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7336e45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20197 from kubernetes/dev-1.18-ko.1
First Korean l10n Work For Release 1.18
2 parents 92c910f + 264869a commit 7336e45

File tree

65 files changed

+4044
-613
lines changed

Some content is hidden

Large Commits have some content hidden by default. Use the searchbox below for content that may be hidden.

65 files changed

+4044
-613
lines changed

content/ko/docs/concepts/architecture/nodes.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80,7 +180,7 @@ kubelet은 `NodeStatus` 와 리스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업데이트 할
180180
보다 훨씬 길다).
181181
- kubelet은 10초마다 리스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업데이트 한다(기본 업데이트 주기).
182182
리스 업데이트는 `NodeStatus` 업데이트와는
183-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183+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리스 업데이트가 실패하면 kubelet에 의해 재시도하며 7초로 제한된 지수 백오프를 200 밀리초에서 부터 시작한다.
184184

185185
#### 안정성
186186

content/ko/docs/concepts/cluster-administration/cluster-administration-overview.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1,7 +41,7 @@ weight: 10
4141

4242
* [인증서](/docs/concepts/cluster-administration/certificates/)는 다른 툴 체인을 이용하여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4343

44-
* [쿠버네티스 컨테이너 환경](/ko/docs/concepts/containers/container-environment-variables/)은 쿠버네티스 노드에서 Kubelet에 의해 관리되는 컨테이너 환경에 대해 설명한다.
44+
* [쿠버네티스 컨테이너 환경](/ko/docs/concepts/containers/container-environment/)은 쿠버네티스 노드에서 Kubelet에 의해 관리되는 컨테이너 환경에 대해 설명한다.
4545

4646
* [쿠버네티스 API에 대한 접근 제어](/docs/reference/access-authn-authz/controlling-access/)는 사용자와 서비스 계정에 어떻게 권한 설정을 하는지 설명한다.
4747

