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 |
| 2 | +title: 이슈 랭글러(Issue Wrangler) |
| 3 | +content_type: concept |
| 4 | +weight: 20 |
| 5 | +--- |
| 6 | + |
| 7 | +<!-- overview --> |
| 8 | + |
| 9 | +[PR 랭글러](/ko/docs/contribute/participate/pr-wranglers)와 마찬가지로, 공식 승인자, |
| 10 | +검토자 및 SIG Docs 구성원들은 리포지토리에 대해 |
| 11 | +일주일 동안 교대로 |
| 12 | +[이슈 심사와 분류](/ko/docs/contribute/review/for-approvers/#이슈-심사와-분류)를 수행한다. |
| 13 | + |
| 14 | +<!-- body --> |
| 15 | + |
| 16 | +## 의무 |
| 17 | + |
| 18 | +이슈 랭글러는 일주일 간 매일 다음의 일을 해야 한다. |
| 19 | + |
| 20 | +- 새로운 이슈를 매일 분류하고 태깅한다. SIG Docs에서 |
| 21 | +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은 [이슈 심사](/ko/docs/contribute/review/for-approvers/#이슈-심사) |
| 22 | + 를 참조한다. |
| 23 | +- kubernetes/website 리포지토리 내 활동이 없거나(stale) 오래된(rotten) 이슈들을 주시한다. |
| 24 | +- [이슈 보드](https://github.com/orgs/kubernetes/projects/72/views/1)를 관리한다. |
| 25 | + |
| 26 | +## 요구사항 |
| 27 | + |
| 28 | +- 쿠버네티스 조직의 활동적인 멤버여야 한다. |
| 29 | +- 쿠버네티스에 대한 최소 15개 이상의 [사소하지 않은](https://www.kubernetes.dev/docs/guide/pull-requests/#trivial-edits) |
| 30 | + 기여가 있어야 한다. (이 중 일정 부분은 kubernetes/website 리포지토리에 대한 기여여야 한다). |
| 31 | +- 이미 비공식적으로 해당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야 한다. |
| 32 | + |
| 33 | +## 랭글러를 위한 유용한 Prow 명령어 |
| 34 | + |
| 35 | +다음은 이슈 랭글러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
| 36 | + |
| 37 | +```bash |
| 38 | +# 이슈 다시 열기 |
| 39 | +/reopen |
| 40 | + |
| 41 | +# kubernetes/website에 맞지 않는 이슈를 다른 리포지토리로 이전 |
| 42 | +/transfer[-issue] |
| 43 | + |
| 44 | +# rotten 이슈의 상태 변경 |
| 45 | +/remove-lifecycle rotten |
| 46 | + |
| 47 | +# stale 이슈의 상태 변경 |
| 48 | +/remove-lifecycle stale |
| 49 | + |
| 50 | +# 이슈에 SIG 할당 |
| 51 | +/sig <sig_name> |
| 52 | + |
| 53 | +# 특정 영역 추가 |
| 54 | +/area <area_name> |
| 55 | + |
| 56 | +# 초보자에게 적합한 이슈 |
| 57 | +/good-first-issue |
| 58 | + |
| 59 | +# 도움이 필요한 이슈 |
| 60 | +/help wanted |
| 61 | + |
| 62 | +# 지원 관련 이슈 태그 지정 |
| 63 | +/kind support |
| 64 | + |
| 65 | +# 이슈 심사 수락 |
| 66 | +/triage accepted |
| 67 | + |
| 68 | +# 작업하지 않거나 아직 해결되지 않은 이슈 닫기 |
| 69 | +/close not-planned |
| 70 | +``` |
| 71 | + |
| 72 | +더 많은 Prow 명령어는 [Command Help](https://prow.k8s.io/command-help) 문서를 참조한다. |
| 73 | + |
| 74 | +## 이슈를 종료하는 시점 |
| 75 | + |
| 76 |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성공하려면 좋은 이슈 관리가 필수적이다. |
| 77 | +그러나 리포지토리를 유지하고 기여자 및 작성자와 명확하게 소통하기 위해 |
| 78 | +이슈를 해결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
| 79 | + |
| 80 | +다음과 같은 경우 이슈를 닫는다. |
| 81 | + |
| 82 | +- 유사한 이슈가 여러 번 보고된 경우. 먼저 `/triage duplicate` |
| 83 | + 로 태깅하고, 메인 이슈에 링크하고 해당 이슈를 닫는다. 작성자에게 원본 이슈로 안내하는 것이 좋다. |
| 84 | +- 작성자가 제시한 이슈를 제공된 정보만으로 이해하고 해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경우. |
| 85 | + 그러나 작성자가 이슈를 재현할 수 있다면,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슈를 재개하도록 권장한다. |
| 86 | +- 동일한 기능이 다른 곳에 이미 구현되어 있는 경우. 이슈를 닫고 작성자를 적절한 곳으로 안내할 수 있다. |
| 87 | +- 보고된 이슈가 현재 계획되어 있지 않거나 프로젝트 목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
| 88 | +- 이슈가 스팸으로 보이며 명백히 관련이 없는 경우. |
| 89 | +- 이슈가 외부 제한 사항이나 의존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프로젝트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경우. |
| 90 | + |
| 91 | +이슈를 닫으려면, 이슈에 `/close` 코멘트를 남긴다. |
| 92 | +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