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95bd616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28947 from kubernetes/dev-1.21-ko.6
[ko] 6th Korean localization work for v1.21
2 parents 98cdc36 + d7e7357 commit 95bd616

File tree

31 files changed

+310
-104
lines changed

31 files changed

+310
-104
lines changed

content/ko/_index.html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7 +10,7 @@
1010
{{% blocks/feature image="flower" %}}
1111
K8s라고도 알려진 [쿠버네티스]({{< relref "/docs/concepts/overview/what-is-kubernetes" >}})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 스케일링 및 관리해주는 오픈소스 시스템입니다.
1212

13-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컨테이너들의 쉬운 관리 및 발견을 위해서 컨테이너들을 논리적인 단위로 그룹화합니다. 쿠버네티스는 [Google에서 15년간 프로덕션 워크로드 운영한 경험](http://queue.acm.org/detail.cfm?id=2898444)을 토대로 구축되었으며, 커뮤니티에서 제공한 최상의 아이디어와 방법들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13+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컨테이너들의 쉬운 관리 및 발견을 위해서 컨테이너들을 논리적인 단위로 그룹화합니다. 쿠버네티스는 [Google에서 15년간 프로덕션 워크로드 운영한 경험](https://queue.acm.org/detail.cfm?id=2898444)을 토대로 구축되었으며, 커뮤니티에서 제공한 최상의 아이디어와 방법들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1414
{{% /blocks/feature %}}
1515

1616
{{% blocks/feature image="scalable" %}}
@@ -48,7 +48,7 @@ <h2>150+ 마이크로서비스를 쿠버네티스로 마이그레이션하는
4848
<br>
4949
<br>
5050
<br>
51-
<a href="https://events.linuxfoundation.org/kubecon-cloudnativecon-europe/?utm_source=kubernetes.io&utm_medium=nav&utm_campaign=kccnceu21" button id="desktopKCButton">Revisit KubeCon EU 2021</a>
51+
<a href="https://events.linuxfoundation.org/kubecon-cloudnativecon-europe-2022/?utm_source=kubernetes.io&utm_medium=nav&utm_campaign=kccnceu22" button id="desktopKCButton">Attend KubeCon Europe on May 17-20, 2022</a>
5252
</div>
5353
<div id="videoPlayer">
5454
<iframe data-url="https://www.youtube.com/embed/H06qrNmGqyE?autoplay=1"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content/ko/case-studies/box/index.html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3,7 +23,7 @@ <h2>Challenge</h2>
2323

2424
<h2>Solution</h2>
2525

26-
<p>Over the past couple of years, Box has been decomposing its infrastructure into microservices, and became an early adopter of, as well as contributor to, <a href="http://kubernetes.io/">Kubernetes</a> container orchestration. Kubernetes, Ghods says, has allowed Box's developers to "target a universal set of concepts that are portable across all clouds."</p>
26+
<p>Over the past couple of years, Box has been decomposing its infrastructure into microservices, and became an early adopter of, as well as contributor to, <a href="https://kubernetes.io/">Kubernetes</a> container orchestration. Kubernetes, Ghods says, has allowed Box's developers to "target a universal set of concepts that are portable across all clouds."</p>
2727

2828
<h2>Impact</h2>
2929

@@ -37,7 +37,7 @@ <h2>Impact</h2>
3737
In the summer of 2014, Box was feeling the pain of a decade's worth of hardware and software infrastructure that wasn't keeping up with the company's needs.
3838
{{< /case-studies/lead >}}
3939