content/ko/docs/concepts/configuration/assign-pod-node.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315,7 +315,7 @@ spec:
315315
topologyKey: "kubernetes.io/hostname"
316316
containers:
317317
- name: web-app
318-
image: nginx:1.12-alpine
318+
image: nginx:1.16-alpine
319319
```
320320

321321
만약 위의 두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하면 세 개의 노드가 있는 클러스터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File renamed without changes.

content/ko/docs/concepts/containers/container-lifecycle-hooks.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3,7 +113,7 @@ Events:
113113

114114
{{% capture whatsnext %}}
115115

116-
* [컨테이너 환경](/ko/docs/concepts/containers/container-environment-variables/)에 대해 더 배우기.
116+
* [컨테이너 환경](/ko/docs/concepts/containers/container-environment/)에 대해 더 배우기.
117117
* [컨테이너 라이프사이클 이벤트에 핸들러 부착](/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attach-handler-lifecycle-event/)
118118
실습 경험하기.
119119

Lines changed: 43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43 @@
1+
---
2+
title: 컨테이너 개요
3+
content_template: templates/concept
4+
weight: 10
5+
---
6+
7+
{{% capture overview %}}
8+
9+
컨테이너는 런타임에 필요한 종속성과 애플리케이션의
10+
컴파일 된 코드를 패키징 하는 기술이다. 실행되는 각각의
11+
컨테이너는 반복해서 사용 가능하다. 종속성이 포함된 표준화를
12+
통해 컨테이너가 실행되는 환경과 무관하게 항상 동일하게
13+
동작한다.
14+
15+
컨테이너는 기본 호스트 인프라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환경을 분리한다.
16+
따라서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이나 운영체제에서 쉽게 배포 할 수 있다.
17+
18+
{{% /capture %}}
19+
20+
21+
{{% capture body %}}
22+
23+
## 컨테이너 이미지
24+
[컨테이너 이미지](/ko/docs/concepts/containers/images/) 는 즉시 실행할 수 있는
25+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
26+
(필요한 코드와 런타임,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라이브러리 등의 모든 필수 설정에 대한 기본값)
27+
을 포함한다.
28+
29+
원칙적으로, 컨테이너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미 구동 중인 컨테이너의
30+
코드를 변경할 수 없다.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이 있고 그
31+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려는 경우, 변경사항을 포함하여 만든
32+
새로운 이미지를 통해 컨테이너를 다시 생성해야 한다.
33+
34+
35+
## 컨테이너 런타임
36+
37+
{{< glossary_definition term_id="container-runtime" length="all" >}}
38+
39+
{{% /capture %}}
40+
{{% capture whatsnext %}}
41+
* [컨테이너 이미지](/ko/docs/concepts/containers/images/)에 대해 읽어보기
42+
* [파드](/ko/docs/concepts/workloads/pods/)에 대해 읽어보기
43+
{{% /capture %}}

content/ko/docs/concepts/containers/runtime-class.md

Lines changed: 17 additions & 51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22 +10,14 @@ weight: 20
1010

1111
이 페이지는 런타임 클래스(RuntimeClass) 리소스와 런타임 선택 메커니즘에 대해서 설명한다.
1212

13-
{{< warning >}}
14-
런타임클래스는 v1.14 베타 업그레이드에서 *중대한* 변화를 포함한다.
15-
런타임클래스를 v1.14 이전부터 사용하고 있었다면,
16-
[런타임 클래스를 알파에서 베타로 업그레이드하기](#upgrading-runtimeclass-from-alpha-to-beta)를 확인한다.
17-
{{< /warning >}}
13+
런타임클래스는 컨테이너 런타임을 구성을 선택하는 기능이다. 컨테이너 런타임
14+
구성은 파드의 컨테이너를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1815

1916
{{% /capture %}}
2017

2118

2219
{{% capture body %}}
2320

24-
## 런타임 클래스
25-
26-
런타임 클래스는 컨테이너 런타임 설정을 선택하는 기능이다.
27-
이 컨테이너 런타임 설정은 파드의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에 이용한다.
28-
2921
## 동기
3022

3123
서로 다른 파드간에 런타임 클래스를 설정하여
@@ -38,7 +30,7 @@ weight: 20
3830
또한 런타임 클래스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런타임이 같으나 설정이 다른
3931
여러 파드를 실행할 수 있다.
4032

41-
### 셋업
33+
## 셋업
4234

4335
RuntimeClass 특징 게이트가 활성화(기본값)를 확인한다.
4436
특징 게이트 활성화에 대한 설명은 [특징 게이트](/docs/reference/command-line-tools-reference/feature-gates/)
@@ -47,7 +39,7 @@ RuntimeClass 특징 게이트가 활성화(기본값)를 확인한다.
4739
1. CRI 구현(implementation)을 노드에 설정(런타임에 따라서)
4840
2. 상응하는 런타임 클래스 리소스 생성
4941

50-
#### 1. CRI 구현을 노드에 설정
42+
### 1. CRI 구현을 노드에 설정
5143

5244
런타임 클래스를 통한 가능한 구성은 컨테이너 런타임 인터페이스(CRI) 구현에 의존적이다.
5345
사용자의 CRI 구현에 따른 설정 방법은
@@ -62,7 +54,7 @@ RuntimeClass 특징 게이트가 활성화(기본값)를 확인한다.
6254
해당 설정은 상응하는 `handler` 이름을 가지며, 이는 런타임 클래스에 의해서 참조된다.
6355
런타임 핸들러는 유효한 DNS 1123 서브도메인(알파-숫자 + `-``.`문자)을 가져야 한다.
6456

65-
#### 2. 상응하는 런타임 클래스 리소스 생성
57+
### 2. 상응하는 런타임 클래스 리소스 생성
6658

6759
1단계에서 셋업 한 설정은 연관된 `handler` 이름을 가져야 하며, 이를 통해서 설정을 식별할 수 있다.
6860
