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b0b8867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27875 from seokho-son/up-dev-1.21-ko.2-3
[ko] Update task tookls and network in dev-1.21-ko.2
2 parents 6a0f974 + 8819bdc commit b0b8867

File tree

4 files changed

+46
-61
lines changed

4 files changed

+46
-61
lines changed

content/ko/docs/tasks/network/validate-dual-stack.md

Lines changed: 12 additions & 4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4 +1,8 @@
11
---
2+
3+
4+
5+
26
min-kubernetes-server-version: v1.20
37
title: IPv4/IPv6 이중 스택 검증
48
content_type: task
@@ -36,9 +40,10 @@ a00:100::/24
3640
```
3741
단일 IPv4 블록과 단일 IPv6 블록이 할당되어야 한다.
3842

39-
노드가 IPv4 및 IPv6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지 검증한다. (노드 이름을 클러스터의 검증된 노드로 대체한다. 본 예제에서 노드 이름은 k8s-linuxpool1-34450317-0) 이다.
43+
노드가 IPv4 및 IPv6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지 검증한다. 노드 이름을 클러스터의 검증된 노드로 대체한다. 본 예제에서 노드 이름은 `k8s-linuxpool1-34450317-0` 이다.
44+
4045
```shell
41-
kubectl get nodes k8s-linuxpool1-34450317-0 -o go-template --template='{{range .status.addresses}}{{printf "%s: %s \n" .type .address}}{{end}}'
46+
kubectl get nodes k8s-linuxpool1-34450317-0 -o go-template --template='{{range .status.addresses}}{{printf "%s: %s\n" .type .address}}{{end}}'
4247
```
4348
```
4449
Hostname: k8s-linuxpool1-34450317-0
@@ -48,9 +53,10 @@ InternalIP: 2001:1234:5678:9abc::5
4853

4954
### 파드 어드레싱 검증
5055

51-
파드가 IPv4 및 IPv6 주소를 할당받았는지 검증한다. (파드 이름을 클러스터에서 검증된 파드로 대체한다. 본 예제에서 파드 이름은 pod01 이다.)
56+
파드가 IPv4 및 IPv6 주소를 할당받았는지 검증한다. 파드 이름을 클러스터에서 검증된 파드로 대체한다. 본 예제에서 파드 이름은 `pod01` 이다.
57+
5258
```shell
53-
kubectl get pods pod01 -o go-template --template='{{range .status.podIPs}}{{printf "%s \n" .ip}}{{end}}'
59+
kubectl get pods pod01 -o go-template --template='{{range .status.podIPs}}{{printf "%s\n" .ip}}{{end}}'
5460
```
5561
```
5662
10.244.1.4
@@ -68,6 +74,7 @@ a00:100::4
6874
```
6975

7076
다음 커맨드는 컨테이너 내 `MY_POD_IPS` 환경 변수의 값을 출력한다. 해당 값은 파드의 IPv4 및 IPv6 주소를 나타내는 쉼표로 구분된 목록이다.
77+
7178
```shell
7279
kubectl exec -it pod01 -- set | grep MY_POD_IPS
7380
```
@@ -225,3 +232,4 @@ kubectl get svc -l app=MyApp
225232
```shell
226233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227234
my-service LoadBalancer fd00::7ebc 2603:1030:805::5 80:30790/TCP 35s
235+
```

content/ko/docs/tasks/tools/install-kubectl-linux.md

Lines changed: 6 additions & 15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2,24 +12,17 @@ card:
1212

1313
## {{% heading "prerequisites" %}}
1414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16-
예를 들어, v1.2 클라이언트는 v1.1, v1.2 및 v1.3의 마스터와 함께 작동해야 한다.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 skew latestVersion >}} 클라이언트는 v{{< skew prevMinorVersion >}}, v{{< skew latestVersion >}}, v{{< skew nextMinorVersion >}}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1716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1817

1918
## 리눅스에 kubectl 설치
2019

2120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리눅스에 kubectl을 설치할 수 있다.
2221