40-
<p>A platform that allows its more than 50 million users (including governments and big businesses like <a href="https://www.ge.com/">General Electric</a>) to manage and share content in the cloud, Box was originally a <a href="http://php.net/">PHP</a> monolith of millions of lines of code built exclusively with bare metal inside of its own data centers. It had already begun to slowly chip away at the monolith, decomposing it into microservices. And "as we've been expanding into regions around the globe, and as the public cloud wars have been heating up, we've been focusing a lot more on figuring out how we run our workload across many different environments and many different cloud infrastructure providers," says Box Cofounder and Services Architect Sam Ghods. "It's been a huge challenge thus far because of all these different providers, especially bare metal, have very different interfaces and ways in which you work with them."</p>
40+
<p>A platform that allows its more than 50 million users (including governments and big businesses like <a href="https://www.ge.com/">General Electric</a>) to manage and share content in the cloud, Box was originally a <a href="https://php.net/">PHP</a> monolith of millions of lines of code built exclusively with bare metal inside of its own data centers. It had already begun to slowly chip away at the monolith, decomposing it into microservices. And "as we've been expanding into regions around the globe, and as the public cloud wars have been heating up, we've been focusing a lot more on figuring out how we run our workload across many different environments and many different cloud infrastructure providers," says Box Cofounder and Services Architect Sam Ghods. "It's been a huge challenge thus far because of all these different providers, especially bare metal, have very different interfaces and ways in which you work with them."</p>
4141

4242
<p>Box's cloud native journey accelerated that June, when Ghods attended <a href="https://www.docker.com/events/dockercon">DockerCon</a>. The company had come to the realization that it could no longer run its applications only off bare metal, and was researching containerizing with Docker, virtualizing with OpenStack, and supporting public cloud.</p>
4343

content/ko/docs/concepts/architecture/nodes.md

Lines changed: 28 additions & 8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4 +1,7 @@
11
---
2+
3+
4+
25
title: 노드
36
content_type: concept
47
weight: 10
@@ -8,7 +11,8 @@ weight: 10
811

912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를 파드내에 배치하고 _노드_ 에서 실행함으로 워크로드를 구동한다.
1013
노드는 클러스터에 따라 가상 또는 물리적 머신일 수 있다. 각 노드는
11-
{{< glossary_tooltip text="컨트롤 플레인" term_id="control-plane" >}}에 의해 관리되며
14+
{{< glossary_tooltip text="컨트롤 플레인" term_id="control-plane" >}}에
15+
의해 관리되며
1216
{{< glossary_tooltip text="파드" term_id="pod" >}}를
1317
실행하는 데 필요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1418

@@ -272,17 +276,18 @@ kubelet은 `NodeStatus` 와 리스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업데이트 할
272276
#### 안정성
273277

274278
대부분의 경우, 노드 컨트롤러는 초당 `--node-eviction-rate`(기본값 0.1)로
275-
축출 비율을 제한한다. 이 말은 10초당 1개의 노드를 초과하여
279+
축출 속도를 제한한다. 이 말은 10초당 1개의 노드를 초과하여
276280
파드 축출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된다.
277281

278282
노드 축출 행위는 주어진 가용성 영역 내 하나의 노드가 상태가 불량할
279283
경우 변화한다. 노드 컨트롤러는 영역 내 동시에 상태가 불량한 노드의 퍼센티지가 얼마나 되는지
280284
체크한다(NodeReady 컨디션은 ConditionUnknown 또는
281-
ConditionFalse 다.).
282-
- 상태가 불량한 노드의 일부가 최소 `--unhealthy-zone-threshold`
283-
(기본값 0.55)가 되면 축출 비율은 감소한다.
285+
ConditionFalse 다).
286+
- 상태가 불량한 노드의 비율이 최소 `--unhealthy-zone-threshold`
287+
(기본값 0.55)가 되면 축출 속도가 감소한다.
284288
- 클러스터가 작으면 (즉 `--large-cluster-size-threshold`
285-
노드 이하면 - 기본값 50) 축출은 중지되고, 그렇지 않으면 축출 비율은 초당
289+
노드 이하면 - 기본값 50) 축출이 중지된다.
290+
- 이외의 경우, 축출 속도는 초당
286291
`--secondary-node-eviction-rate`(기본값 0.01)로 감소된다.
287292