각 런타임 핸들러(그리고 선택적으로 비어있는 `""` 핸들러)에 대해서, 상응하는 런타임 클래스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 -88,7 +80,7 @@ handler: myconfiguration # 상응하는 CRI 설정의 이름임
8880
더 자세한 정보는 [권한 개요](/docs/reference/access-authn-authz/authorization/)를 참고한다.
8981
{{< /note >}}
9082
91-
### 사용
83+
## 사용
9284
9385
클러스터를 위해서 런타임 클래스를 설정하고 나면, 그것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파드 스펙에
9486
`runtimeClassName`를 명시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147,13 +139,13 @@ https://github.com/containerd/cri/blob/master/docs/config.md
147139
148140
[100]: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ri-o/cri-o/9f11d1d/docs/crio.conf.5.md
149141
150-
### 스케줄
142+
## 스케줄
151143
152144
{{< feature-state for_k8s_version="v1.16" state="beta" >}}
153145
154146
쿠버네티스 v1.16 부터, 런타임 클래스는 `scheduling` 필드를 통해 이종의 클러스터 지원을 포함한다.
155147
이 필드를 사용하면, 이 런타임 클래스를 갖는 파드가 이를 지원하는 노드로 스케줄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156-
이 스케줄링 기능을 사용하려면, 런타임 클래스 [어드미션(admission) 컨트롤러][]를 활성화(1.16 부터 기본 값)해야 한다.
148+
이 스케줄링 기능을 사용하려면, [런타임 클래스 어드미션(admission) 컨트롤러][]를 활성화(1.16 부터 기본 값)해야 한다.
157149
158150
파드가 지정된 런타임 클래스를 지원하는 노드에 안착한다는 것을 보장하려면,
159151
해당 노드들은 `runtimeClass.scheduling.nodeSelector` 필드에서 선택되는 공통 레이블을 가져야한다.
@@ -168,50 +160,24 @@ https://github.com/containerd/cri/blob/master/docs/config.md
168160
노드 셀렉터와 톨러레이션 설정에 대해 더 배우려면
169161
[노드에 파드 할당](/ko/docs/concepts/configuration/assign-pod-node/)을 참고한다.
170162
171-
[어드미션 컨트롤러]: /docs/reference/access-authn-authz/admission-controllers/
163+
[런타임 클래스 어드미션 컨트롤러]: /docs/reference/access-authn-authz/admission-controllers/#runtimeclass
172164
173165
### 파드 오버헤드
174166
175-
{{< feature-state for_k8s_version="v1.16" state="alpha" >}}
167+
{{< feature-state for_k8s_version="v1.18" state="beta" >}}
176168
177-
쿠버네티스 v1.16 부터는, 런타임 클래스에는 구동 중인 파드와 관련된 오버헤드를
178-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 [`PodOverhead`](/docs/concepts/configuration/pod-overhead) 기능을 통해 지원된다.
179-
`PodOverhead`를 사용하려면, PodOverhead [기능 게이트](/docs/reference/command-line-tools-reference/feature-gates/)
180-
활성화 시켜야 한다. (기본 값으로는 비활성화 되어 있다.)
169+
파드 실행과 연관되는 _오버헤드_ 리소스를 지정할 수 있다. 오버헤드를 선언하면
170+
클러스터(스케줄러 포함)가 파드와 리소스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처리를 할 수 있다.
171+
PodOverhead를 사용하려면, PodOverhead [기능 게이트](/docs/reference/command-line-tools-reference/feature-gates/)
172+
활성화 시켜야 한다. (기본으로 활성화 되어 있다.)
181173
182174
183-
파드 오버헤드는 런타임 클래스에서 `Overhead` 필드를 통해 정의된다. 이 필드를 사용하면,
175+
파드 오버헤드는 런타임 클래스에서 `overhead` 필드를 통해 정의된다. 이 필드를 사용하면,
184176
해당 런타임 클래스를 사용해서 구동 중인 파드의 오버헤드를 특정할 수 있고 이 오버헤드가
185177
쿠버네티스 내에서 처리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186178
187-
### 런타임 클래스를 알파에서 베타로 업그레이드 {#upgrading-runtimeclass-from-alpha-to-beta}
188-
189-
런타임 클래스 베타 기능은 다음의 변화를 포함한다.
190-
191-
- `node.k8s.io` API 그룹과 `runtimeclasses.node.k8s.io` 리소스는 CustomResourceDefinition에서
192-
내장 API로 이전되었다.
193-
- 런타임 클래스 정의에서 `spec`을 직접 사용할 수 있다.
194-
(즉, 더 이상 RuntimeClassSpec는 없다).
195-
- `runtimeHandler` 필드는 `handler`로 이름이 바뀌었다.
196-
- `handler` 필드는 이제 모두 API 버전에서 요구된다. 이는 알파 API에서도 `runtimeHandler` 필드가
197-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198-
- `handler` 필드는 반드시 올바른 DNS 레이블([RFC 1123](https://tools.ietf.org/html/rfc1123))으로,
199-
이는 더 이상 `.` 캐릭터(모든 버전에서)를 포함할 수 없다 의미이다. 올바른 핸들러는
200-
다음의 정규 표현식을 따른다. `^[a-z0-9]([-a-z0-9]*[a-z0-9])?$`.
201-
202-
**작업 필요** 다음 작업은 알파 버전의 런타임 기능을
203-
베타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진행되어야 한다.
204-
205-
- 런타임 클래스 리소스는 v1.14로 업그레이드 *후에* 반드시 재생성되어야 하고,
206-
`runtimeclasses.node.k8s.io` CRD는 다음과 같이 수동으로 지워야 한다.
207-
```
208-
kubectl delete customresourcedefinitions.apiextensions.k8s.io runtimeclasses.node.k8s.io
209-
```
210-
- 지정되지 않았거나 비어 있는 `runtimeHandler` 이거나 핸들러 내에 `.` 캐릭터를 사용한 알파 런타임 클래스는
211-
더 이상 올바르지 않으며, 반드시 올바른 핸들러 구성으로 이전헤야 한다
212-
(위를 참조).
213-
214-
### 더 읽기
179+
{{% /capture %}}
180+
{{% capture whatsnext %}}
215181
216182
- [런타임 클래스 설계](https://github.com/kubernetes/enhancements/blob/master/keps/sig-node/runtime-class.md)
217183
- [런타임 클래스 스케줄링 설계](https://github.com/kubernetes/enhancements/blob/master/keps/sig-node/runtime-class-scheduling.md)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