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28c6e86

Browse files
committed
Header Anchor 추가
1 parent 33d9849 commit 28c6e86

20 files changed

+198
-198
lines changed

ko-KR/src/guide/built-ins/keep-alive.md

Lines changed: 5 additions & 5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11 +2,11 @@
22
import SwitchComponent from './keep-alive-demos/SwitchComponent.vue'
33
</script>
44

5-
# KeepAlive
5+
# KeepAlive {#keepalive}
66

77
`<KeepAlive>`는 여러 컴포넌트 간에 동적으로 전환될 때, 컴포넌트 인스턴스를 조건부로 캐시할 수 있는 빌트인 컴포넌트입니다.
88

9-
## 기본 사용법
9+
## 기본 사용법 {#basic-usage}
1010

1111
컴포넌트 기초의 [동적 컴포넌트](/guide/essentials/component-basics.html#동적-컴포넌트) 장에서 특별한 `<component>` 엘리먼트를 사용하는 문법을 소개했습니다:
1212

@@ -54,7 +54,7 @@ A에는 카운터가 포함되고 B에는 `v-model`을 통해 입력과 동기
5454
[DOM 템플릿](/guide/essentials/component-basics.html#dom-템플릿-파싱-주의-사항)에서 사용할 때 `<keep-alive>`로 참조해야 합니다.
5555
:::
5656

57-
## Include / Exclude
57+
## Include / Exclude {#include-exclude}
5858

5959
기본적으로 `<KeepAlive>`는 내부의 모든 컴포넌트 인스턴스를 캐시합니다.
6060
`include``exclude` props를 통해 이 동작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 -79,7 +79,7 @@ A에는 카운터가 포함되고 B에는 `v-model`을 통해 입력과 동기
7979

8080
컴포넌트의 [`name`](/api/options-misc.html#name) 옵션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므로, `KeepAlive`에 의해 조건부로 캐시되어야 하는 컴포넌트는 명시적으로 `name` 옵션을 선언해야 합니다.
8181

