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수정되는 파일을 같은 디렉토리에 두기 | Frontend Fundamentals #104
Replies: 5 comments 3 replies
-
도메인 별로 디렉터리 구조를 분리하는 방법은 FSD 아키텍처의 Slice 개념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네요! 디렉터리 구조 관련으로 고민을 해보신 분들은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Domain을 기준으로 나누면 같이 변경될 여지가 많은 코드들끼리 가까이 위치하게 되어 관계 파악에 도움이 되는건 맞으나, 개인적으로 그럼 이 파일/코드는 어디에 위치하는게 맞을까?에 대한 고민을 자주 하게 되어 불편할 때가 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20개의 Domain중, 오로지 Domain 1과 Domain2만 다수의 Domain중 단 두개의 Domain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확실하기에 전체 공통 폴더에 위치하기는 좀 애매한데, 그렇다고 둘 중 하나의 Domain 폴더에 위치하기엔 Domain간의 의존성이 발생하는 것 같아서 꺼려지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비슷한 고민을 하신 분이 계신지, 만약 계신다면 어떤 선택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저는
캐시의 지역성에는 대표적으로
이러한 캐시 시스템을 개발자 관점에서 접근해봤을 때, 개발자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특정 기능 또한, 특정 기능 이러한 특성을 생각했을 때 함께 수정되는 파일들을 동일한 디렉토리에 위치시키면, 개발자는 더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이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혹시 이 글에서 제시된 디렉토리 구조에 대한 관련 자료들이 더 있을까요? (마치 FSD 아키텍처에 대한 이 공식 문서처럼요.) 토스에서 독자적으로 고안해낸 방법이면 어쩔 수 없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이러한 디렉토리 구조의 명칭, 예시, 주의점 등에 대해 더 배우고 싶습니다. 최근에 개발 중인 사이드 프로젝트에 이를 적용해볼 생각이라, 이 글의 아이디어에 대해 더 신중하고 면밀히 알아보고 싶네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사내 레거시 프로젝트의 JSP 페이지를 React로 하나씩 마이그레이션하면서, 자연스럽게 "함께 수정되는 파일을 같은 디렉터리에 두기" 방식으로 작업하게 된 점이 신기하게 느껴졌습니다. 개선 전 프로젝트에서는 API 폴더와 Pages 폴더 등등이 분리되어 있어 응집도가 낮았는데, 관련된 코드 파일들을 한 디렉터리로 구성하면서 응집도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구조가 훨씬 개선되었고,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함께 수정되는 파일을 같은 디렉토리에 두기 | Frontend Fundamentals
변경하기 쉬운 프론트엔드 코드를 위한 지침서
https://frontend-fundamentals.com/code/examples/code-directory.html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