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18 +24,20 @@ class TourTool(
2424 @Tool(description = " areaBasedList2 : 지역기반 관광정보 조회, 특정 지역의 관광 정보 조회" )
2525 fun getAreaBasedTourInfo (
2626 @ToolParam(
27- description = " 관광 타입 코드를 사용하세요. 사용자가 타입 이름을 말하면 해당하는 코드를 찾아서 사용해야 합니다. " +
28- " 예: 사용자가 '관광지'라고 하면 '12'를 사용하세요. " +
29- " 사용 가능한 타입 코드: ${BuildConfig .CONTENT_TYPE_CODES_DESCRIPTION } " ,
27+ description =
28+ " 관광 타입 코드를 사용하세요. 사용자가 타입 이름을 말하면 해당하는 코드를 찾아서 사용해야 합니다. " +
29+ " 예: 사용자가 '관광지'라고 하면 '12'를 사용하세요. " +
30+ " 사용 가능한 타입 코드: ${BuildConfig .CONTENT_TYPE_CODES_DESCRIPTION } " ,
3031 required = true ,
3132 )
3233 contentTypeId : String ,
3334 @ToolParam(
34- description = " 지역 코드를 쉼표(,)로 구분해서 사용하세요. " +
35- " 예: 사용자가 '서울 강남구'라고 하면 AREA_CODES에서 '서울-강남구: 1-1'을 찾고, " +
36- " 하이픈(-)을 쉼표(,)로 바꿔서 '1,1'을 사용하세요. " +
37- " 광역시(인천, 대전 등)는 단일 코드만 사용: 예: '인천' → '2' (쉼표 없음). " +
38- " 사용 가능한 지역 코드: ${BuildConfig .AREA_CODES_DESCRIPTION } " ,
35+ description =
36+ " 지역 코드를 쉼표(,)로 구분해서 사용하세요. " +
37+ " 예: 사용자가 '서울 강남구'라고 하면 AREA_CODES에서 '서울-강남구: 1-1'을 찾고, " +
38+ " 하이픈(-)을 쉼표(,)로 바꿔서 '1,1'을 사용하세요. " +
39+ " 광역시(인천, 대전 등)는 단일 코드만 사용: 예: '인천' → '2' (쉼표 없음). " +
40+ " 사용 가능한 지역 코드: ${BuildConfig .AREA_CODES_DESCRIPTION } " ,
3941 required = true ,
4042 )
4143 areaAndSigunguCode : String ,
@@ -63,17 +65,19 @@ class TourTool(
6365 @Tool(description = " locationBasedList2 : 위치기반 관광정보 조회, 특정 위치 기반의 관광 정보 조회" )
6466 fun getLocationBasedTourInfo (
6567 @ToolParam(
66- description = " 관광 타입 코드를 사용하세요. 사용자가 타입 이름을 말하면 해당하는 코드를 찾아서 사용해야 합니다. " +
67- " 예: 사용자가 '음식점'이라고 하면 '39'를 사용하세요. " +
68- " 사용 가능한 타입 코드: ${BuildConfig .CONTENT_TYPE_CODES_DESCRIPTION } " ,
68+ description =
69+ " 관광 타입 코드를 사용하세요. 사용자가 타입 이름을 말하면 해당하는 코드를 찾아서 사용해야 합니다. " +
70+ " 예: 사용자가 '음식점'이라고 하면 '39'를 사용하세요. " +
71+ " 사용 가능한 타입 코드: ${BuildConfig .CONTENT_TYPE_CODES_DESCRIPTION } " ,
6972 required = true ,
7073 )
7174 contentTypeId : String ,
7275 @ToolParam(
73- description = " 지역 코드를 쉼표(,)로 구분해서 사용하세요. " +
74- " 예: 사용자가 '서울 중구'라고 하면 AREA_CODES에서 '서울-중구: 1-24'를 찾고, " +
75- " 하이픈(-)을 쉼표(,)로 바꿔서 '1,24'를 사용하세요. " +
76- " 사용 가능한 지역 코드: ${BuildConfig .AREA_CODES_DESCRIPTION } " ,
76+ description =
77+ " 지역 코드를 쉼표(,)로 구분해서 사용하세요. " +
78+ " 예: 사용자가 '서울 중구'라고 하면 AREA_CODES에서 '서울-중구: 1-24'를 찾고, " +
79+ " 하이픈(-)을 쉼표(,)로 바꿔서 '1,24'를 사용하세요. " +
80+ " 사용 가능한 지역 코드: ${BuildConfig .AREA_CODES_DESCRIPTION } " ,
7781 required = true ,
7882 )
7983 areaAndSigunguCode : String ,
@@ -107,8 +111,9 @@ class TourTool(
107111 @Tool(description = " detailCommon2 : 관광정보 상세조회, 특정 관광 정보의 상세 정보 조회" )
108112 fun getTourDetailInfo (
109113 @ToolParam(
110- description = " 조회할 관광정보의 콘텐츠 ID. " +
111- " 이전 Tool 호출 결과(getAreaBasedTourInfo 또는 getLocationBasedTourInfo)에서 받은 contentId를 사용하세요." ,
114+ description =
115+ " 조회할 관광정보의 콘텐츠 ID. " +
116+ " 이전 Tool 호출 결과(getAreaBasedTourInfo 또는 getLocationBasedTourInfo)에서 받은 contentId를 사용하세요." ,
112117 required = true ,
113118 )
114119 contentId : String = "127974",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