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9e6b2ef

Browse files
committed
[ko] Update links in dev-1.23-ko.2
1 parent 7e2afa9 commit 9e6b2ef

File tree

30 files changed

+36
-36
lines changed

30 files changed

+36
-36
lines changed

content/ko/docs/concepts/architecture/garbage-collection.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61,12 +161,12 @@ Kubelet은 자신이 관리하는 컨테이너에 대한 가비지 수집만을
161161
다음 페이지에서 어떻게 가비지 수집을 구성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162162

163163
*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캐스케이딩 삭제 구성하기](/docs/tasks/administer-cluster/use-cascading-deletion/)
164-
* [완료된 잡 자동 정리하기](/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ttlafterfinished/)
164+
* [완료된 잡 자동 정리하기](/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ttlafterfinished/)
165165

166166
<!-- * [Configuring unused container and image garbage collection](/docs/tasks/administer-cluster/reconfigure-kubelet/) -->
167167

168168
## {{% heading "whatsnext" %}}
169169

170170
*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소유권](/docs/concepts/overview/working-with-objects/owners-dependents/)에 대해 알아보자.
171171
* 쿠버네티스 [finalizers](/docs/concepts/overview/working-with-objects/finalizers/)에 대해 알아보자.
172-
* 완료된 잡을 정리하는 [TTL 컨트롤러](/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ttlafterfinished/) (beta) 에 대해 알아보자.
172+
* 완료된 잡을 정리하는 [TTL 컨트롤러](/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ttlafterfinished/) (beta) 에 대해 알아보자.

content/ko/docs/concepts/containers/images.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56,5 +456,5 @@ Kubelet은 모든 `imagePullSecrets` 파일을 하나의 가상 `.docker/config.
456456
## {{% heading "whatsnext" %}}
457457

458458
* [OCI 이미지 매니페스트 명세](https://github.com/opencontainers/image-spec/blob/master/manifest.md) 읽어보기.
459-
* [컨테이너 이미지 가비지 수집(garbage collection)](/docs/concepts/architecture/garbage-collection/#container-image-garbage-collection)에 대해 배우기.
459+
* [컨테이너 이미지 가비지 수집(garbage collection)](/ko/docs/concepts/architecture/garbage-collection/#container-image-garbage-collection)에 대해 배우기.
460460
* [프라이빗 레지스트리에서 이미지 받아오기](/ko/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pull-image-private-registry)

content/ko/docs/concepts/extend-kubernetes/_index.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45,7 +145,7 @@ API를 추가해도 기존 API(예: 파드)의 동작에 직접 영향을 미치
145145

146146
### 인가
147147

148-
[인가](/docs/reference/access-authn-authz/authorization/)는 특정 사용자가 API 리소스에서 읽고, 쓰고,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전체 리소스 레벨에서 작동하며 임의의 오브젝트 필드를 기준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빌트인 인증 옵션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인가 웹훅](/docs/reference/access-authn-authz/webhook/)을 통해 사용자가 제공한 코드를 호출하여 인증 결정을 내릴 수 있다.
148+
[인가](/ko/docs/reference/access-authn-authz/authorization/)는 특정 사용자가 API 리소스에서 읽고, 쓰고,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전체 리소스 레벨에서 작동하며 임의의 오브젝트 필드를 기준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빌트인 인증 옵션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인가 웹훅](/docs/reference/access-authn-authz/webhook/)을 통해 사용자가 제공한 코드를 호출하여 인증 결정을 내릴 수 있다.
149149

