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a2a91d8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31792 from jihoon-seo/220218_Outdated_M40-M49
[ko] Update outdated files in `dev-1.23-ko.2` (M40-M49)
2 parents 83faf5f + 8a73287 commit a2a91d8

File tree

10 files changed

+102
-67
lines changed

10 files changed

+102
-67
lines changed

content/ko/docs/reference/_index.md

Lines changed: 8 additions & 6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73,14 +73,16 @@ TCP/UDP 스트림 포워딩이나 백-엔드 집합에 걸쳐서 라운드-로
7373
사용/관리하는 데에 중요하지만, 이들 API의 대부분은 아직 API 서버가
7474
제공하지 않는다.
7575

76-
* [kube-apiserver 환경설정 (v1beta1)](/docs/reference/config-api/apiserver-config.v1beta1/)
77-
* [kubelet 환경설정 (v1beta1)](/docs/reference/config-api/kubelet-config.v1beta1/)
78-
* [kube-scheduler 환경설정 (v1beta2)](/docs/reference/config-api/kube-scheduler-config.v1beta2/)
79-
* [kube-scheduler 환경설정 (v1beta3)](/docs/reference/config-api/kube-scheduler-config.v1beta3/)
80-
* [kube-scheduler 정책 레퍼런스 (v1)](/docs/reference/config-api/kube-scheduler-policy-config.v1/)
76+
77+
* [kube-apiserver 환경설정 (v1)](/docs/reference/config-api/apiserver-config.v1/)
78+
* [kubelet 환경설정 (v1alpha1)](/docs/reference/config-api/kubelet-config.v1alpha1/)
79+
[kubelet 환경설정 (v1beta1)](/docs/reference/config-api/kubelet-config.v1beta1/)
80+
* [kube-scheduler 환경설정 (v1beta2)](/docs/reference/config-api/kube-scheduler-config.v1beta2/)
81+
[kube-scheduler 환경설정 (v1beta3)](/docs/reference/config-api/kube-scheduler-config.v1beta3/)
8182
* [kube-proxy 환경설정 (v1alpha1)](/docs/reference/config-api/kube-proxy-config.v1alpha1/)
8283
* [`audit.k8s.io/v1` API](/docs/reference/config-api/apiserver-audit.v1/)
83-
* [클라이언트 인증 API (v1beta1)](/docs/reference/config-api/client-authentication.v1beta1/)
84+
* [클라이언트 인증 API (v1beta1)](/docs/reference/config-api/client-authentication.v1beta1/)
85+
[클라이언트 인증 API (v1)](/docs/reference/config-api/client-authentication.v1/)
8486
* [WebhookAdmission 환경설정 (v1)](/docs/reference/config-api/apiserver-webhookadmission.v1/)
8587

8688
## kubeadm을 위한 API 설정

content/ko/docs/reference/command-line-tools-reference/feature-gates.md

Lines changed: 59 additions & 26 deletions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content/ko/docs/reference/glossary/container-runtime.md

Lines changed: 4 additions & 4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5,7 +15,7 @@ tags:
1515

1616
<!--more-->
1717

18-
쿠버네티스는 여러 컨테이너 런타임을 지원한다. {{< glossary_tooltip term_id="docker">}},
19-
{{< glossary_tooltip term_id="containerd" >}}, {{< glossary_tooltip term_id="cri-o" >}}
20-
그리고 [Kubernetes CRI (컨테이너 런타임
21-
인터페이스)](https://github.com/kubernetes/community/blob/master/contributors/devel/sig-node/container-runtime-interface.md)를 구현한 모든 소프트웨어.
18+
쿠버네티스는 {{< glossary_tooltip term_id="containerd" >}},
19+
{{< glossary_tooltip term_id="cri-o" >}}와 같은 컨테이너 런타임 및
20+
모든 [Kubernetes CRI (컨테이너 런타임 인터페이스)](https://github.com/kubernetes/community/blob/master/contributors/devel/sig-node/container-runtime-interface.md)
21+
구현체를 지원한다.

content/ko/docs/reference/kubectl/conventions.md

Lines changed: 0 additions & 23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31,29 +31,6 @@ content_type: concept
3131

