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6fedb95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51896 from wonyongg/sync-ko-overview-_index.md
[ko] Sync /ko/docs/concepts/overview/_index.md to match latest en contents
2 parents 0b018b5 + 93ba7df commit 6fedb95

File tree

1 file changed

+52
-47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52
-47
lines changed

content/ko/docs/concepts/overview/_index.md

Lines changed: 52 additions & 47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6,10 +6,13 @@ title: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66
description: >
77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할 수 있고, 확장 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선언적 구성과 자동화를 모두 지원한다. 쿠버네티스는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쿠버네티스 서비스, 지원 그리고 도구들은 광범위하게 제공된다.
88
content_type: concept
9-
weight: 10
9+
weight: 20
1010
card:
1111
name: concepts
1212
weight: 10
13+
anchors:
14+
- anchor: "#쿠버네티스가-왜-필요하고-무엇을-할-수-있나"
15+
title: 왜 쿠버네티스인가?
1316
no_list: true
1417
---
1518

@@ -19,58 +22,12 @@ no_list: true
1922

2023
<!-- body -->
2124

22-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고, 확장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23-
쿠버네티스는 선언적 구성과 자동화를 모두 용이하게 해준다. 쿠버네티스는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24-
쿠버네티스 서비스, 기술 지원 및 도구는 어디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25-
2625
쿠버네티스란 명칭은 키잡이(helmsman)나 파일럿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K8s라는 표기는 "K"와 "s"와
2726
그 사이에 있는 8글자를 나타내는 약식 표기이다. 구글이 2014년에 쿠버네티스 프로젝트를 오픈소스화했다.
2827
쿠버네티스는 프로덕션 워크로드를 대규모로 운영하는
2928
[15년 이상의 구글 경험](/blog/2015/04/borg-predecessor-to-kubernetes/)
3029
커뮤니티의 최고의 아이디어와 적용 사례가 결합되어 있다.
3130

32-
## 여정 돌아보기
33-
34-
시간이 지나면서 쿠버네티스가 왜 유용하게 되었는지 살펴보자.
35-
36-
![배포 혁명](/images/docs/Container_Evolution.svg)
37-
38-
**전통적인 배포 시대:**
39-
초기 조직은 애플리케이션을 물리 서버에서 실행했었다. 한 물리 서버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계를 정의할 방법이 없었기에,
40-
리소스 할당의 문제가 발생했다. 예를 들어 물리 서버 하나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리소스 전부를 차지하는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가 있을 수 있고,
41-
결과적으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서로 다른 여러 물리 서버에서 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42-
그러나 이는 리소스가 충분히 활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확장 가능하지 않았으며, 조직이 많은 물리 서버를 유지하는 데에 높은 비용이 들었다.
43-
44-
**가상화된 배포 시대:** 그 해결책으로 가상화가 도입되었다. 이는 단일 물리 서버의 CPU에서 여러 가상 시스템 (VM)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45-
가상화를 사용하면 VM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격리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유롭게 액세스할 수 없으므로, 일정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46-
47-
가상화를 사용하면 물리 서버에서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쉽게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고
48-
하드웨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더 나은 확장성을 제공한다. 가상화를 통해 일련의 물리 리소스를 폐기 가능한(disposable)
49-
가상 머신으로 구성된 클러스터로 만들 수 있다.
50-
51-
각 VM은 가상화된 하드웨어 상에서 자체 운영체제를 포함한 모든 구성 요소를 실행하는 하나의 완전한 머신이다.
52-
53-
**컨테이너 개발 시대:** 컨테이너는 VM과 유사하지만 격리 속성을 완화하여 애플리케이션 간에 운영체제(OS)를 공유한다.
54-
그러므로 컨테이너는 가볍다고 여겨진다. VM과 마찬가지로 컨테이너에는 자체 파일 시스템, CPU 점유율, 메모리, 프로세스 공간 등이 있다.
55-
기본 인프라와의 종속성을 끊었기 때문에, 클라우드나 OS 배포본에 모두 이식할 수 있다.
56-
57-
컨테이너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명해졌다.
58-
59-
* 기민한 애플리케이션 생성과 배포: VM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컨테이너 이미지 생성이 보다 쉽고 효율적이다.
60-
* 지속적인 개발, 통합 및 배포: 안정적이고 주기적으로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해서 배포할 수 있고 (이미지의 불변성 덕에) 빠르고
61-
효율적으로 롤백할 수 있다.
62-
* 개발과 운영의 관심사 분리: 배포 시점이 아닌 빌드/릴리스 시점에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 이미지를 만들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이
63-
인프라스트럭처에서 분리된다.
64-
* 가시성(observability): OS 수준의 정보와 메트릭에 머무르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헬스와 그 밖의 시그널을 볼 수 있다.
65-
* 개발, 테스팅 및 운영 환경에 걸친 일관성: 랩탑에서도 클라우드에서와 동일하게 구동된다.
66-
* 클라우드 및 OS 배포판 간 이식성: Ubuntu, RHEL, CoreOS, 온-프레미스, 주요 퍼블릭 클라우드와 어디에서든 구동된다.
67-
* 애플리케이션 중심 관리: 가상 하드웨어 상에서 OS를 실행하는 수준에서 논리적인 리소스를 사용하는 OS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68-
실행하는 수준으로 추상화 수준이 높아진다.
69-
* 느슨하게 커플되고, 분산되고, 유연하며, 자유로운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단일 목적의 머신에서 모놀리식 스택으로 구동되지 않고
70-
보다 작고 독립적인 단위로 쪼개져서 동적으로 배포되고 관리될 수 있다.
71-
* 리소스 격리: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72-
* 리소스 사용량: 고효율 고집적.
73-
7431
## 쿠버네티스가 왜 필요하고 무엇을 할 수 있나 {#why-you-need-kubernetes-and-what-can-it-do}
7532