150150

151151
### 동적 어드미션 컨트롤

content/ko/docs/concepts/extend-kubernetes/compute-storage-net/device-plugins.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88,7 +288,7 @@ message AllocatableResourcesResponse {
288288
289289
```
290290
쿠버네티스 v1.23부터, `GetAllocatableResources`가 기본으로 활성화된다.
291-
이를 비활성화하려면 `KubeletPodResourcesGetAllocatable` [기능 게이트(feature gate)](/docs/reference/command-line-tools-reference/feature-gates/)
291+
이를 비활성화하려면 `KubeletPodResourcesGetAllocatable` [기능 게이트(feature gate)](/ko/docs/reference/command-line-tools-reference/feature-gates/)
292292
끄면 된다.
293293

294294
쿠버네티스 v1.23 이전 버전에서 이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kubelet`이 다음 플래그를 가지고 시작되어야 한다.

content/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ingress.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6,7 +26,7 @@ weight: 40
2626
## 인그레스란?
2727

2828
[인그레스](/docs/reference/generated/kubernetes-api/{{< param "version" >}}/#ingress-v1-networking-k8s-io)는 클러스터 외부에서 클러스터 내부
29-
{{< link text="서비스" url="/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 >}}로 HTTP와 HTTPS 경로를 노출한다.
29+
{{< link text="서비스" url="/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 >}}로 HTTP와 HTTPS 경로를 노출한다.
3030
트래픽 라우팅은 인그레스 리소스에 정의된 규칙에 의해 컨트롤된다.
3131

3232
다음은 인그레스가 모든 트래픽을 하나의 서비스로 보내는 간단한 예시이다.

content/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job.md

Lines changed: 3 additions & 3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16,10 +416,10 @@ spec:
416416
| [정적 작업 할당을 사용한 인덱싱된 잡] | W | any |
417417
| [잡 템플릿 확장] | 1 | 1이어야 함 |
418418

419-
[작업 항목 당 파드가 있는 큐]: /docs/tasks/job/coarse-parallel-processing-work-queue/
420-
[가변 파드 수를 가진 큐]: /docs/tasks/job/fine-parallel-processing-work-queue/
419+
[작업 항목 당 파드가 있는 큐]: /ko/docs/tasks/job/coarse-parallel-processing-work-queue/
420+
[가변 파드 수를 가진 큐]: /ko/docs/tasks/job/fine-parallel-processing-work-queue/
421421
[정적 작업 할당을 사용한 인덱싱된 잡]: /docs/tasks/job/indexed-parallel-processing-static/
422-
[잡 템플릿 확장]: /docs/tasks/job/parallel-processing-expansion/
422+
[잡 템플릿 확장]: /ko/docs/tasks/job/parallel-processing-expansion/
423423

424424
## 고급 사용법
425425

content/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statefulset.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05,7 +405,7 @@ spec:
405405
* [스테이트풀셋 확장하기](/ko/docs/tasks/run-application/scale-stateful-set/)에 대해 배운다.
406406
* [스테이트풀셋을 삭제하면](/ko/docs/tasks/run-application/delete-stateful-set/) 어떤 일이 수반되는지를 배운다.
407407
* [스토리지의 볼륨을 사용하는 파드 구성](/ko/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configure-volume-storage/)을 하는 방법을 배운다.
408-
* [스토리지로 퍼시스턴트볼륨(PersistentVolume)을 사용하도록 파드 설정](/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configure-persistent-volume-storage/)하는 방법을 배운다.
408+
* [스토리지로 퍼시스턴트볼륨(PersistentVolume)을 사용하도록 파드 설정](/ko/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configure-persistent-volume-storage/)하는 방법을 배운다.
409409
* `StatefulSet`은 쿠버네티스 REST API의 상위-수준 리소스이다.
410410
스테이트풀셋 API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411411
{{< api-reference page="workload-resources/stateful-set-v1" >}} 오브젝트 정의를 읽는다.

content/ko/docs/concepts/workloads/pods/pod-topology-spread-constraints.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58,7 +58,7 @@ graph TB
5858
class zoneA,zoneB cluster;
5959
{{< /mermaid >}}
6060

61-
레이블을 수동으로 적용하는 대신에, 사용자는 대부분의 클러스터에서 자동으로 생성되고 채워지는 [-알려진 레이블](/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을 재사용할 수 있다.
61+
레이블을 수동으로 적용하는 대신에, 사용자는 대부분의 클러스터에서 자동으로 생성되고 채워지는 [ 알려진 레이블](/ko/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을 재사용할 수 있다.
6262

6363
## 파드의 분배 제약 조건
6464

content/ko/docs/contribute/style/write-new-topic.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4,7 +24,7 @@ weight: 20
2424
타입 | 설명
2525
:--- | :----------
2626
개념 | 개념 페이지는 쿠버네티스의 일부 측면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개념 페이지는 쿠버네티스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를 설명하고 배치, 확장 및 업데이트되는 동안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수행하는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념 페이지는 일련의 단계가 포함되지 않지만 대신 태스크나 튜토리얼에 대한 링크를 제공한다. 개념 문서의 예로서 <a href="/ko/docs/concepts/architecture/nodes/">노드</a>를 참조하자.
27-
태스크 | 태스크 페이지는 단일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아이디어는 독자가 페이지를 읽을 때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태스크 페이지는 한 영역에 집중되어 있으면 짧거나 길 수 있다. 태스크 페이지에서 수행할 단계와 간단한 설명을 혼합하는 것은 괜찮지만, 긴 설명을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는 개념 문서에서 수행해야 한다. 관련 태스크와 개념 문서는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짧은 태스크 페이지의 예제는 <a href="/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configure-volume-storage/">저장소에 볼륨을 사용하도록 파드 구성</a>을 참조하자. 더 긴 태스크 페이지의 예제는 <a href="/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configure-liveness-readiness-probes/">활동성 및 준비성 프로브 구성</a>을 참조하자.
27+
태스크 | 태스크 페이지는 단일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아이디어는 독자가 페이지를 읽을 때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태스크 페이지는 한 영역에 집중되어 있으면 짧거나 길 수 있다. 태스크 페이지에서 수행할 단계와 간단한 설명을 혼합하는 것은 괜찮지만, 긴 설명을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는 개념 문서에서 수행해야 한다. 관련 태스크와 개념 문서는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짧은 태스크 페이지의 예제는 <a href="/ko/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configure-volume-storage/">저장소에 볼륨을 사용하도록 파드 구성</a>을 참조하자. 더 긴 태스크 페이지의 예제는 <a href="/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configure-liveness-readiness-probes/">활동성 및 준비성 프로브 구성</a>을 참조하자.
2828
튜토리얼 | 튜토리얼 페이지는 여러 쿠버네티스의 특징들을 하나로 묶어서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튜토리얼은 독자들이 페이지를 읽을 때 실제로 할 수 있는 몇 가지 단계의 순서를 제공한다. 또는 관련 코드 일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튜토리얼은 코드 샘플의 연습을 제공할 수 있다. 튜토리얼에는 쿠버네티스의 특징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포함될 수 있지만 개별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관련 개념 문서과 연결지어야 한다.
2929
{{< /table >}}
3030

content/ko/docs/reference/_index.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6,7 +26,7 @@ no_list: true
2626
* [쿠버네티스 {{< param "version" >}}용 원페이지(One-page) API 레퍼런스](/docs/reference/generated/kubernetes-api/{{< param "version" >}}/)
2727
* [쿠버네티스 API 사용](/ko/docs/reference/using-api/) - 쿠버네티스 API에 대한 개요
2828
* [API 접근 제어](/ko/docs/reference/access-authn-authz/) - 쿠버네티스가 API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세부사항
29-
* [잘 알려진 레이블, 어노테이션과 테인트](/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
29+
* [잘 알려진 레이블, 어노테이션과 테인트](/ko/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
3030

3131
## 공식적으로 지원되는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3232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