3232
`--dry-run` 플래그를 사용하여 실제로 제출하지 않고 클러스터로 보낼 오브젝트를 미리 볼 수 있다.
3333

34-
{{< note >}}
35-
모든 `kubectl run`의 생성기(generator)는 더 이상 사용 할 수 없다. 생성기 [목록](https://v1-17.docs.kubernetes.io/docs/reference/kubectl/conventions/#generators) 및 사용 방법은 쿠버네티스 v1.17 문서를 참고한다.
36-
{{< /note >}}
37-
38-
#### 생성기
39-
`kubectl create --dry-run -o yaml`라는 kubectl 커맨드를 통해 다음과 같은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40-
41-
* `clusterrole`: 클러스터롤(ClusterRole)를 생성한다.
42-
* `clusterrolebinding`: 특정 클러스터롤에 대한 클러스터롤바인딩(ClusterRoleBinding)을 생성한다.
43-
* `configmap`: 로컬 파일, 디렉토리 또는 문자 그대로의 값으로 컨피그맵(ConfigMap)을 생성한다.
44-
* `cronjob`: 지정된 이름으로 크론잡(CronJob)을 생성한다.
45-
* `deployment`: 지정된 이름으로 디플로이먼트(Deployment)를 생성한다.
46-
* `job`: 지정된 이름으로 잡(Job)을 생성한다.
47-
* `namespace`: 지정된 이름으로 네임스페이스(Namespace)를 생성한다.
48-
* `poddisruptionbudget`: 지정된 이름으로 PodDisruptionBudget을 생성한다.
49-
* `priorityclass`: 지정된 이름으로 프라이어리티클래스(PriorityClass)을 생성한다.
50-
* `quota`: 지정된 이름으로 쿼터(Quota)를 생성한다.
51-
* `role`: 단일 규칙으로 롤(Role)을 생성한다.
52-
* `rolebinding`: 특정 롤 또는 클러스터롤에 대한 롤바인딩(RoleBinding)을 생성한다.
53-
* `secret`: 지정된 하위 커맨드를 사용하여 시크릿(Secret)을 생성한다.
54-
* `service`: 지정된 하위 커맨드를 사용하여 서비스(Service)를 생성한다.
55-
* `serviceaccount`: 지정된 이름으로 서비스어카운트(ServiceAccount)을 생성한다.
56-
5734
### `kubectl apply`
5835

5936
* `kubectl apply`를 사용해서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 할 수 있다. kubectl apply를 사용하여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Kubectl 책](https://kubectl.docs.kubernetes.io)을 참고한다.

content/ko/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md

Lines changed: 14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59,6 +159,20 @@ _SelectorSpreadPriority_ 는 최선 노력(best effort) 배치 방법이다. 클
159159
`PersistentVolumeLabel`이 퍼시스턴트볼륨의 자동 레이블링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레이블을 수동으로 추가하거나 `PersistentVolumeLabel`이 동작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160160
`PersistentVolumeLabel`이 설정되어 있으면, 스케줄러는 파드가 다른 영역에 있는 볼륨에 마운트하는 것을 막는다. 만약 사용 중인 인프라에 이러한 제약이 없다면, 볼륨에 영역 레이블을 추가할 필요가 전혀 없다.
161161

162+
## volume.beta.kubernetes.io/storage-provisioner (사용 중단됨)
163+
164+
예시: `volume.beta.kubernetes.io/storage-provisioner: k8s.io/minikube-hostpath`
165+
166+
적용 대상: PersistentVolumeClaim
167+
168+
이 어노테이션은 사용 중단되었다.
169+
170+
## volume.kubernetes.io/storage-provisioner
171+
172+
적용 대상: PersistentVolumeClaim
173+
174+
이 어노테이션은 동적 프로비저닝이 요구되는 PVC에 추가될 예정이다.
175+
162176
## node.kubernetes.io/windows-build {#nodekubernetesiowindows-build}
163177

164178
예시: `node.kubernetes.io/windows-build=10.0.17763`

content/ko/docs/reference/scheduling/policies.md

Lines changed: 0 additions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7,4 +17,3 @@ sitemap:
1717
* [스케줄링](/ko/docs/concepts/scheduling-eviction/kube-scheduler/)에 대해 배우기
1818
* [kube-scheduler 프로파일](/docs/reference/scheduling/profiles/)에 대해 배우기
1919
* [kube-scheduler configuration 레퍼런스 (v1beta3)](/docs/reference/config-api/kube-scheduler-config.v1beta3) 읽어보기
20-
* [kube-scheduler Policy 레퍼런스 (v1)](/docs/reference/config-api/kube-scheduler-policy-config.v1/) 읽어보기

content/ko/docs/reference/tools/_index.md

Lines changed: 13 additions & 6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2,16 +12,17 @@ no_list: true
1212

