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es: 3 comments
-
(범쌤 의견)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0 replies
-
(진강님) Zustand가 쉬운지 어려운지 모르겠어서 판단을 못하겠음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0 replies
-
결론 : 우선 context API에 익숙해지는 측면에서 (복습) Context API로 만드는 게 좋겠음!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0 replie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로그인 상태와 유저 정보에 따라 Header, 작성 글의 Edit / Delete 표시 여부, 마이페이지 등이 달라져야하기 때문에 전역 상태로 관리하려고 하는데,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 논의하고 싶습니다.
필요한 전역 상태
적용해볼 수 있는 방법들
1. React 기본 내장 기능 사용
2. Zustand
3. Recoil
4. Redux Toolkit
✅ 각 방식 비교 정리
- 기본 React 문법에 충실
- 간단한 전역 상태에 적합
- TypeScript와 궁합 좋음
- 복잡한 상태 분기 처리에 한계
- 비동기 흐름 다루기 불편
- 로그인 상태, 테마, 다크모드 등 단순 전역값
- 컴포넌트 리렌더링 최적화 (선택적 구독)
- 비동기 로직도 store 안에서 쉽게 처리 가능
- 파일 분리/확장성 뛰어남
- 공식 Devtools 사용 제한적
- 상태 추적/디버깅은 Context/Redux보다 약함
- 사용자 정보, UI 상태, 폼 캐시 등 유연하게 관리할 때
- selector로 파생 상태 만들기 편함
- React Suspense와 잘 통합됨
- 리렌더링 최소화
- 커뮤니티/레퍼런스는 Redux보다 적음
- 복잡한 의존성 그래프 관리 어려움
- 비동기 파생 상태가 많은 경우
- DevTools, middleware, async flow 등 강력
- 커뮤니티/레퍼런스 방대
- 상태 추적, 디버깅이 매우 쉬움
- 작은 앱엔 오버엔지니어링 가능성
- 학습 비용 있음
- 상태 흐름이 복잡하거나 팀 단위 협업 시 필요
💡 추가로 고려해볼 사항
고민되는 지점
어떤 걸 사용하면 좋을지 의견 부탁드려요!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