23-
- [{{% heading "prerequisites" %}}](#시작하기-전에)
24-
- [리눅스에 kubectl 설치](#리눅스에-kubectl-설치)
25-
- [리눅스에서 curl을 사용하여 kubectl 바이너리 설치]{#install-kubectl-binary-with-curl-on-linux}
26-
- [기본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설치]{#install-using-native-package-management}
27-
- [다른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설치]{#install-using-other-package-management}
28-
- [Google Cloud SDK를 사용하여 설치]{#install-on-linux-as-part-of-the-google-cloud-sdk}
29-
- [kubectl 구성 확인](#kubectl-구성-확인)
30-
- [선택적 kubectl 구성](#선택적-kubectl-구성)
31-
- [셸 자동 완성 활성화](#셸-자동-완성-활성화)
32-
- [{{% heading "whatsnext" %}}](#다음-내용)
22+
- [리눅스에 curl을 사용하여 kubectl 바이너리 설치](#install-kubectl-binary-with-curl-on-linux)
23+
- [기본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설치](#install-using-native-package-management)
24+
- [다른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설치](#install-using-other-package-management)
25+
- [리눅스에 Google Cloud SDK를 사용하여 설치](#install-on-linux-as-part-of-the-google-cloud-sdk)
3326

3427
### 리눅스에서 curl을 사용하여 kubectl 바이너리 설치 {#install-kubectl-binary-with-curl-on-linux}
3528

@@ -158,7 +151,6 @@ yum install -y kubectl
158151

159152
```shell
160153
snap install kubectl --classic
161-
162154
kubectl version --client
163155
```
164156

@@ -169,15 +161,14 @@ kubectl version --client
169161

170162
```shell
171163
brew install kubectl
172-
173164
kubectl version --client
174165
```
175166

176167
{{% /tab %}}
177168

178169
{{< /tabs >}}
179170

180-
### Google Cloud SDK를 사용하여 설치 {#install-on-linux-as-part-of-the-google-cloud-sdk}
171+
### 리눅스에 Google Cloud SDK를 사용하여 설치 {#install-on-linux-as-part-of-the-google-cloud-sdk}
181172

182173
{{< include "included/install-kubectl-gcloud.md" >}}
183174

content/ko/docs/tasks/tools/install-kubectl-macos.md

Lines changed: 24 additions & 9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2,8 +12,7 @@ card:
1212

1313
## {{% heading "prerequisites" %}}
1414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16-
예를 들어, v1.2 클라이언트는 v1.1, v1.2 및 v1.3의 마스터와 함께 작동해야 한다.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 skew latestVersion >}} 클라이언트는 v{{< skew prevMinorVersion >}}, v{{< skew latestVersion >}}, v{{< skew nextMinorVersion >}}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1716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1817

1918
## macOS에 kubectl 설치
@@ -29,17 +28,28 @@ card:
2928

3029
1. 최신 릴리스를 다운로드한다.
3130

32-
```bash
31+
{{< tabs name="download_binary_macos" >}}
32+
{{< tab name="Intel" codelang="bash" >}}
3333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md64/kubectl"
34-
```
34+
{{< /tab >}}
35+
{{< tab name="Apple Silicon" codelang="bash" >}}
36+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rm64/kubectl"
37+
{{< /tab >}}
38+
{{< /tabs >}}
3539

3640
{{< note >}}
3741
특정 버전을 다운로드하려면, `$(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 명령 부분을 특정 버전으로 바꾼다.
3842

39-
예를 들어, macOS에서 버전 {{< param "fullversion" >}}을 다운로드하려면, 다음을 입력한다.
43+
예를 들어, Intel macOS에 버전 {{< param "fullversion" >}}을 다운로드하려면, 다음을 입력한다.
44+
45+
```bash
46+
curl -LO "https://dl.k8s.io/release/{{< param "fullversion" >}}/bin/darwin/amd64/kubectl"
47+
```
48+
49+
Apple Silicon의 macOS라면, 다음을 입력한다.
4050

4151
```bash
42-
curl -LO https://dl.k8s.io/release/{{< param "fullversion" >}}/bin/darwin/amd64/kubectl
52+
curl -LO "https://dl.k8s.io/release/{{< param "fullversion" >}}/bin/darwin/arm64/kubectl"
4353
```
4454

4555
{{< /note >}}
@@ -48,9 +58,14 @@ card:
4858

4959
kubectl 체크섬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5060

51-
```bash
52-
curl -LO "https://dl.k8s.io/$(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md64/kubectl.sha256"
53-
```
61+
{{< tabs name="download_checksum_macos" >}}
62+
{{< tab name="Intel" codelang="bash" >}}
63+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md64/kubectl.sha256"
64+
{{< /tab >}}
65+
{{< tab name="Apple Silicon" codelang="bash" >}}
66+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rm64/kubectl.sha256"
67+
{{< /tab >}}
68+
{{< /tabs >}}
5469

