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51b0bc1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28389 from seokho-son/fix-service-dev-1.21-ko.4
[ko] Enhance tutorials/services/source-ip.md translation
2 parents c3d5c69 + 80a84f6 commit 51b0bc1

File tree

1 file changed

+11
-12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11
-12
lines changed

content/ko/docs/tutorials/services/source-ip.md

Lines changed: 11 additions & 1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6,10 +6,10 @@ min-kubernetes-server-version: v1.5
66

77
<!-- overview -->
88

9-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간에 외부 세계와
10-
서비스 추상화를 통해 찾고 통신한다. 이 문서는
11-
다른 종류의 서비스로 보내진 패킷의 소스 IP 주소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와
12-
이 동작을 요구에 따라 토글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9+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추상화를 통해서
10+
서로를, 그리고 외부 세계를 찾고 통신한다. 이 문서는
11+
다른 종류의 서비스로 전송된 패킷의 소스 IP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와
12+
이 동작을 필요에 따라 어떻게 전환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1313

1414

1515

@@ -29,16 +29,16 @@ min-kubernetes-server-version: v1.5
2929
: 네트워크 주소 변환
3030

3131
[소스 NAT](https://en.wikipedia.org/wiki/Network_address_translation#SNAT)
32-
: 패킷 상의 소스 IP 주소를 변경함, 보통 노드의 IP 주소
32+
: 패킷 상의 소스 IP 주소를 변경하는 것. 이 페이지에서는 일반적으로 노드 IP 주소로의 변경을 의미함.
3333

3434
[대상 NAT](https://en.wikipedia.org/wiki/Network_address_translation#DNAT)
35-
: 패킷 상의 대상 IP 주소를 변경함, 보통 파드의 IP 주소
35+
: 패킷 상의 대상 IP 주소를 변경하는 것. 이 페이지에서는 일반적으로 {{< glossary_tooltip term_id="pod" text="파드" >}} IP 주소로의 변경을 의미함.
3636

3737
[VIP](/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가상-ip와-서비스-프록시)
38-
: 가상 IP 주소, 모든 쿠버네티스 서비스에 할당된 것 같은
38+
: 쿠버네티스의 모든 {{< glossary_tooltip text="서비스" term_id="service" >}}에 할당되어 있는 것과 같은, 가상 IP 주소.
3939

4040
[Kube-proxy](/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가상-ip와-서비스-프록시)
41-
: 네트워크 데몬으로 모든 노드에서 서비스 VIP 관리를 관리한다.
41+
: 모든 노드에서 서비스 VIP 관리를 조율하는 네트워크 데몬.
4242

4343
### 전제 조건
4444

@@ -80,7 +80,7 @@ deployment.apps/source-ip-app created
8080
```console
8181
kubectl get nodes
8282
```
83-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83+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8484
```
8585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8686
kubernetes-node-6jst Ready <none> 2h v1.13.0
@@ -220,7 +220,6 @@ graph LR;
220220
class client plain;
221221
{{</ mermaid >}}
222222

223-
224223
이를 피하기 위해 쿠버네티스는
225224
[클라이언트 소스 IP 주소를 보존](/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create-external-load-balancer/#preserving-the-client-source-ip)하는 기능이 있다.
226225
`service.spec.externalTrafficPolicy` 의 값을 `Local` 로 하면
@@ -439,5 +438,5 @@ kubectl delete deployment source-ip-app
439438

440439
## {{% heading "whatsnext" %}}
441440

442-
* [서비스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연결하기](/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connect-applications-service/) 더 자세히 본다.
443-
* 어떻게 [외부 로드밸런서 생성](/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create-external-load-balancer/)하는지 본다.
441+
* [서비스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연결하기](/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connect-applications-service/) 더 자세히 본다.
442+
* [외부 로드밸런서 생성](/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create-external-load-balancer/) 방법을 본다.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