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 tree Expand file tree Collapse file tree 1 file changed +48
-0
lines changed Expand file tree Collapse file tree 1 file changed +48
-0
lines change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1
+ ---
2
+ layout : page
3
+ title : " 패치 작성자를 위한 지침"
4
+ lang : ko
5
+ ---
6
+
7
+ 다음은 마츠 씨가 직접 언급한 좋은 패치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8
+ {: .summary}
9
+
10
+ 이 지침은 Ruby-Core 메일링 리스트의 [ 마츠 씨의 글] [ ruby-core-post ] 에서
11
+ 가져왔습니다.
12
+
13
+ * 패치당 하나의 수정사항 구현하기
14
+
15
+ 이는 대부분의 보류 중인 패치들이 갖고 있는 가장 큰 문제입니다. 여러 개의
16
+ 버그를 수정하는 (또 여러 기능을 추가하는) 패치를 한 번에 보내면, 우리는 이를
17
+ 다시 나눠서 적용해야 합니다. 이는 바쁜 개발자에게는 상대적으로 힘든 작업이
18
+ 되기에, 이런 유형의 패치는 자주 보류되곤 합니다. 큰 패치를 보내지 말아주세요.
19
+
20
+ * 설명 제공하기
21
+
22
+ 가끔 어떤 문제를 고치는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없는 패치가 들어오곤 합니다. 좀
23
+ 더 나은 설명(패치가 고치는 문제점, 전제조건, 플랫폼 등)과 함께라면 패치가 더
24
+ 일찍 병합될 수 있을 것입니다.
25
+
26
+ * 최신 리비전 기반으로 패치 작성하기
27
+
28
+ 고치려는 문제가 이미 최신 리비전에서 수정되었을 수 있습니다. 코드가 완전히
29
+ 달라졌을 수도 있습니다. 패치를 제출하기 전에 서브버전 저장소에서 최신
30
+ 버전(최신 개발 버전은 ` trunk ` 브랜치, {{ site.svn.stable.version }} 버전은
31
+ ` {{ site.svn.stable.branch }} ` 브랜치)을 받아 보세요.
32
+
33
+ * ` diff -u ` 사용하기
34
+
35
+ 우리는 ` diff -c ` 나 다른 스타일보다 ` diff -u ` 의 unified diff 스타일의 패치를
36
+ 선호합니다. 그게 리뷰하기 훨씬 쉽습니다. 수정한 파일을 보내지 마세요. 직접
37
+ diff를 만들고 싶지 않습니다.
38
+
39
+ * 테스트 케이스 추가하기(선택 사항)
40
+
41
+ 패치가 테스트 케이스(` test/*/test_*.rb ` 에 패치하는 게 좋습니다)를 제공하면
42
+ 작성자의 의도와 패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3
+
44
+ 추후에는 Git 스타일 push/pull 워크플로로 옮겨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전까진
45
+ 위의 지침을 따른다면 낙심할 일을 줄일 수 있을 겁니다.
46
+
47
+
48
+ [ ruby-core-post ] : http://blade.nagaokaut.ac.jp/cgi-bin/scat.rb/ruby/ruby-core/25139
You can’t perform that action at this time.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