82-
## 최대 캐시 인스턴스
82+
## 최대 캐시 인스턴스 {#max-cached-instances}
8383

8484
`max` props를 통해 캐시할 수 있는 컴포넌트 인스턴스의 최대 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8585
`max`가 지정되면 `<KeepAlive>`[LRU 캐시](<https://en.wikipedia.org/wiki/Cache_replacement_policies#Least_recently_used_(LRU)>)처럼 작동합니다.
@@ -91,7 +91,7 @@ A에는 카운터가 포함되고 B에는 `v-model`을 통해 입력과 동기
9191
</KeepAlive>
9292
```
9393

94-
## 캐시된 인스턴스의 수명주기
94+
## 캐시된 인스턴스의 수명주기 {#lifecycle-of-cached-instance}
9595

9696
컴포넌트 인스턴스가 DOM에서 제거되었지만 `<KeepAlive>`에 의해 캐시된 컴포넌트 트리의 일부인 경우,
9797
마운트 해제되는 대신 **비활성화됨** 상태가 됩니다.

ko-KR/src/guide/built-ins/teleport.md

Lines changed: 5 additions & 5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8 +1,8 @@
1-
# 텔레포트
1+
# 텔레포트 {#teleport}
22

33
`<Teleport>`는 컴포넌트 템플릿의 일부를 해당 컴포넌트의 DOM 계층 외부의 DOM 노드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빌트인 컴포넌트입니다.
44

5-
## 기본 사용법
5+
## 기본 사용법 {#basic-usage}
66

77
때때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88
컴포넌트 템플릿의 일부가 논리적으로 여기에 속하지만,
@@ -163,7 +163,7 @@ let open = $ref(false)
163163
Vue에서 렌더링한 다른 엘리먼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Teleport>` 전에 해당 엘리먼트가 마운트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64164
:::
165165

166-
## 컴포넌트와 함께 사용하기
166+
## 컴포넌트와 함께 사용하기 {#using-with-components}
167167

168168
`<Teleport>`는 렌더링된 DOM 구조만 변경하며 컴포넌트의 논리적 계층 구조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169169
즉, `<Teleport>`에 컴포넌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컴포넌트는 논리적으로 `<Teleport>`를 포함하는 부모 컴포넌트의 자식으로 유지됩니다.
@@ -172,7 +172,7 @@ Props 전달() 및 이벤트 발신(emit)은 계속 동일한 방식으로 작
172172
이것은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주입되어 예상대로 작동함을 의미합니다.
173173
또한 자식 컴포넌트는 실제 컨텐츠가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지만, Vue 개발자도구에서는 부모 컴포넌트 내부에 위치합니다.
174174

175-
## 텔레포트 비활성화
175+
## 텔레포트 비활성화 {#disabling-teleport}
176176

177177
경우에 따라 `<Teleport>`를 조건부로 비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178178
예를 들어 컴포넌트를 데스크톱용 오버레이로 렌더링하지만 모바일에서는 인라인으로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 -186,7 +186,7 @@ Props 전달() 및 이벤트 발신(emit)은 계속 동일한 방식으로 작
186186

187187
미디어 쿼리 변경을 감지하여 `isMobile` 상태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188188

189-
## 같은 대상에 여러 텔레포트 사용
189+
## 같은 대상에 여러 텔레포트 사용 {#multiple-teleports-on-the-same-target}
190190

191191
일반적인 사용 사례는 여러 인스턴스가 동시에 활성화될 가능성이 있는 재사용 가능한 `<Modal>` 컴포넌트입니다.
192192
이러한 종류의 시나리오에서는 여러 `<Teleport>` 컴포넌트의 콘텐츠를 동일한 대상 엘리먼트에 탑재할 수 있습니다.

ko-KR/src/guide/built-ins/transition-group.md

Lines changed: 5 additions & 5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11 +4,11 @@ import ListMove from './transition-demos/ListMove.vue'
44
import ListStagger from './transition-demos/ListStagger.vue'
55
</script>
66

7-
# 트랜지션 그룹
7+
# 트랜지션 그룹 {#transitiongroup}
88

99
`<TransitionGroup>`은 목록에서 렌더링되는 엘리먼트 또는 컴포넌트의 삽입, 제거 및 순서 변경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기 위해 설계된 빌트인 컴포넌트입니다.
1010

11-
## `<Transition>`과의 차이점
11+
## `<Transition>`과의 차이점 {#differences-from-transition}
1212

1313
`<TransitionGroup>``<Transition>`과 동일한 props, CSS 트랜지션 클래스 및 JavaScript 훅 리스너를 지원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1414

@@ -25,7 +25,7 @@ import ListStagger from './transition-demos/ListStagger.vue'
2525
[DOM 템플릿](/guide/essentials/component-basics.html#dom-템플릿-파싱-주의-사항)에서 사용할 때 `<transition-group>`으로 참조해야 합니다.
2626
:::
2727

28-
## 진입/진출 트랜지션
28+
## 진입/진출 트랜지션 {#enter-leave-transitions}
2929

3030
다음은 `<TransitionGroup>`을 사용하여 `v-for` 목록에 진입/진출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예제입니다:
3131

@@ -51,7 +51,7 @@ import ListStagger from './transition-demos/ListStagger.vue'
5151

5252
<ListBasic />
5353

54-
## 이동 트랜지션
54+
## 이동 트랜지션 {#move-transitions}
5555

5656
위의 데모에는 몇 가지 명백한 결함이 있습니다.
5757
항목을 삽입하거나 제거할 때 주변 항목이 부드럽게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 즉시 "점프"합니다.
@@ -86,7 +86,7 @@ import ListStagger from './transition-demos/ListStagger.vue'
8686

8787
[comment]: <> (/examples 문서 번역 후 링크 수정 필요)
8888

89-
## 시차가 있는 목록 트랜지션
89+
## 시차가 있는 목록 트랜지션 {#staggering-list-transitions}
9090

9191
데이터 속성을 통해 JavaScript 트랜지션과 통신함으로써 목록에서 트랜지션을 시차가 있게 할 수도 있습니다.
9292
먼저 목록의 인덱스를 DOM 엘리먼트의 `data-` 속성으로 렌더링합니다:

ko-KR/src/guide/built-ins/transition.md

Lines changed: 18 additions & 18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8,7 +8,7 @@ import BetweenElements from './transition-demos/BetweenElements.vue'
88
import BetweenComponents from './transition-demos/BetweenComponents.vue'
99
</script>
1010

11-
# 트랜지션
11+
# 트랜지션 {#transition}
1212

1313
Vue는 상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트랜지션 및 애니메이션 작업에 도움이 되는 두 가지 빌트인 컴포넌트를 제공합니다:
1414

@@ -19,7 +19,7 @@ Vue는 상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트랜지션 및 애니메이션 작
1919
이 두 가지 컴포넌트 외에도 CSS 클래스 트랜지션 또는 스타일 바인딩을 통한 상태 기반 애니메이션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Vue에서 애니메이션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2020
이러한 추가 기술은 [애니메이션 기법](/guide/extras/animation.html) 장에서 다룹니다.
2121

22-
## `<Transition>` 컴포넌트
22+
## `<Transition>` 컴포넌트 {#the-transition-component}
2323

2424
`<Transition>`은 빌트인 컴포넌트이므로 등록하지 않고도 컴포넌트의 템플릿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525
기본 슬롯을 통해 전달된 엘리먼트 또는 컴포넌트에 진입(enter) 및 진출(leave)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78,9 +78,9 @@ Vue는 상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트랜지션 및 애니메이션 작
7878

7979
3. CSS 트랜지션/애니메이션이 감지되지 않고 JavaScript 훅이 제공되지 않으면, DOM 삽입/제거 작업이 브라우저의 다음 애니메이션 프레임에서 실행됩니다.
8080

81-
## CSS 기반 트랜지션
81+
## CSS 기반 트랜지션 {#css-based-transitions}
8282

83-
### 트랜지션 클레스
83+
### 트랜지션 클레스 {#transition-classes}
8484

8585
진입/진출 트랜지션에 적용되는 6개의 클래스가 있습니다.
8686

@@ -114,7 +114,7 @@ Vue는 상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트랜지션 및 애니메이션 작
114114
`v-enter-active``v-leave-active`는 진입/진출 트랜지션에 대해 다른 이징 곡선을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115115
이에 대한 예는 다음 섹션에서 볼 수 있습니다.
116116

117-
### 트랜지션 이름 지정하기
117+
### 트랜지션 이름 지정하기 {#named-transitions}
118118

119119
트랜지션은 `name` prop을 통해 이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120120

@@ -140,7 +140,7 @@ Vue는 상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트랜지션 및 애니메이션 작
140140
}
141141
```
142142

