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fb17750

Browse files
committed
Fix typo in Everyday Types
1 parent 2578f65 commit fb17750

File tree

1 file changed

+14
-14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14
-14
lines changed

docs/documentation/ko/handbook-v2/Everyday Types.md

Lines changed: 14 additions & 14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334,7 +334,7 @@ printCoord({ x: 100, y: 100 });
334334
```
335335

336336
타입 별칭을 사용하면 단지 객체 타입뿐이 아닌 모든 타입에 대하여 새로운 이름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337-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유니언 타입에 대하여 타입 별칭을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337+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유니언 타입에 대하여 타입 별칭을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338338

339339
```ts twoslash
340340
type ID = number | string;
@@ -347,7 +347,7 @@ type ID = number | string;
347347
```ts twoslash
348348
declare function getInput(): string;
349349
declare function sanitize(str: string): string;
350-
// ---중간 생략---
350+
// ---cut---
351351
type UserInputSanitizedString = string;
352352

353353
function sanitizeInput(str: string): UserInputSanitizedString {
@@ -404,7 +404,7 @@ interface Animal {
404404
interface Bear extends Animal {
405405
honey: boolean
406406
}<br/>
407-
const bear = getBear()
407+
const bear = getBear()
408408
bear.name
409409
bear.honey
410410
</pre></code>
@@ -415,8 +415,8 @@ bear.honey
415415
type Animal = {
416416
name: string
417417
}<br/>
418-
type Bear = Animal & {
419-
honey: Boolean
418+
type Bear = Animal & {
419+
honey: Boolean
420420
}<br/>
421421
const bear = getBear();
422422
bear.name;
@@ -500,7 +500,7 @@ const x = "hello" as number;
500500
```ts twoslash
501501
declare const expr: any;
502502
type T = { a: 1; b: 2; c: 3 };
503-
// ---중간 생략---
503+
// ---cut---
504504
const a = (expr as any) as T;
505505
```
506506

@@ -583,15 +583,15 @@ configure("automatic");
583583

584584
```ts twoslash
585585
declare const someCondition: boolean;
586-
// ---중간 생략---
586+
// ---cut---
587587
const obj = { counter: 0 };
588588
if (someCondition) {
589589
obj.counter = 1;
590590
}
591591
```
592592

593593
기존에 값이 `0`이었던 필드에 `1`을 대입하였을 때 TypeScript는 이를 오류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594-
이를 달리 말하면 `obj.counter`는 반드시 `number` 타입을 가져야 하며, `0` 리터럴 타입을 가질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왜냐하면 타입은 _읽기__쓰기_ 두 동작을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594+
이를 달리 말하면 `obj.counter`는 반드시 `number` 타입을 가져야 하며, `0` 리터럴 타입을 가질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왜냐하면 타입은 _읽기__쓰기_ 두 동작을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595595

596596
동일한 사항이 문자열에도 적용됩니다.
597597

@@ -618,14 +618,14 @@ handleRequest(req.url, req.method);
618618
handleRequest(req.url, req.method as "GET");
619619
```
620620

621-
수정 1은 "`req.method`가 항상 _리터럴 타입_ `"GET"`이기를 의도하며, 이에 따라 해당 필드에 `"GUESS"`와 같은 값이 대입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621+
수정 1은 `req.method`가 항상 _리터럴 타입_ `"GET"`이기를 의도하며, 이에 따라 해당 필드에 `"GUESS"`와 같은 값이 대입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622622
수정 2는 "무슨 이유인지, `req.method``"GET"`을 값으로 가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623623

624624
2. `as const`를 사용하여 객체 전체를 리터럴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625625

626626
```ts twoslash
627627
declare function handleRequest(url: string, method: "GET" | "POST"): void;
628-
// ---중간 생략---
628+
// ---cut---
629629
const req = { url: "https://example.com", method: "GET" } as const;
630630
handleRequest(req.url, req.method);
631631
```
@@ -674,16 +674,16 @@ function liveDangerously(x?: number | undefined) {
674674

675675
다른 타입 단언과 마찬가지로 이 구문은 코드의 런타임 동작을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 연산자는 반드시 해당 값이 `null` 또는 `undefined`_아닌_ 경우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676676

677-
### 열거형
677+
## 열거형
678678

679679
열거형은 TypeScript가 JavaScript에 추가하는 기능으로, 어떤 값이 _이름이 있는 상수 집합_에 속한 값 중 하나일 수 있도록 제한하는 기능입니다. 대부분의 TypeScript 기능과 달리, 이 기능은 JavaScript에 타입 수준이 _아닌_, 언어와 런타임 수준에 추가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열거형이 무엇인지는 알 필요가 있겠으나, 그 사용법을 명확하게 파악하지 않았다면 실제 사용은 보류하는 것이 좋습니다. 열거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려면 [열거형 문서](https://www.typescriptlang.org/ko/docs/handbook/enums.html)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680680

681-
### 자주 사용되지 않는 원시형 타입
681+
## 자주 사용되지 않는 원시형 타입
682682

683683
앞서 언급한 타입 이외에, 타입 시스템에 존재하는 나머지 JavaScript 원시 타입들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684684
물론, 여기서 깊게 다루지는 않을 것입니다.
685685

686-
##### `bigint`
686+
#### `bigint`
687687

688688
ES2020 이후, 아주 큰 정수를 다루기 위한 원시 타입이 JavaScript에 추가되었습니다. 바로 `bigint`입니다.
689689

@@ -699,7 +699,7 @@ const anotherHundred: bigint = 100n;
699699

700700
BigInt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TypeScript 3.2 릴리즈 노트]((/docs/handbook/release-notes/typescript-3-2.html#bigin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701701

702-
##### `symbol`
702+
#### `symbol`
703703

704704
`symbol`은 전역적으로 고유한 참조값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원시 타입이며, `Symbol()` 함수를 통하여 생성할 수 있습니다.
705705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