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 |
| 2 | +title: 포트와 프로토콜 |
| 3 | +content_type: reference |
| 4 | +weight: 50 |
| 5 | +--- |
| 6 | + |
| 7 | +물리적 네트워크 방화벽이 있는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 또는 |
| 8 | +퍼블릭 클라우드의 가상 네트워크와 같이 네트워크 경계가 엄격한 환경에서 |
| 9 | +쿠버네티스를 실행할 때, 쿠버네티스 구성 요소에서 |
| 10 | +사용하는 포트와 프로토콜을 알고 있는 것이 유용하다. |
| 11 | + |
| 12 | +## 컨트롤 플레인 |
| 13 | + |
| 14 | +| 프로토콜 | 방향 | 포트 범위 | 용도 | 사용 주체 | |
| 15 | +|----------|-----------|------------|-------------------------|---------------------------| |
| 16 | +| TCP | 인바운드 | 6443 | 쿠버네티스 API 서버 | 전부 | |
| 17 | +| TCP | 인바운드 | 2379-2380 | etcd 서버 클라이언트 API | kube-apiserver, etcd | |
| 18 | +| TCP | 인바운드 | 10250 | Kubelet API | Self, 컨트롤 플레인 | |
| 19 | +| TCP | 인바운드 | 10259 | kube-scheduler | Self | |
| 20 | +| TCP | 인바운드 | 10257 | kube-controller-manager | Self | |
| 21 | + |
| 22 | +etcd 포트가 컨트롤 플레인 섹션에 포함되어 있지만, 외부 또는 사용자 지정 포트에서 자체 |
| 23 | +etcd 클러스터를 호스팅할 수도 있다. |
| 24 | + |
| 25 | +## 워커 노드 {#node} |
| 26 | + |
| 27 | +| 프로토콜 | 방향 | 포트 범위 | 용도 | 사용 주체 | |
| 28 | +|----------|-----------|-------------|-----------------------|-------------------------| |
| 29 | +| TCP | 인바운드 | 10250 | Kubelet API | Self, 컨트롤 플레인 |
| 30 | +| TCP | 인바운드 | 30000-32767 | NodePort 서비스† | 전부 | |
| 31 | + |
| 32 | +† [노드포트(NodePort) 서비스](/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의 기본 포트 범위. |
| 33 | + |
| 34 | +모든 기본 포트 번호를 재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
| 35 | +여기에 언급된 기본값 대신 해당 포트를 열어야 한다. |
| 36 | + |
| 37 | +종종 발생하는 한 가지 일반적인 예는 API 서버 포트를 443으로 변경하는 경우이다. |
| 38 | +또는, API 서버의 기본 포트를 그대로 유지하고, |
| 39 | +443 포트에서 수신 대기하는 로드 밸런서 뒤에 API 서버를 두고, |
| 40 | +로드 밸런서에서 API 서버로 가는 요청을 API 서버의 기본 포트로 라우팅할 수도 있다.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