143-
### CSS 트랜지션
143+
### CSS 트랜지션 {#css-transitions}
144144

145145
위의 기본 예제에서 볼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Transition>`[네이티브 CSS 트랜지션](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CSS/CSS_Transitions/Using_CSS_transitions)과 함께 사용됩니다.
146146
`transition` CSS 속성은 애니메이션을 적용해야 하는 속성, 트랜지션 기간 및 [이징 곡선](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CSS/easing-function)을 포함하여 트랜지션 관련된 여러 속성을 지정할 수 있게 해주는 약칭입니다.
@@ -186,7 +186,7 @@ Vue는 상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트랜지션 및 애니메이션 작
186186

187187
</div>
188188

189-
### CSS 애니메이션
189+
### CSS 애니메이션 {#css-animations}
190190

191191
[네이티브 CSS 애니메이션](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CSS/CSS_Animations/Using_CSS_animations)은 CSS 트랜지션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되지만,
192192
엘리먼트가 삽입된 직후에 `*-enter-from`이 제거되지 않고, `animationend` 이벤트에서 제거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235,7 +235,7 @@ Vue는 상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트랜지션 및 애니메이션 작
235235

236236
</div>
237237

238-
### 커스텀 트랜지션 클래스
238+
### 커스텀 트랜지션 클래스 {#custom-transition-classes}
239239

240240
아래 나열된 `<Transition>` props에 커스텀 트랜지션 클래스를 정의하여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241241

@@ -271,7 +271,7 @@ Vue는 상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트랜지션 및 애니메이션 작
271271

272272
</div>
273273

274-
###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을 같이 사용하기
274+
###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을 같이 사용하기 {#using-transitions-and-animations-together}
275275