288293
이 정책들이 가용성 영역 단위로 실행되어지는 이유는 나머지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 -293,7 +298,7 @@ ConditionFalse 다.).
293298
노드가 가용성 영역들에 걸쳐 퍼져 있는 주된 이유는 하나의 전체 영역이
294299
장애가 발생할 경우 워크로드가 상태 양호한 영역으로 이전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295300
그러므로, 하나의 영역 내 모든 노드들이 상태가 불량하면 노드 컨트롤러는
296-
`--node-eviction-rate` 의 정상 비율로 축출한다. 코너 케이스란 모든 영역이
301+
`--node-eviction-rate` 의 정상 속도로 축출한다. 코너 케이스란 모든 영역이
297302
완전히 상태불량 (즉 클러스터 내 양호한 노드가 없는 경우) 한 경우이다.
298303
이러한 경우, 노드 컨트롤러는 마스터 연결에 문제가 있어 일부 연결이
299304
복원될 때까지 모든 축출을 중지하는 것으로 여긴다.
@@ -347,7 +352,8 @@ Kubelet은 노드가 종료되는 동안 파드가 일반 [파드 종료 프로
347352
사용하여 주어진 기간 동안 노드 종료를 지연시키므로 systemd에 의존한다.
348353

349354
그레이스풀 노드 셧다운은 1.21에서 기본적으로 활성화된 `GracefulNodeShutdown`
350-
[기능 게이트](/ko/docs/reference/command-line-tools-reference/feature-gates/)로 제어된다.
355+
[기능 게이트](/ko/docs/reference/command-line-tools-reference/feature-gates/)
356+
제어된다.
351357

352358
기본적으로, 아래 설명된 두 구성 옵션,
353359
`ShutdownGracePeriod``ShutdownGracePeriodCriticalPods` 는 모두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 -371,6 +377,20 @@ Kubelet은 노드가 종료되는 동안 파드가 일반 [파드 종료 프로
371377
유예 종료에 할당되고, 마지막 10초는
372378
[중요 파드](/docs/tasks/administer-cluster/guaranteed-scheduling-critical-addon-pods/#marking-pod-as-critical)의 종료에 할당된다.
373379

380+
{{< note >}}
381+
그레이스풀 노드 셧다운 과정에서 축출된 파드는 `Failed` 라고 표시된다.
382+
`kubectl get pods` 명령을 실행하면 축출된 파드의 상태가 `Shutdown`으로 표시된다.
383+
그리고 `kubectl describe pod` 명령을 실행하면 노드 셧다운으로 인해 파드가 축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384+
385+
```
386+
Status: Failed
387+
Reason: Shutdown
388+
Message: Node is shutting, evicting pods
389+
```
390+
391+
실패한 파드 오브젝트는 명시적으로 삭제하거나 [가비지 콜렉션에 의해 정리](/ko/docs/concepts/workloads/pods/pod-lifecycle/#pod-garbage-collection)되기 전까지는 보존된다.
392+
이는 갑작스러운 노드 종료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동작에 차이가 있다.
393+
{{< /note >}}
374394

375395
## {{% heading "whatsnext" %}}
376396

content/ko/docs/concepts/cluster-administration/manage-deployment.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50,7 +50,7 @@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nginx/
5050
URL을 구성 소스로 지정할 수도 있다. 이는 GitHub에 체크인된 구성 파일에서 직접 배포하는 데 편리하다.
5151

5252
```shell
53-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website/master/content/en/examples/application/nginx/nginx-deployment.yaml
53+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website/main/content/en/examples/application/nginx/nginx-deployment.yaml
5454
```
5555

