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09033f0c50b3f0bff4c4f9c0459b26a5ad3da385 Mon Sep 17 00:00:00 2001 From: yejikang Date: Mon, 11 Aug 2025 23:43:35 +0900 Subject: [PATCH 1/2] docs: translate hydrateRoot parameters --- src/content/reference/react-dom/client/hydrateRoot.md | 6 +++--- 1 file changed, 3 insertions(+), 3 deletions(-) diff --git a/src/content/reference/react-dom/client/hydrateRoot.md b/src/content/reference/react-dom/client/hydrateRoot.md index 172bbffd4..06cb39ccf 100644 --- a/src/content/reference/react-dom/client/hydrateRoot.md +++ b/src/content/reference/react-dom/client/hydrateRoot.md @@ -40,9 +40,9 @@ React는 `domNode` 내부에 존재하는 HTML에 연결되어, 그 내부의 DO * `reactNode`: 기존 HTML에 렌더링하기 위한 "React 노드" 입니다. 주로 `ReactDOM Server`의 `renderToPipeableStream()`와 같은 메서드로 렌더링된 ``과 같은 JSX 조각들입니다. * **optional** `options`: React 루트에 대한 옵션을 가진 객체입니다. - * **optional** `onCaughtError`: Callback called when React catches an error in an Error Boundary. Called with the `error` caught by the Error Boundary, and an `errorInfo` object containing the `componentStack`. - * **optional** `onUncaughtError`: Callback called when an error is thrown and not caught by an Error Boundary. Called with the `error` that was thrown and an `errorInfo` object containing the `componentStack`. - * **optional** `onRecoverableError`: React가 오류로부터 자동으로 복구될 때 호출되는 콜백. Called with the `error` React throws, and an `errorInfo` object containing the `componentStack`. Some recoverable errors may include the original error cause as `error.cause`. + * **optional** `onCaughtError`: React가 Error Boundary에서 오류를 잡았을 때 호출되는 콜백. Error Boundary에서 잡은 `error`와 `componentStack`을 포함하는 `errorInfo` 객체와 함께 호출됩니다. + * **optional** `onUncaughtError`: 오류가 Error Boundary에 의해 잡히지 않았을 때 호출되는 콜백. 발생한 `error`와 `componentStack`을 포함하는 `errorInfo` 객체와 함께 호출됩니다. + * **optional** `onRecoverableError`: React가 오류로부터 자동으로 복구될 때 호출되는 콜백. React가 던지는 `error`와 `componentStack`을 포함하는 `errorInfo` 객체와 함께 호출됩니다. 복구 가능한 오류는 원본 오류 원인을 `error.cause`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 **optional** `identifierPrefix`: React가 [`useId`](/reference/react/useId)에 의해 생성된 ID에 사용하는 문자열 접두사. 같은 페이지에서 여러개의 루트를 사용할 때 충돌을 피하는 데 유용합니다. 서버에서 사용한 값과 반드시 동일한 값이어야 합니다. #### 반환값 {/*returns*/} From a8cbc98b516d336e16b2d9adbef4a466b59ca285 Mon Sep 17 00:00:00 2001 From: =?UTF-8?q?=EB=A3=A8=EB=B0=80LuMir?= Date: Tue, 12 Aug 2025 01:12:05 +0900 Subject: [PATCH 2/2] Update hydrateRoot.md --- src/content/reference/react-dom/client/hydrateRoot.md | 6 +++--- 1 file changed, 3 insertions(+), 3 deletions(-) diff --git a/src/content/reference/react-dom/client/hydrateRoot.md b/src/content/reference/react-dom/client/hydrateRoot.md index 06cb39ccf..1ae9279c7 100644 --- a/src/content/reference/react-dom/client/hydrateRoot.md +++ b/src/content/reference/react-dom/client/hydrateRoot.md @@ -40,9 +40,9 @@ React는 `domNode` 내부에 존재하는 HTML에 연결되어, 그 내부의 DO * `reactNode`: 기존 HTML에 렌더링하기 위한 "React 노드" 입니다. 주로 `ReactDOM Server`의 `renderToPipeableStream()`와 같은 메서드로 렌더링된 ``과 같은 JSX 조각들입니다. * **optional** `options`: React 루트에 대한 옵션을 가진 객체입니다. - * **optional** `onCaughtError`: React가 Error Boundary에서 오류를 잡았을 때 호출되는 콜백. Error Boundary에서 잡은 `error`와 `componentStack`을 포함하는 `errorInfo` 객체와 함께 호출됩니다. - * **optional** `onUncaughtError`: 오류가 Error Boundary에 의해 잡히지 않았을 때 호출되는 콜백. 발생한 `error`와 `componentStack`을 포함하는 `errorInfo` 객체와 함께 호출됩니다. - * **optional** `onRecoverableError`: React가 오류로부터 자동으로 복구될 때 호출되는 콜백. React가 던지는 `error`와 `componentStack`을 포함하는 `errorInfo` 객체와 함께 호출됩니다. 복구 가능한 오류는 원본 오류 원인을 `error.cause`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 * **optional** `onCaughtError`: React가 Error Boundary에서 오류를 잡았을 때 호출되는 콜백입니다. Error Boundary에서 잡은 `error`와 `componentStack`을 포함하는 `errorInfo` 객체와 함께 호출됩니다. + * **optional** `onUncaughtError`: 오류가 Error Boundary에 의해 잡히지 않았을 때 호출되는 콜백입니다. 발생한 `error`와 `componentStack`을 포함하는 `errorInfo` 객체와 함께 호출됩니다. + * **optional** `onRecoverableError`: React가 오류로부터 자동으로 복구될 때 호출되는 콜백입니. React가 던지는 `error`와 `componentStack`을 포함하는 `errorInfo` 객체와 함께 호출됩니다. 복구 가능한 오류는 원본 오류 원인을 `error.cause`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 **optional** `identifierPrefix`: React가 [`useId`](/reference/react/useId)에 의해 생성된 ID에 사용하는 문자열 접두사. 같은 페이지에서 여러개의 루트를 사용할 때 충돌을 피하는 데 유용합니다. 서버에서 사용한 값과 반드시 동일한 값이어야 합니다. #### 반환값 {/*retu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