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es: 1 comment
-
좋은 것 같습니다!! 저희 dev 환경에서는 잘되서 client component에서만 작동되는지도 몰랐네요.. 이젠 슬슬 백엔드 api를 사용해볼 때가 되서 호원님 말씀대로 이 상태로 진행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error 관련해서도 패치함수를 만들게 되면 호원님 방식을 참고해서 만들어야 겠군요.. 공식문서에서도 제대로 안나와있어서 힘드셨을텐데 고생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0 replie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이야기해볼 이슈가 두 개 있습니다.
Mock data 배포 환경에서 미적용
이건 원인을 알았는데 route handler가 사실 client component 에서만 작동하는 기능이라고 합니다. 처음 build를 할 때 server component와 동시에 route handler도 생성하는 방식이어서 server component에선 route handler의 url로 접근하기 어려운 것 같아요. dev 환경에선 요청이 들어올 때 route나 page를 컴파일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 같은데 그래서 작동했던 것 같습니다.
이제와서 Mock 방식을 바꾸긴 번거롭기도 하고 어쩌피 mock은 개발 중에 필요한 기능이니 지금 상태로 진행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혹시 다른 의견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build 중 fetch 오류
이건 api가 안 열려있으니 오류나는 게 맞긴 한데 에러 바운더리 기반인
error.tsx
를 설정해도 오류를 잡아오질 못하더라고요. 공식 문서에서는 서버에서의 오류도 잡는다고 나와있기는 한데 실제로는 클라 쪽 오류만 잡는 것 같습니다. api의 오류 하나로도 빌드를 못한다는 게 너무 불안정한 것 같아서 계속 고민해보다가 services의 fetching 함수들을 에러 처리 기능도 하도록 리펙토링 해보려합니다.사용할 때 이런 느낌이 될 것 같아요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