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f3bfa43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30642 from jihoon-seo/211126_Update_outdated_in_dev-1.22-ko.3_M9-M18
[ko] Update outdated files in dev-1.22-ko.3 (M9-M18)
2 parents b69f55a + abc7aa0 commit f3bfa43

File tree

11 files changed

+338
-86
lines changed

11 files changed

+338
-86
lines changed

content/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cron-jobs.md

Lines changed: 1 addition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77,6 +77,7 @@ kube-controller-manager 컨테이너에 설정된 시간대는
7777
| @hourly | 매시 0분에 시작 | 0 * * * * |
7878

7979

80+
8081
예를 들면, 다음은 해당 작업이 매주 금요일 자정에 시작되어야 하고, 매월 13일 자정(UTC 기준)에도 시작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8182

8283
`CRON_TZ=UTC 0 0 13 * 5`

content/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deployment.md

Lines changed: 24 additions & 23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4 +1,6 @@
11
---
2+
3+
24
title: 디플로이먼트
35
feature:
46
title: 자동화된 롤아웃과 롤백
@@ -74,7 +76,6 @@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controllers/nginx-deployment.yaml
7476
```
7577

7678

77-
7879
2. `kubectl get deployments` 을 실행해서 디플로이먼트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7980

8081
만약 디플로이먼트가 여전히 생성 중이면, 다음과 유사하게 출력된다.
@@ -163,7 +164,7 @@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controllers/nginx-deployment.yaml
163164
1. `nginx:1.14.2` 이미지 대신 `nginx:1.16.1` 이미지를 사용하도록 nginx 파드를 업데이트 한다.
164165

165166
```shell
166-
kubectl deployment.apps/nginx-deployment set imag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167+
kubectl set imag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167168
```
168169

169170
또는 다음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 -181,7 +182,7 @@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controllers/nginx-deployment.yaml
181182
대안으로 디플로이먼트를 `edit` 해서 `.spec.template.spec.containers[0].image``nginx:1.14.2` 에서 `nginx:1.16.1` 로 변경한다.
182183

183184
```shell
184-
kubectl edit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185+
kubectl edit deployment/nginx-deployment
185186
```
186187

187188
다음과 유사하게 출력된다.
@@ -364,7 +365,7 @@ API 버전 `apps/v1` 에서 디플로이먼트의 레이블 셀렉터는 생성
364365
* 디플로이먼트를 업데이트하는 동안 이미지 이름을 `nginx:1.16.1` 이 아닌 `nginx:1.161` 로 입력해서 오타를 냈다고 가정한다.
365366

366367
```shell
367-
kubectl set imag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368+
kubectl set image deployment/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368369
```
369370

370371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 -473,33 +474,33 @@ API 버전 `apps/v1` 에서 디플로이먼트의 레이블 셀렉터는 생성
473474

474475
1. 먼저 이 디플로이먼트의 수정 사항을 확인한다.
475476
```shell
476-
kubectl rollout history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477+
kubectl rollout history deployment/nginx-deployment
477478
```
478479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479480
```
480481
deployments "nginx-deployment"
481482
REVISION CHANGE-CAUSE
482483
1 kubectl apply --filename=https://k8s.io/examples/controllers/nginx-deployment.yaml
483-
2 kubectl set imag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484-
3 kubectl set imag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484+
2 kubectl set image deployment/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485+
3 kubectl set image deployment/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485486
```
486487

487488
`CHANGE-CAUSE` 는 수정 생성시 디플로이먼트 주석인 `kubernetes.io/change-cause` 에서 복사한다. 다음에 대해 `CHANGE-CAUSE` 메시지를 지정할 수 있다.
488489

489-
* 디플로이먼트에 `kubectl annotat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kubernetes.io/change-cause="image updated to 1.16.1"` 로 주석을 단다.
490+
* 디플로이먼트에 `kubectl annotate deployment/nginx-deployment kubernetes.io/change-cause="image updated to 1.16.1"` 로 주석을 단다.
490491
* 수동으로 리소스 매니페스트 편집.
491492

492493
2. 각 수정 버전의 세부 정보를 보려면 다음을 실행한다.
493494
```shell
494-
kubectl rollout history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revision=2
495+
kubectl rollout history deployment/nginx-deployment --revision=2
495496
```
496497

497498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498499
```
499500
deployments "nginx-deployment" revision 2
500501
Labels: app=nginx
501502
pod-template-hash=1159050644
502-
Annotations: kubernetes.io/change-cause=kubectl set imag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503+
Annotations: kubernetes.io/change-cause=kubectl set image deployment/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503504
Containers:
504505
nginx:
505506
Image: nginx:1.16.1
@@ -516,7 +517,7 @@ API 버전 `apps/v1` 에서 디플로이먼트의 레이블 셀렉터는 생성
516517