7633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을 포장하고 실행하는 좋은 방법이다.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컨테이너를 관리하고
@@ -99,6 +56,12 @@ no_list: true
9956
* **시크릿과 구성 관리**
10057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 암호, OAuth 토큰 및 SSH 키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10158
컨테이너 이미지를 재구성하지 않고 스택 구성에 시크릿을 노출하지 않고도 시크릿 및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배포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59+
* **배치 실행**
60+
서비스 외에도, 쿠버네티스는 배치 및 CI 워크로드를 관리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실패한 컨테이너를 교체할 수 있다.
61+
* **수평 확장**
62+
간단한 명령어, UI, 또는 CPU 사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63+
*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
64+
업스트림 소스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10265

10366
## 쿠버네티스가 아닌 것
10467

@@ -128,6 +91,48 @@ no_list: true
12891
의도한 상태로 나아가도록 한다. A에서 C로 어떻게 갔는지는 상관이 없다. 중앙화된 제어도 필요치 않다. 이로써 시스템이 보다 더
12992
사용하기 쉬워지고, 강력해지며, 견고하고, 회복력을 갖추게 되며, 확장 가능해진다.
13093

94+
## 여정 돌아보기 {#going-back-in-time}
95+
96+
시간이 지나면서 쿠버네티스가 왜 유용하게 되었는지 살펴보자.
97+
98+
![배포 혁명](/images/docs/Container_Evolution.svg)
99+
100+
**전통적인 배포 시대:**
101+
초기 조직은 애플리케이션을 물리 서버에서 실행했었다. 한 물리 서버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계를 정의할 방법이 없었기에,
102+
리소스 할당의 문제가 발생했다. 예를 들어 물리 서버 하나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리소스 전부를 차지하는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가 있을 수 있고,
103+
결과적으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서로 다른 여러 물리 서버에서 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104+
그러나 이는 리소스가 충분히 활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확장 가능하지 않았으며, 조직이 많은 물리 서버를 유지하는 데에 높은 비용이 들었다.
105+
106+
**가상화된 배포 시대:** 그 해결책으로 가상화가 도입되었다. 이는 단일 물리 서버의 CPU에서 여러 가상 시스템 (VM)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107+
가상화를 사용하면 VM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격리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유롭게 액세스할 수 없으므로, 일정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108+
109+
가상화를 사용하면 물리 서버에서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쉽게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고
110+
하드웨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더 나은 확장성을 제공한다. 가상화를 통해 일련의 물리 리소스를 폐기 가능한(disposable)
111+
가상 머신으로 구성된 클러스터로 만들 수 있다.
112+
113+
각 VM은 가상화된 하드웨어 상에서 자체 운영체제를 포함한 모든 구성 요소를 실행하는 하나의 완전한 머신이다.
114+
115+
**컨테이너 개발 시대:** 컨테이너는 VM과 유사하지만 격리 속성을 완화하여 애플리케이션 간에 운영체제(OS)를 공유한다.
116+
그러므로 컨테이너는 가볍다고 여겨진다. VM과 마찬가지로 컨테이너에는 자체 파일 시스템, CPU 점유율, 메모리, 프로세스 공간 등이 있다.
117+
기본 인프라와의 종속성을 끊었기 때문에, 클라우드나 OS 배포본에 모두 이식할 수 있다.
118+
119+
컨테이너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명해졌다.
120+
121+
* 기민한 애플리케이션 생성과 배포: VM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컨테이너 이미지 생성이 보다 쉽고 효율적이다.
122+
* 지속적인 개발, 통합 및 배포: 안정적이고 주기적으로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해서 배포할 수 있고 (이미지의 불변성 덕에) 빠르고
123+
효율적으로 롤백할 수 있다.
124+
* 개발과 운영의 관심사 분리: 배포 시점이 아닌 빌드/릴리스 시점에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 이미지를 만들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이
125+
인프라스트럭처에서 분리된다.
126+
* 가시성(observability): OS 수준의 정보와 메트릭에 머무르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헬스와 그 밖의 시그널을 볼 수 있다.
127+
* 개발, 테스팅 및 운영 환경에 걸친 일관성: 랩탑에서도 클라우드에서와 동일하게 구동된다.
128+
* 클라우드 및 OS 배포판 간 이식성: Ubuntu, RHEL, CoreOS, 온-프레미스, 주요 퍼블릭 클라우드와 어디에서든 구동된다.
129+
* 애플리케이션 중심 관리: 가상 하드웨어 상에서 OS를 실행하는 수준에서 논리적인 리소스를 사용하는 OS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130+
실행하는 수준으로 추상화 수준이 높아진다.
131+
* 느슨하게 커플되고, 분산되고, 유연하며, 자유로운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단일 목적의 머신에서 모놀리식 스택으로 구동되지 않고
132+
보다 작고 독립적인 단위로 쪼개져서 동적으로 배포되고 관리될 수 있다.
133+
* 리소스 격리: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134+
* 리소스 사용량: 고효율 고집적.
135+
131136
## {{% heading "whatsnext" %}}
132137

133138
* [쿠버네티스 구성요소](/ko/docs/concepts/overview/components/) 살펴보기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