5570
kubectl 바이너리를 체크섬 파일을 통해 검증한다.
5671

content/ko/docs/tasks/tools/install-kubectl-windows.md

Lines changed: 4 additions & 33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2,18 +12,16 @@ card:
1212

1313
## {{% heading "prerequisites" %}}
1414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16-
예를 들어, v1.2 클라이언트는 v1.1, v1.2 및 v1.3의 마스터와 함께 작동해야 한다.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 skew latestVersion >}} 클라이언트는 v{{< skew prevMinorVersion >}}, v{{< skew latestVersion >}}, v{{< skew nextMinorVersion >}}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1716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1817

1918
## 윈도우에 kubectl 설치
2019

2120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윈도우에 kubectl을 설치할 수 있다.
2221

2322
- [윈도우에서 curl을 사용하여 kubectl 바이너리 설치](#install-kubectl-binary-with-curl-on-windows)
24-
- [PSGallery에서 PowerShell로 설치](#install-with-powershell-from-psgallery)
2523
- [Chocolatey 또는 Scoop을 사용하여 윈도우에 설치](#install-on-windows-using-chocolatey-or-scoop)
26-
- [Google Cloud SDK를 사용하여 설치](#install-on-windows-as-part-of-the-google-cloud-sdk)
24+
- [윈도우에서 Google Cloud SDK를 사용하여 설치](#install-on-windows-as-part-of-the-google-cloud-sdk)
2725

2826

2927
### 윈도우에서 curl을 사용하여 kubectl 바이너리 설치 {#install-kubectl-binary-with-curl-on-windows}
@@ -76,33 +74,6 @@ card:
7674
도커 데스크톱을 이전에 설치한 경우, 도커 데스크톱 설치 프로그램에서 추가한 `PATH` 항목 앞에 `PATH` 항목을 배치하거나 도커 데스크톱의 `kubectl` 을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
7775
{{< /note >}}
7876

79-
### PSGallery에서 PowerShell로 설치 {#install-with-powershell-from-psgallery}
80-
81-
윈도우에서 [Powershell Gallery](https://www.powershellgallery.com/)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는 경우, Powershell로 kubectl을 설치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82-
83-
1. 설치 명령을 실행한다(`DownloadLocation` 을 지정해야 한다).
84-
85-
```powershell
86-
Install-Script -Name install-kubectl -Scope CurrentUser -Force
87-
install-kubectl.ps1 [-DownloadLocation <path>]
88-
```
89-
90-
{{< note >}}
91-
`DownloadLocation` 을 지정하지 않으면, `kubectl` 은 사용자의 `temp` 디렉터리에 설치된다.
92-
{{< /note >}}
93-
94-
설치 프로그램은 `$HOME/.kube` 를 생성하고 구성 파일을 작성하도록 지시한다.
95-
96-
1. 설치한 버전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한다.
97-
98-
```powershell
99-
kubectl version --client
100-
```
101-
102-
{{< note >}}
103-
설치 업데이트는 1 단계에서 나열한 두 명령을 다시 실행하여 수행한다.
104-
{{< /note >}}
105-
10677
### Chocolatey 또는 Scoop을 사용하여 윈도우에 설치 {#install-on-windows-using-chocolatey-or-scoop}
10778

10879
1. 윈도우에 kubectl을 설치하기 위해서 [Chocolatey](https://chocolatey.org) 패키지 관리자나 [Scoop](https://scoop.sh) 커맨드 라인 설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 -156,7 +127,7 @@ card:
156127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 편집기를 선택하여 구성 파일을 편집한다.
157128
{{< /note >}}
158129

159-
### Google Cloud SDK를 사용하여 설치 {#install-on-windows-as-part-of-the-google-cloud-sdk}
130+
### 윈도우에서 Google Cloud SDK를 사용하여 설치 {#install-on-windows-as-part-of-the-google-cloud-sdk}
160131

161132
{{< include "included/install-kubectl-gcloud.md" >}}
162133

@@ -176,4 +147,4 @@ kubectl은 Bash 및 Zsh에 대한 자동 완성 지원을 제공하므로 입력
176147

177148
## {{% heading "whatsnext" %}}
178149

179-
{{< include "included/kubectl-whats-next.md" >}}
150+
{{< include "included/kubectl-whats-next.md" >}}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