517518
1. 이제 현재 롤아웃의 실행 취소 및 이전 수정 버전으로 롤백 하기로 결정했다.
518519
```shell
519-
kubectl rollout undo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520+
kubectl rollout undo deployment/nginx-deployment
520521
```
521522

522523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 -526,7 +527,7 @@ API 버전 `apps/v1` 에서 디플로이먼트의 레이블 셀렉터는 생성
526527
Alternatively, you can rollback to a specific revision by specifying it with `--to-revision`:
527528

528529
```shell
529-
kubectl rollout undo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to-revision=2
530+
kubectl rollout undo deployment/nginx-deployment --to-revision=2
530531
```
531532

532533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 -560,7 +561,7 @@ API 버전 `apps/v1` 에서 디플로이먼트의 레이블 셀렉터는 생성
560561
CreationTimestamp: Sun, 02 Sep 2018 18:17:55 -0500
561562
Labels: app=nginx
562563
Annotations: deployment.kubernetes.io/revision=4
563-
kubernetes.io/change-cause=kubectl set imag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564+
kubernetes.io/change-cause=kubectl set image deployment/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564565
Selector: app=nginx
565566
Replicas: 3 desired | 3 updated | 3 total | 3 available | 0 unavailable
566567
StrategyType: RollingUpdate
@@ -603,7 +604,7 @@ API 버전 `apps/v1` 에서 디플로이먼트의 레이블 셀렉터는 생성
603604
다음 명령어를 사용해서 디플로이먼트의 스케일을 할 수 있다.
604605

605606
```shell
606-
kubectl scal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replicas=10
607+
kubectl scale deployment/nginx-deployment --replicas=10
607608
```
608609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609610
```
@@ -615,7 +616,7 @@ deployment.apps/nginx-deployment scaled
615616
실행할 최소 파드 및 최대 파드의 수를 선택할 수 있다.
616617

617618
```shell
618-
kubectl autoscal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min=10 --max=15 --cpu-percent=80
619+
kubectl autoscale deployment/nginx-deployment --min=10 --max=15 --cpu-percent=80
619620
```
620621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621622
```
@@ -644,7 +645,7 @@ deployment.apps/nginx-deployment scaled
644645

645646
* 클러스터 내부에서 확인할 수 없는 새 이미지로 업데이트 된다.
646647
```shell
647-
kubectl set imag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nginx=nginx:sometag
648+
kubectl set image deployment/nginx-deployment nginx=nginx:sometag
648649
```
649650

650651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 -723,7 +724,7 @@ nginx-deployment-618515232 11 11 11 7m
723724

724725
* 다음 명령을 사용해서 일시 중지한다.
725726
```shell
726-
kubectl rollout paus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727+
kubectl rollout pause deployment/nginx-deployment
727728
```
728729

729730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 -733,7 +734,7 @@ nginx-deployment-618515232 11 11 11 7m
733734

734735
* 그런 다음 디플로이먼트의 이미지를 업데이트 한다.
735736
```shell
736-
kubectl set imag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737+
kubectl set image deployment/nginx-deployment nginx=nginx:1.16.1
737738
```
738739

739740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 -743,7 +744,7 @@ nginx-deployment-618515232 11 11 11 7m
743744

744745
* 새로운 롤아웃이 시작되지 않는다.
745746
```shell
746-
kubectl rollout history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747+
kubectl rollout history deployment/nginx-deployment
747748
```
748749

749750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 -765,7 +766,7 @@ nginx-deployment-618515232 11 11 11 7m
765766

766767
* 예를 들어 사용할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처럼 원하는 만큼 업데이트할 수 있다.
767768
```shell
768-
kubectl set resources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c=nginx --limits=cpu=200m,memory=512Mi
769+
kubectl set resources deployment/nginx-deployment -c=nginx --limits=cpu=200m,memory=512Mi
769770
```
770771

771772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 -778,7 +779,7 @@ nginx-deployment-618515232 11 11 11 7m
778779

779780
* 결국, 디플로이먼트를 재개하고 새로운 레플리카셋이 새로운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관찰한다.
780781
```shell
781-
kubectl rollout resume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782+
kubectl rollout resume deployment/nginx-deployment
782783
```
783784

784785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 -888,7 +889,7 @@ echo $?
888889
10분 후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진행 상태의 부족에 대한 리포트를 수행하게 한다.
889890

890891
```shell
891-
kubectl patch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p '{"spec":{"progressDeadlineSeconds":600}}'
892+
kubectl patch deployment/nginx-deployment -p '{"spec":{"progressDeadlineSeconds":600}}'
892893
```
893894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894895
```
@@ -999,7 +1000,7 @@ Conditions:
9991000
`kubectl rollout status` 는 디플로이먼트의 진행 데드라인을 초과하면 0이 아닌 종료 코드를 반환한다.
10001001

10011002
```shell
1002-
kubectl rollout status deployment.v1.apps/nginx-deployment
1003+
kubectl rollout status deployment/nginx-deployment
10031004
```
10041005
이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10051006
```

content/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replicationcontroller.md

