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README.md b/README.md
index 74872fd..c6428d0 100644
--- a/README.md
+++ b/README.md
@@ -1,50 +1,98 @@
-# React + TypeScript + Vite
+# 36.5 (온라인 편지 교환 플랫폼)
-This template provides a minimal setup to get React working in Vite with HMR and some ESLint rules.
+36.5는 사용자들이 익명으로 편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소셜 플랫폼입니다. 온라인에서 따뜻한 인간 관계를 형성하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Currently, two official plugins are available:
+
+
-- [@vitejs/plugin-react](https://github.com/vitejs/vite-plugin-react/blob/main/packages/plugin-react/README.md) uses [Babel](https://babeljs.io/) for Fast Refresh
-- [@vitejs/plugin-react-swc](https://github.com/vitejs/vite-plugin-react-swc) uses [SWC](https://swc.rs/) for Fast Refresh
+- 프로젝트 기간 : 2025.02.07 ~ 2025.03.14
+- 배포 URL : https://www.ddasum.kr/
-## Expanding the ESLint configuration
+## 구성원
+| [한승연](https://github.com/tiffanyhansy) | [안지원](https://github.com/wldnjs990) | [김세빈](https://github.com/nirii00) | [안민하](https://github.com/AAminha) |
+| --- | --- | --- | --- |
+|
|
|
|
|
+| Team-Lead | Clerk | Clerk | Clerk
+| 홈, 공유 로직,
임시저장,
퍼블리싱,
프로젝트 관리 | 편지 작성,
관리자, 알림,
퍼블리싱
배포관리 | 디자인, 게시판,
내 편지함,
로그인, CI | 퍼블리싱,
롤링페이퍼,
랜딩 |
-If you are developing a production application, we recommend updating the configuration to enable type aware lint rules:
+## 📋 프로젝트 개요
-- Configure the top-level `parserOptions` property like this:
+- **모바일 기반의 편지 웹앱 서비스**
-```js
-export default tseslint.config({
- languageOptions: {
- // other options...
- parserOptions: {
- project: ['./tsconfig.node.json', './tsconfig.app.json'],
- tsconfigRootDir: import.meta.dirname,
- },
- },
-})
-```
+### 핵심 기능
+- **랜덤 편지 작성 및 답장**: 자신의 고민과 사연을 나누고 편지를 받거나, 랜덤한 사용자에게 답장을 보낼 수 있음
+- **편지 공유 게시판**: 상대방과 나눈 편지를 허락을 받아 코멘트를 추가해 게시판에 공유 가능, 사용자들이 올린 편지를 확인하고 신고할 수 있음
+- **롤링페이퍼**: 관리자가 배너에 이벤트를 게시하면, 사용자들이 해당 게시판에 들어와서 메시지를 남길 수 있음
+- **편지 필터링**:
+ - 관리자가 금칙어를 등록하여 편지, 공유 게시물, 롤링페이퍼 편지를 1차 필터링
+ - 사용자가 편지, 롤링페이퍼, 게시물을 신고하는 경우 관리자 확인 전 AI로 1차 필터링하여 자동으로 편지를 검열함
+
+### 개발 주안점
+- **모바일 반응형과 애니메이션**:
+ - 모바일 기반의 서비스로 다양한 디바이스로 QA를 진행함
+ - 디바이스 별로 지원되는 애니메이션의 범위가 달라 QA를 여러번 진행
+- **탄스택 쿼리를 사용하여 API 호출최적화**
+ - 무한 스크롤 구현
+ - 프론트엔드 캐싱 적용
+- **SSE와 axios api 호출 중앙화**
+ - 두가지 방식의 api 가 토큰 재발급시 충돌 -> api 중앙화
+
+## 🛠 기술 스택
+
+### 프론트엔드
+- **언어 및 프레임워크**: TypeScript, React, Vite
+- **스타일링**: Tailwind CSS, Emotion
+- **상태관리**: Zustand, Tanstack Query
+- **라우팅**: Axios
+- **애니메이션**: GSAP
+
+### 품질 관리
+- **Linting & Formatting**: ESLint, Prettier
-- Replace `tseslint.configs.recommended` to `tseslint.configs.recommendedTypeChecked` or `tseslint.configs.strictTypeChecked`
-- Optionally add `...tseslint.configs.stylisticTypeChecked`
-- Install [eslint-plugin-react](https://github.com/jsx-eslint/eslint-plugin-react) and update the config:
-
-```js
-// eslint.config.js
-import react from 'eslint-plugin-react'
-
-export default tseslint.config({
- // Set the react version
- settings: { react: { version: '18.3' } },
- plugins: {
- // Add the react plugin
- react,
- },
- rules: {
- // other rules...
- // Enable its recommended rules
- ...react.configs.recommended.rules,
- ...react.configs['jsx-runtime'].rules,
- },
-})
+### 배포
+- **배포**: AWS S3 + CloudFront
+- **도메인 관리**: AWS Route 53
+- **CICD**: GitHub Actions
+
+## 📂 프로젝트 구조
+
+페이지 및 도메인 중심 구조로 설계
+
+```
+public //
+src
+├─apis/ // API 관리
+│ ├─client.ts // axios client 설정
+│ └─domain.ts // 도메인별로 파일 분리
+├─assets/ // 이미지, 폰트
+│ └─icons/ // 아이콘 폴더 (주로 svg 형식)
+│ │ ├─icon-icon.svg // (kebab-case)
+│ │ └─index.ts // svg들 한번에 export
+│ └─images/ // 그 외 이미지 (png, webp, jpg 등)
+│ │ └─img-image.png // (kebab-case)
+├─components/ // 공통 컴포넌트
+│ └─Component.tsx
+├─constants/ // 공통 상수 모음
+│ └─example.ts // (내부 상수 UPPER_CASE)
+├─hooks/ // 커스텀 훅
+│ └─useExample.ts // 파일명과 동일
+├─layouts/ // 공통 레이아웃
+│ └─Header.tsx
+├─pages/ // 페이지 모음
+│ ├─Home/
+│ │ ├─components/ // 해당 페이지에서만 사용하는 컴포넌트
+│ │ │ └─Component.tsx
+│ │ ├─constants/ // 해당 페이지에서만 사용하는 상수
+│ │ │ └─index.ts
+│ │ └─index.tsx // 실제 페이지 컴포넌트. 폴더명과 동일
+├─stores/ // 전역 상태 관리
+│ └─exampleStore.ts // useExample (camelCase)
+├─styles/ // 스타일 관련
+│ ├─tailwind.css
+│ └─index.css // 여러 css 파일 모음
+├─types/ // 타입 모음
+│ └─type.d.ts // 도메인별로 파일 분리
+├─utils/ // 공통으로 사용되는 함수
+│ └─utils.ts
+└─.env // 환경변수 관리 파일 (내부 변수 UPPER_CA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