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이 페이지에서는 컨피그 맵을 사용해서 Redis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실세계 예제를 제공하고, [컨피그 맵을 사용해서 컨테이너 설정하기](/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configure-pod-configmap/) 태스크로 빌드를 한다.
11
+
이 페이지에서는 컨피그맵(ConfigMap)을 사용해서 Redis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실세계 예제를 제공하고, [컨피그맵을 사용해서 컨테이너 설정하기](/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configure-pod-configmap/) 태스크로 빌드를 한다.
9
12
10
13
11
14
12
15
## {{% heading "objectives" %}}
13
16
14
17
15
-
* 다음을 포함하는 `kustomization.yaml` 파일을 생성한다.
16
-
* 컨피그 맵 생성자
17
-
* 컨피그 맵을 사용하는 파드 리소스
18
-
*`kubectl apply -k ./`를 실행하여 작업한 디렉터리를 적용한다.
19
-
* 구성이 잘 적용되었는지 확인한다.
18
+
* Redis 설정값으로 컨피그맵을 생성한다.
19
+
* 생성된 컨피그맵을 마운트하고 사용하는 Redis 파드를 생성한다.
20
+
* 설정이 잘 적용되었는지 확인한다.
20
21
21
22
22
23
@@ -26,91 +27,227 @@ content_type: tutorial
26
27
{{< include "task-tutorial-prereqs.md" >}} {{< version-check >}}
27
28
28
29
* 예시는 `kubectl` 1.14 이상 버전에서 동작한다.
29
-
*[컨피그 맵을 사용해서 컨테이너 설정하기](/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configure-pod-configmap/)를 이해한다.
30
+
*[컨피그맵을 사용해서 컨테이너 설정하기](/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configure-pod-configmap/)를 이해한다.
30
31
31
32
32
33
33
34
<!-- lessoncontent -->
34
35
35
36
36
-
## 실세상 예제: 컨피그 맵을 사용해서 Redis 설정하기
37
-
38
-
아래의 단계를 통해서 컨피그 맵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해서 Redis 캐시를 설정할 수 있다.
37
+
## 실세상 예제: 컨피그맵을 사용해서 Redis 설정하기
39
38
40
-
첫째, `redis-config` 파일에서 컨피그 맵을 포함한 `kustomization.yaml`를 생성한다.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content/ko/docs/tutorials/kubernetes-basics/expose/expose-intro.html
+1-1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37,7 +37,7 @@ <h3>쿠버네티스 서비스들에 대한 개요</h3>
37
37
<li><i>ClusterIP</i> (기본값) - 클러스터 내에서 내부 IP 에 대해 서비스를 노출해준다. 이 방식은 오직 클러스터 내에서만 서비스가 접근될 수 있도록 해준다.</li>
38
38
<li><i>NodePort</i> - NAT가 이용되는 클러스터 내에서 각각 선택된 노드들의 동일한 포트에 서비스를 노출시켜준다. <code><NodeIP>:<NodePort></code>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외부로부터 서비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usterIP의 상위 집합이다.</li>
39
39
<li><i>LoadBalancer</i> - (지원 가능한 경우) 기존 클라우드에서 외부용 로드밸런서를 생성하고 서비스에 고정된 공인 IP를 할당해준다. NodePort의 상위 집합이다. </li>
40
-
<li><i>ExternalName</i> - 이름으로 CNAME 레코드를 반환함으로써 임의의 이름(스펙에서 <code>externalName</code>으로 명시)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노출시켜준다. 프록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방식은 <code>kube-dns</code> 버전 1.7 이상에서 지원 가능하다.</li>
40
+
<li><i>ExternalName</i> - <code>CNAME</code> 레코드 및 값을 반환함으로써 서비스를 <code>externalName</code> 필드의 내용(예를 들면, `foo.bar.example.com`)에 매핑한다. 어떠한 종류의 프록시도 설정되지 않는다. 이 방식은 <code>kube-dns</code>v1.7 이상 또는 CoreDNS 버전 0.0.8 이상을 필요로 한다.</li>
41
41
</ul>
42
42
<p>다른 서비스 타입들에 대한 추가 정보는 <ahref="/ko/docs/tutorials/services/source-ip/">소스 IP 이용하기</a> 튜토리얼에서 확인 가능하다. 또한 <ahref="/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connect-applications-service">서비스들로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기</a>도 참고해 보자.</p>
43
43
<p>부가적으로, spec에 <code>selector</code>를 정의하지 않고 말아넣은 서비스들의 몇 가지 유즈케이스들이 있음을 주의하자. <code>selector</code> 없이 생성된 서비스는 상응하는 엔드포인트 오브젝트들 또한 생성하지 않는다. 이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하나의 서비스를 특정한 엔드포인트에 매핑 시킬수 있도록 해준다. selector를 생략하게 되는 또 다른 가능성은 여러분이 <code>type: ExternalName</code>을 이용하겠다고 확고하게 의도하는 경우이다.</p>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