Lines changed: 0 additions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8,7 +118,6 @@ nginx-3ntk0 nginx-4ok8v nginx-qrm3m
118118
다른 형식의 파일인 `replication.yaml` 의 것과 동일하다. `--output=jsonpath`
119119
반환된 목록의 각 파드의 이름을 출력하도록 하는 옵션이다.
120120

121-
122121
##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의 Spec 작성
123122

124123
다른 모든 쿠버네티스 컨피그와 마찬가지로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는 `apiVersion`, `kind`, `metadata` 와 같은 필드가 필요하다.

content/ko/docs/concepts/workloads/pods/_index.md

Lines changed: 16 additions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8,6 +48,21 @@ _파드_ (고래 떼(pod of whales)나 콩꼬투리(pea pod)와 마찬가지로)
4848

4949
## 파드의 사용
5050

51+
다음은 `nginx:1.14.2` 이미지를 실행하는 컨테이너로 구성되는 파드의 예시이다.
52+
53+
{{< codenew file="pods/simple-pod.yaml" >}}
54+
55+
위에서 설명한 파드를 생성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56+
```shell
57+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pods/simple-pod.yaml
58+
```
59+
60+
일반적으로 파드는 직접 생성하지는 않으며, 대신 워크로드 리소스를 사용하여 생성한다.
61+
[파드 작업](#파드-작업) 섹션에서 파드와 워크로드 리소스의 관계에 대한
62+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한다.
63+
64+
### Workload resources for managing pods
65+
5166
일반적으로 싱글톤(singleton) 파드를 포함하여 파드를 직접 만들 필요가 없다. 대신, {{< glossary_tooltip text="디플로이먼트(Deployment)"
5267
term_id="deployment" >}} 또는 {{< glossary_tooltip text="잡(Job)" term_id="job" >}}과 같은 워크로드 리소스를 사용하여 생성한다.
5368
파드가 상태를 추적해야 한다면,
@@ -97,7 +112,7 @@ term_id="deployment" >}} 또는 {{< glossary_tooltip text="잡(Job)" term_id="jo
97112
공유 볼륨의 파일에 대한 웹 서버 역할을 하는 컨테이너와, 원격 소스에서 해당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98113
별도의 "사이드카" 컨테이너가 있을 수 있다.
99114

100-
{{< figure src="/images/docs/pod.svg" alt="예제 파드 다이어그램" width="50%" >}}
115+
{{< figure src="/images/docs/pod.svg" alt="파드 생성 다이어그램" class="diagram-medium" >}}
101116

102117
일부 파드에는 {{< glossary_tooltip text="앱 컨테이너" term_id="app-container" >}} 뿐만 아니라 {{< glossary_tooltip text="초기화 컨테이너" term_id="init-container" >}}를 갖고 있다. 초기화 컨테이너는 앱 컨테이너가 시작되기 전에 실행되고 완료된다.
103118

content/ko/docs/concepts/workloads/pods/init-containers.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83,7 +283,7 @@ myapp-pod 1/1 Running 0 9m
283283
초기화 컨테이너들이 실패를 영원히 지속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284284
파드의 `activeDeadlineSeconds`를 사용한다.
285285
Active deadline은 초기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286-
그러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잡(job)으로 배포한 경우 `activeDeadlineSeconds`를 사용하길 추천한다. 왜냐하면, `activeDeadlineSeconds`는 초기화 컨테이너가 완료된 이후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286+
그러나 팀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잡(job)으로 배포한 경우에만 `activeDeadlineSeconds`를 사용하길 추천한다. 왜냐하면, `activeDeadlineSeconds`는 초기화 컨테이너가 완료된 이후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287287
이미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파드도 `activeDeadlineSeconds`를 설정한 경우 종료(killed)될 수 있다.
288288

289289
파드 내의 각 앱과 초기화 컨테이너의 이름은 유일해야 한다. 어떤

content/ko/docs/concepts/workloads/pods/pod-lifecycle.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55,7 +55,7 @@ UID로 정의된 특정 파드는 다른 노드로 절대 "다시 스케줄"되
5555
생성되더라도, 관련된 그것(이 예에서는 볼륨)도 폐기되고
5656
새로 생성된다.
5757

58-
{{< figure src="/images/docs/pod.svg" title="Pod diagram" width="50%" >}}
58+
{{< figure src="/images/docs/pod.svg" title="Pod diagram" class="diagram-medium" >}}
5959

