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 tree Expand file tree Collapse file tree 1 file changed +15
-9
lines changed
content/ko/docs/contribute Expand file tree Collapse file tree 1 file changed +15
-9
lines change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32,21 +132,29 @@ weight: 10
132
132
133
133
### API 오브젝트 용어 한글화 방침
134
134
135
- API 오브젝트 중 ` kubectl api-resources ` 결과의 ` kind ` 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는
135
+ 일반적으로 ` kubectl api-resources ` 결과의 ` kind ` 에 해당하는 API 오브젝트는
136
136
[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 ( http://kornorms.korean.go.kr/regltn/regltnView.do?regltn_code=0003#a ) 에
137
- 따라 한글 표기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37
+ 따라 한글로 표기하고 영문을 병기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38
+
139
+ API 오브젝트(kind) | 한글화(외래어 표기 및 영문 병기)
140
+ --- | ---
141
+ ClusterRoleBinding | 클러스터롤바인딩(ClusterRoleBinding)
142
+ ConfigMap | 컨피그맵(ConfigMap)
143
+ Deployment |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144
+ PersistentVolumeClaim |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PersistentVolumeClaim)
145
+ ... | ...
146
+
147
+ ` kind ` 에 속하는 API 오브젝트 중에서도 일부는 표현의 간결함을 위해 한영병기를 하지 않는 등의 예외가 있으며,
148
+ 예외에 대해서는 [ 한글화 용어집] ( #한글화-용어집 ) 에 등록된 방식을 준용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38
149
139
150
API 오브젝트(kind) | 한글화(외래어 표기)
140
151
--- | ---
141
- ClusterRoleBinding | 클러스터롤바인딩
142
- ConfigMap | 컨피그맵
143
- Deployment | 디플로이먼트
144
152
Pod | 파드
145
- PersistentVolumeClaim |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
146
153
Service | 서비스
147
154
... | ...
148
155
149
- 그 이외의 API 오브젝트는, [ 한글화 용어집] ( #한글화-용어집 ) 에 등록된 용어인 경우를 제외하고,
156
+
157
+ ` kind ` 에 속하지 않는 API 오브젝트는, [ 한글화 용어집] ( #한글화-용어집 ) 에 등록된 용어인 경우를 제외하고,
150
158
모두 원문 그대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51
159
152
160
API 오브젝트(kind가 아닌 경우) | 한글화(원문 유지)
@@ -479,5 +487,3 @@ Windows | 윈도우 |
479
487
Worker | 워커 | 노드의 형태에 한함
480
488
Workload | 워크로드 |
481
489
YAML | YAML |
482
-
483
-
You can’t perform that action at this time.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