5656
```shell

content/ko/docs/concepts/configuration/organize-cluster-access-kubeconfig.md

Lines changed: 5 additions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7,6 +17,11 @@ kubeconfig 파일들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사용자, 네임스페이스
1717
`kubeconfig`라는 이름의 파일이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1818
{{< /note >}}
1919

20+
{{< warning >}}
21+
신뢰할 수 있는 소스의 kubeconfig 파일만 사용한다. 특수 제작된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하면 악성 코드가 실행되거나 파일이 노출될 수 있다.
22+
신뢰할 수 없는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셸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경우처럼 먼저 신중하게 검사한다.
23+
{{< /warning>}}
24+
2025
기본적으로 `kubectl``$HOME/.kube` 디렉터리에서 `config`라는 이름의 파일을 찾는다.
2126
`KUBECONFIG` 환경 변수를 설정하거나
2227
[`--kubeconfig`](/docs/reference/generated/kubectl/kubectl/) 플래그를 지정해서
@@ -154,4 +159,3 @@ kubeconfig 파일에서 파일과 경로 참조는 kubeconfig 파일의 위치
154159

155160

156161

157-

content/ko/docs/concepts/containers/images.md

Lines changed: 14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77,6 +77,20 @@ weight: 10
7777

7878
`imagePullPolicy` 가 특정값 없이 정의되면, `Always` 로 설정된다.
7979

80+
### 이미지풀백오프(ImagePullBackOff)
81+
82+
kubelet이 컨테이너 런타임을 사용하여 파드의 컨테이너 생성을 시작할 때,
83+
`ImagePullBackOff`로 인해 컨테이너가
84+
[Waiting](/ko/docs/concepts/workloads/pods/pod-lifecycle/#container-state-waiting) 상태에 있을 수 있다.
85+
86+
`ImagePullBackOff`라는 상태는 (이미지 이름이 잘못됨, 또는 `imagePullSecret` 없이
87+
비공개 레지스트리에서 풀링 시도 등의 이유로) 쿠버네티스가 컨테이너 이미지를
88+
가져올 수 없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BackOff`라는 단어는
89+
쿠버네티스가 백오프 딜레이를 증가시키면서 이미지 풀링을 계속 시도할 것임을 나타낸다.
90+
91+
쿠버네티스는 시간 간격을 늘려가면서 시도를 계속하며, 시간 간격의 상한은 쿠버네티스 코드에
92+
300초(5분)로 정해져 있다.
93+
8094
## 이미지 인덱스가 있는 다중 아키텍처 이미지
8195

8296
바이너리 이미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레지스트리는 [컨테이너 이미지 인덱스](https://github.com/opencontainers/image-spec/blob/master/image-index.md)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미지 인덱스는 컨테이너의 아키텍처별 버전에 대한 여러 [이미지 매니페스트](https://github.com/opencontainers/image-spec/blob/master/manifest.md)를 가리킬 수 있다. 아이디어는 이미지의 이름(예를 들어, `pause`, `example/mycontainer`, `kube-apiserver`)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다른 시스템들이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아키텍처에 적합한 바이너리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다.

content/ko/docs/concepts/extend-kubernetes/operator.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6,14 +116,15 @@ kubectl edit SampleDB/example-database # 일부 설정을 수동으로 변경하
116116
* [Charmed Operator Framework](https://juju.is/)
117117
* [kubebuilder](https://book.kubebuilder.io/) 사용하기
118118
* [KUDO](https://kudo.dev/) (Kubernetes Universal Declarative Operator)
119-
* 웹훅(WebHook)과 함께 [Metacontroller](https://metacontroller.app/)
119+
* 웹훅(WebHook)과 함께 [Metacontroller](https://metacontroller.github.io/metacontroller/intro.html)
120120
사용하여 직접 구현하기
121121
* [오퍼레이터 프레임워크](https://operatorframework.io)
122122
* [shell-operator](https://github.com/flant/shell-operator)
123123

124124
## {{% heading "whatsnext" %}}
125125

126126

127+
* {{< glossary_tooltip text="CNCF" term_id="cncf" >}} [오퍼레이터 백서](https://github.com/cncf/tag-app-delivery/blob/eece8f7307f2970f46f100f51932db106db46968/operator-wg/whitepaper/Operator-WhitePaper_v1-0.md) 읽어보기
127128
* [사용자 정의 리소스](/ko/docs/concepts/extend-kubernetes/api-extension/custom-resources/)에 대해 더 알아보기
128129
* [OperatorHub.io](https://operatorhub.io/)에서 유스케이스에 맞는 이미 만들어진 오퍼레이터 찾기
129130
* 다른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자신의 오퍼레이터를 [게시](https://operatorhub.io/)하기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