574574
`--service-node-port-range` 플래그로 지정된 범위에서 포트를 할당한다 (기본값 : 30000-32767).

content/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connecting-frontend-backend.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6,7 +26,7 @@ weight: 70
2626

2727
이 작업은
2828
지원되는 환경이 필요한
29-
[외부 로드밸런서가 있는 서비스](/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create-external-load-balancer/)를 사용한다. 만약, 이를 지원하지 않는 환경이라면, [노드포트](/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nodeport) 서비스 타입을
29+
[외부 로드밸런서가 있는 서비스](/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create-external-load-balancer/)를 사용한다. 만약, 이를 지원하지 않는 환경이라면, [노드포트](/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type-nodeport) 서비스 타입을
3030
대신 사용할 수 있다.
3131

3232
<!-- lessoncontent -->

content/ko/docs/tutorials/services/source-ip.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63,7 +163,7 @@ command=GET
163163

164164
## `Type=NodePort` 인 서비스에서 소스 IP
165165

166-
[`Type=NodePort`](/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nodeport)
166+
[`Type=NodePort`](/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type-nodeport)
167167
서비스로 보내진 패킷은
168168
소스 NAT가 기본으로 적용된다. `NodePort` 서비스를 생성하여 이것을 테스트할 수 있다.
169169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