1313
<!-- body -->
1414

15-
## Minikube
15+
## crictl
1616

17-
[`minikube`](https://minikube.sigs.k8s.io/docs/)는 개발과 테스팅 목적으로
18-
단일 노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로컬 워크스테이션에서
19-
실행하는 도구이다.
17+
[`crictl`](https://github.com/kubernetes-sigs/cri-tools)
18+
{{<glossary_tooltip term_id="cri" text="CRI">}}-호환 컨테이너 런타임의 조사 및 디버깅을 위한
19+
명령줄 인터페이스이다.
2020

2121
## 대시보드
2222

23-
[`대시보드`](/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web-ui-dashboard/), 는 쿠버네티스의 웹기반 유저 인터페이스이며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로 배포하고
24-
클러스터 및 클러스터 자원의 문제를 해결하며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23+
[`대시보드`](/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web-ui-dashboard/)
24+
쿠버네티스의 웹기반 유저 인터페이스이며
25+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로 배포하고 클러스터 및 클러스터 자원의 문제를 해결하며 관리할 수 있게 해 준다.
2526

2627
## Helm
2728
{{% thirdparty-content single="true" %}}
@@ -65,3 +66,9 @@ Kui를 사용하면 다음의 작업이 가능하다.
6566
* {{< glossary_tooltip text="잡" term_id="job">}}을 조회하여
6667
실행 형상을 워터폴 그림으로 확인한다.
6768
* 탭이 있는 UI를 이용하여 클러스터의 자원을 클릭 동작으로 확인할 수 있다.
69+
70+
## Minikube
71+
72+
[`minikube`](https://minikube.sigs.k8s.io/docs/)는 개발과 테스팅 목적으로
73+
단일 노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로컬 워크스테이션에서
74+
실행하는 도구이다.

content/ko/docs/reference/using-api/client-libraries.md

Lines changed: 1 addition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67,6 +67,7 @@ API 호출 또는 요청/응답 타입을 직접 구현할 필요는 없다.
6767
| PHP | [github.com/travisghansen/kubernetes-client-php](https://github.com/travisghansen/kubernetes-client-php) |
6868
| PHP | [github.com/renoki-co/php-k8s](https://github.com/renoki-co/php-k8s) |
6969
| Python | [github.com/fiaas/k8s](https://github.com/fiaas/k8s) |
70+
| Python | [github.com/gtsystem/lightkube](https://github.com/gtsystem/lightkube) |
7071
| Python | [github.com/mnubo/kubernetes-py](https://github.com/mnubo/kubernetes-py) |
7172
| Python | [github.com/tomplus/kubernetes_asyncio](https://github.com/tomplus/kubernetes_asyncio) |
7273
| Python | [github.com/Frankkkkk/pykorm](https://github.com/Frankkkkk/pykorm) |

content/ko/docs/setup/best-practices/certificates.md

Lines changed: 3 additions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5 +1,7 @@
11
---
22
title: PKI 인증서 및 요구 사항
3+
4+
35
content_type: concept
46
weight: 40
57
---
@@ -75,7 +77,7 @@ etcd 역시 클라이언트와 피어 간에 상호 TLS 인증을 구현한다.
7577

7678
| 기본 CN | 부모 CA | O (주체에서) | 종류 | 호스트 (SAN) |
7779
|-------------------------------|---------------------------|----------------|----------------------------------------|---------------------------------------------|
78-
| kube-etcd | etcd-ca | | server, client | `localhost`, `127.0.0.1` |
80+
| kube-etcd | etcd-ca | | server, client | `<hostname>`, `<Host_IP>`, `localhost`, `127.0.0.1` |
7981
| kube-etcd-peer | etcd-ca | | server, client | `<hostname>`, `<Host_IP>`, `localhost`, `127.0.0.1` |
8082
| kube-etcd-healthcheck-client | etcd-ca | | client | |
8183
| kube-apiserver-etcd-client | etcd-ca | system:masters | client | |
File renamed without changes.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