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a772fcf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29237 from kubernetes/dev-1.21-ko.7
[ko] 7th Korean localization work for v1.21
2 parents eed4b02 + 43b2e77 commit a772fcf

37 files changed

+1524
-249
lines changed

content/ko/docs/concepts/architecture/cloud-controller.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10,7 +210,7 @@ rules:
210210
211211
자체 클라우드 컨트롤러 매니저를 구현하거나 기존 프로젝트를 확장하는 방법을 알고 싶은가?
212212
213-
클라우드 컨트롤러 매니저는 Go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모든 클라우드 플러그인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kubernetes/cloud-provider](https://github.com/kubernetes/cloud-provider)의 [`cloud.go`](https://github.com/kubernetes/cloud-provider/blob/release-1.17/cloud.go#L42-L62)에 정의된 `CloudProvider`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213+
클라우드 컨트롤러 매니저는 Go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클라우드에 대한 구현체(implementation)라도 플러그인 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kubernetes/cloud-provider](https://github.com/kubernetes/cloud-provider)의 [`cloud.go`](https://github.com/kubernetes/cloud-provider/blob/release-1.21/cloud.go#L42-L69)에 정의된 `CloudProvider`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214214

215215
이 문서(노드, 라우트와 서비스)에서 강조된 공유 컨트롤러의 구현과 공유 cloudprovider 인터페이스와 함께 일부 스캐폴딩(scaffolding)은 쿠버네티스 핵심의 일부이다. 클라우드 공급자 전용 구현은 쿠버네티스의 핵심 바깥에 있으며 `CloudProvid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216216

content/ko/docs/concepts/cluster-administration/logging.md

Lines changed: 5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83,8 +83,11 @@ kubectl logs counter
8383
[`configure-helper` 스크립트](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blob/{{< param "githubbranch" >}}/cluster/gce/gci/configure-helper.sh)를 통해
8484
자세히 알 수 있다.
8585

86-
**CRI 컨테이너 런타임** 을 사용할 때, kubelet은 로그를 로테이션하고 로깅 디렉터리 구조를 관리한다. kubelet은
87-
이 정보를 CRI 컨테이너 런타임에 전송하고 런타임은 컨테이너 로그를 지정된 위치에 기록한다. 두 개의 kubelet 플래그 `container-log-max-size``container-log-max-files` 를 사용하여 각 로그 파일의 최대 크기와 각 컨테이너에 허용되는 최대 파일 수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86+
**CRI 컨테이너 런타임** 을 사용할 때, kubelet은 로그를 로테이션하고 로깅 디렉터리 구조를 관리한다.
87+
kubelet은 이 정보를 CRI 컨테이너 런타임에 전송하고 런타임은 컨테이너 로그를 지정된 위치에 기록한다.
88+
[kubelet config file](/docs/tasks/administer-cluster/kubelet-config-file/)에 있는
89+
두 개의 kubelet 파라미터 [`containerLogMaxSize``containerLogMaxFiles`](/docs/reference/config-api/kubelet-config.v1beta1/#kubelet-config-k8s-io-v1beta1-KubeletConfiguration)
90+
사용하여 각 로그 파일의 최대 크기와 각 컨테이너에 허용되는 최대 파일 수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8891

8992
기본 로깅 예제에서와 같이 [`kubectl logs`](/docs/reference/generated/kubectl/kubectl-commands#logs)
9093
실행하면, 노드의 kubelet이 요청을 처리하고

content/ko/docs/concepts/configuration/secret.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6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56,8 +1156,8 @@ HTTP 요청을 처리하고,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 다음,
11561156

11571157
### 시크릿 API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11581158

1159-
시크릿 API와 상호 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1160-
[RBAC](/docs/reference/access-authn-authz/rbac/)과 같은
1159+
시크릿 API와 상호 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1160+
[RBAC](/docs/reference/access-authn-authz/rbac/)과 같은
11611161
[인가 정책](/ko/docs/reference/access-authn-authz/authorization/)을
11621162
사용하여 접근을 제한해야 한다.
11631163

@@ -1235,10 +1235,6 @@ API 서버에서 kubelet으로의 통신은 SSL/TLS로 보호된다.
12351235
- 시크릿을 사용하는 파드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는 해당 시크릿의 값도 볼 수 있다.
12361236
API 서버 정책이 해당 사용자가 시크릿을 읽을 수 있도록 허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12371237
시크릿을 노출하는 파드를 실행할 수 있다.
1238-
- 현재, 모든 노드에 대한 루트 권한이 있는 모든 사용자는 kubelet을 가장하여
1239-
API 서버에서 _모든_ 시크릿을 읽을 수 있다. 단일 노드에 대한 루트 취약점 공격의
1240-
영향을 제한하기 위해, 실제로 필요한 노드에만 시크릿을 보내는 것이 앞으로 계획된
1241-
기능이다.
12421238

12431239

12441240
## {{% heading "whatsnext" %}}

content/ko/docs/concepts/extend-kubernetes/operator.md

Lines changed: 1 addition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51,8 +51,7 @@ weight: 30
5151
* 내부 멤버 선출 절차없이 분산 애플리케이션의
5252
리더를 선택
5353

54-
오퍼레이터의 모습을 더 자세하게 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자세한 예는
55-
다음과 같다.
54+
오퍼레이터의 모습을 더 자세하게 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예시는 다음과 같다.
5655

5756
1. 클러스터에 구성할 수 있는 SampleDB라는 사용자 정의 리소스.
5857
2. 오퍼레이터의 컨트롤러 부분이 포함된 파드의 실행을

content/ko/docs/concepts/scheduling-eviction/assign-pod-node.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72,7 +72,7 @@ spec:
7272
## 넘어가기 전에: 내장 노드 레이블들 {#built-in-node-labels}
7373

7474
[붙인](#1-단계-노드에-레이블-붙이기) 레이블뿐만 아니라, 노드에는
75-
표준 레이블 셋이 미리 채워져 있다. 이들 목록은 [잘 알려진 레이블, 어노테이션 및 테인트](/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를 참고한다.
75+
표준 레이블 셋이 미리 채워져 있다. 이들 목록은 [잘 알려진 레이블, 어노테이션 및 테인트](/ko/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를 참고한다.
7676

7777
{{< note >}}
7878
이 레이블들의 값은 클라우드 공급자에 따라 다르고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