6060
*컨테이너 간의 공유 스토리지에 퍼시스턴트 볼륨을 사용하는 웹 서버와
6161
파일 풀러(puller)가 포함된 다중 컨테이너 파드이다.*

content/ko/docs/concepts/workloads/pods/pod-topology-spread-constraints.md

Lines changed: 32 additions & 3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34,43 +234,43 @@ graph BT
234234

235235
스케줄러는 신규 파드에 `spec.nodeSelector` 또는 `spec.affinity.nodeAffinity`가 정의되어 있는 경우, 부합하지 않는 노드들을 차이(skew) 계산에서 생략한다.
236236

237-
zoneA 에서 zoneC에 걸쳐있고, 5개의 노드를 가지는 클러스터가 있다고 가정한다.
238-
239-
{{<mermaid>}}
240-
graph BT
241-
subgraph "zoneB"
242-
p3(Pod) --> n3(Node3)
243-
n4(Node4)
244-
end
245-
subgraph "zoneA"
246-
p1(Pod) --> n1(Node1)
247-
p2(Pod) --> n2(Node2)
248-
end
237+
zoneA 에서 zoneC에 걸쳐있고, 5개의 노드를 가지는 클러스터가 있다고 가정한다.
249238

250-
classDef plain fill:#ddd,stroke:#fff,stroke-width:4px,color:#000;
251-
classDef k8s fill:#326ce5,stroke:#fff,stroke-width:4px,color:#fff;
252-
classDef cluster fill:#fff,stroke:#bbb,stroke-width:2px,color:#326ce5;
253-
class n1,n2,n3,n4,p1,p2,p3 k8s;
254-
class p4 plain;
255-
class zoneA,zoneB cluster;
256-
{{< /mermaid >}}
239+
{{<mermaid>}}
240+
graph BT
241+
subgraph "zoneB"
242+
p3(Pod) --> n3(Node3)
243+
n4(Node4)
244+
end
245+
subgraph "zoneA"
246+
p1(Pod) --> n1(Node1)
247+
p2(Pod) --> n2(Node2)
248+
end
257249

258-
{{<mermaid>}}
259-
graph BT
260-
subgraph "zoneC"
261-
n5(Node5)
262-
end
250+
classDef plain fill:#ddd,stroke:#fff,stroke-width:4px,color:#000;
251+
classDef k8s fill:#326ce5,stroke:#fff,stroke-width:4px,color:#fff;
252+
classDef cluster fill:#fff,stroke:#bbb,stroke-width:2px,color:#326ce5;
253+
class n1,n2,n3,n4,p1,p2,p3 k8s;
254+
class p4 plain;
255+
class zoneA,zoneB cluster;
256+
{{< /mermaid >}}
263257

264-
classDef plain fill:#ddd,stroke:#fff,stroke-width:4px,color:#000;
265-
classDef k8s fill:#326ce5,stroke:#fff,stroke-width:4px,color:#fff;
266-
classDef cluster fill:#fff,stroke:#bbb,stroke-width:2px,color:#326ce5;
267-
class n5 k8s;
268-
class zoneC cluster;
269-
{{< /mermaid >}}
258+
{{<mermaid>}}
259+
graph BT
260+
subgraph "zoneC"
261+
n5(Node5)
262+
end
263+
264+
classDef plain fill:#ddd,stroke:#fff,stroke-width:4px,color:#000;
265+
classDef k8s fill:#326ce5,stroke:#fff,stroke-width:4px,color:#fff;
266+
classDef cluster fill:#fff,stroke:#bbb,stroke-width:2px,color:#326ce5;
267+
class n5 k8s;
268+
class zoneC cluster;
269+
{{< /mermaid >}}
270270

271-
그리고 알다시피 "zoneC"는 제외해야 한다. 이 경우에, "mypod"가 "zoneC"가 아닌 "zoneB"에 배치되도록 yaml을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pec.nodeSelector` 도 존중된다.
271+
그리고 알다시피 "zoneC"는 제외해야 한다. 이 경우에, "mypod"가 "zoneC"가 아닌 "zoneB"에 배치되도록 yaml을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pec.nodeSelector` 도 존중된다.
272272

273-
{{< codenew file="pods/topology-spread-constraints/one-constraint-with-nodeaffinity.yaml" >}}
273+
{{< codenew file="pods/topology-spread-constraints/one-constraint-with-nodeaffinity.yaml" >}}
274274

275275
스케줄러는 클러스터에 있는 모든 영역(zone) 또는 다른 토폴로지 도메인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다. 스케줄링은 클러스터의 기존 노드에서 결정된다. 노드 풀(또는 노드 그룹)이 0개의 노드로 스케일(scale)되고 사용자는 노드가 확장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자동 스케일되는 클러스터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토폴로지 도메인은 스케줄링에서 해당 도메인에 노드가 하나 이상 있을 때까지 고려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276276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