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es: 2 comments 16 replies
-
진영님의 코드 저자 워크숍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9 replies
-
Q1. App 클래스에서 컨트롤러를 설정할수 있다면 어떨까요?? 예를들어 App의 constructor에서 인자를 받아서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방식 → 혹시 어떤 이유 인지 들어볼 수 있을까요? Q2. check()가 어떤걸 체크하는지 메서드명에 포함되면 더 좋을듯해요! @cobocho → check()의 역할이 사실 validate~의 메서드들을 추상화 하려는 목적이었는데, 혹시 더 좋은 이름이 있을까요 ..? ㅜ Q3. OutputView에서, print만 찍는것이, 관심사로 분리 하시는건 어떻게 생각하실까요? @devfrankkim → 혹시 다시 설명 한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 ㅜㅜ 이해를 잘 못했습니다! @HoseokNa 아 private 적인 부분은 외부에서 아예 사용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IIFE를 통해 캡슐화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레퍼런스는 찾아보고 댓글에 남겨두겠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7 replie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 저자 워크숍
저자 워크숍은 19세기 말, 아이오와 대학에서 시작됐습니다. 이 워크숍은 매우 성공적이어서, 예를 들면 이곳 출신 퓰리처상 수상자만 16명이 될 정도라고 합니다. 아이오와 대학의 저자 워크숍은 빠른 속도로 저자 커뮤니티 사이에 번져 나갔고, 현재는 초중급 작가들이 자신의 실력을 빠르게 높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의 전문 분야에서 무언가 큰 성공을 거두면 다른 분야에도 전이가 됩니다. 시인이자 프로그래머인 리처드 가브리엘은 문학 쪽에서 이 저자 워크숍을 가져와 소프트웨어 쪽에도 적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도 코드라는 저작물을 더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데 효과를 주었고 현재는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마케팅, 요리, 비즈니스 기획 등 다양한 분야에도 걸쳐 적용되고 있습니다.
💻 코드리뷰 저자 워크숍
저자 워크숍은 본래 글쓰기에서 시작되었으며 코드도 하나의 언어로 표현된 저작물이라고 생각하고 진행하는 워크숍입니다. 코드리뷰 저자 워크숍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진행합니다.
1. 코드를 읽어보기
먼저 리뷰할 대상의 코드를 훑어봅니다.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도 괜찮습니다. 대략 전체를 훑어 본다고 생각하고, 이 때 각 코드에 대한 첫 인상을 메모해둡니다.
2. 저자를 환영하기
저자를 환영합니다. 우리는 비판을 하기 위해 모인 것이 아니고, 저자의 작업물이 더 잘 자라나기 위해 유용한 피드백을 주고 받는 자리라는것을 인지합니다.
3. 코드 일부를 읽기
저자는 코드 중 본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선택해 읽습니다. 이 때 주석, 함수의 이름, 변수의 네이밍 등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전체 코드를 다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고 중요하게 생각한 지점, 이 코드 전체에서 핵심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이야기합니다.
4. 코드 요약하기
다른 사람들은 저자가 읽은 코드 부분에 대해 자신들의 이해를 요약하여 말합니다. 이 때 개인적인 평가나 의견보다는 중립적이고 관찰자적인 요약에 집중합니다.
5. 긍정적 피드백
코드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공유합니다. 리뷰하는 사람 입장에서 특히 어떤 부분이 좋았는지, 다른 부분은 바뀌더라도 이 부분만큼은 그대로 남았으면 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좋게 느껴진 네이밍, 적절한 주석, 깔끔한 로직 구현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6. 개선 제안하기
개선 제안하는 부분에서 어쩌면 부정적인 피드백이 나올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거기에서 끝나면 안됩니다. 개선 제안이 되야합니다.
그래서 개선을 위한 피드백을 줄 때는 "이 부분이 좋지 않다"라고만 말하는 대신,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제안합니다. "이 함수의 네이밍을 이렇게 바꾸면 어떨까요?" 혹은 "이 주석을 추가하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와 같이 제안합니다.
7. 저자의 질문
저자는 피드백 중에서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나 개선 제안에 대해 질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왜 이 함수 이름을 바꾸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하셨나요?"와 같은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8. 저자에게 감사하기
마지막으로, 저자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고, 앞으로도 좋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노력을 격려하고 응원합니다.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