276276
Vue는 트랜지션이 종료된 시점을 알기 위해 이벤트 리스너를 연결해야 합니다.
277277
리스너는 적용된 CSS 규칙 유형에 따라 `transitionend` 또는 `animationend`가 될 수 있습니다.
@@ -284,7 +284,7 @@ Vue는 트랜지션이 종료된 시점을 알기 위해 이벤트 리스너를
284284
<Transition type="animation">...</Transition>
285285
```
286286

287-
### 중첩된 트랜지션과 지속시간 설정하기
287+
### 중첩된 트랜지션과 지속시간 설정하기 {#nested-transitions-and-explicit-transition-durations}
288288

289289
트랜지션 클래스는 `<Transition>`의 직접적인 자식 엘리먼트에만 적용되지만,
290290
중첩된 CSS 선택기를 사용하여 중첩된 엘리먼트를 트랜지션할 수 있습니다:
@@ -343,7 +343,7 @@ Vue는 트랜지션이 종료된 시점을 알기 위해 이벤트 리스너를
343343
<Transition :duration="{ enter: 500, leave: 800 }">...</Transition>
344344
```
345345

346-
### 성능 고려사항
346+
### 성능 고려사항 {#performance-considerations}
347347

348348
위에 표시된 애니메이션은 대부분 `transform``opacity`와 같은 속성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349349
이러한 속성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애니메이션에 효율적입니다:
@@ -355,7 +355,7 @@ Vue는 트랜지션이 종료된 시점을 알기 위해 이벤트 리스너를
355355
이에 비해 `height` 또는 `margin`과 같은 속성은 CSS 레이아웃을 트리거하므로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는 데 훨씬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356356
[CSS-Triggers](https://csstriggers.com/)와 같은 리소스를 확인하여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면 레이아웃을 트리거하는 속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57357

358-
## JavaScript 훅
358+
## JavaScript 훅 {#javascript-hooks}
359359

360360
`<Transition>` 컴포넌트의 이벤트를 수신하여 JavaScript로 트랜지션 프로세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361361

@@ -495,7 +495,7 @@ JavaScript 전용 트랜지션을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css="false"` p
495495

496496
</div>
497497

498-
## 재사용 가능한 트랜지션
498+
## 재사용 가능한 트랜지션 {#reusable-transitions}
499499

500500
Vue의 컴포넌트 시스템을 통해 트랜지션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501501
재사용 가능한 트랜지션을 만들기 위해 `<Transition>` 컴포넌트를 래핑하고 슬롯 콘텐츠를 전달하는 컴포넌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 -533,7 +533,7 @@ Vue의 컴포넌트 시스템을 통해 트랜지션을 재사용할 수 있습
533533
</MyTransition>
534534
```
535535

536-
## 등장 트랜지션
536+
## 등장 트랜지션 {#transition-on-appear}
537537

538538
노드의 초기 렌더링에도 트랜지션을 적용하려면 `appear` 속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539539

@@ -543,7 +543,7 @@ Vue의 컴포넌트 시스템을 통해 트랜지션을 재사용할 수 있습
543543
</Transition>
544544
```
545545

546-
## 엘리먼트 간 트랜지션
546+
## 엘리먼트 간 트랜지션 {#transition-between-elements}
547547

548548
`v-if`/`v-show`로 엘리먼트를 전환하는 것 외에도 `v-if`/`v-else`/`v-else-if`를 사용하여 두 엘리먼트 사이를 전환할 수도 있습니다.
549549

@@ -559,7 +559,7 @@ Vue의 컴포넌트 시스템을 통해 트랜지션을 재사용할 수 있습
559559

560560
[온라인 연습장으로 실행하기](https://sfc.vuejs.org/#eyJBcHAudnVlIjoiPHNjcmlwdCBzZXR1cD5cbmltcG9ydCB7IHJlZiB9IGZyb20gJ3Z1ZSdcblxuY29uc3QgZG9jU3RhdGUgPSByZWYoJ3NhdmVkJylcbjwvc2NyaXB0PlxuXG48dGVtcGxhdGU+XG5cdDxzcGFuIHN0eWxlPVwibWFyZ2luLXJpZ2h0OiAyMHB4XCI+7YG066atIOyLnCDsg4Htg5wg67OA6rK9Ojwvc3Bhbj5cbiAgPGRpdiBjbGFzcz1cImJ0bi1jb250YWluZXJcIj5cblx0XHQ8VHJhbnNpdGlvbiBuYW1lPVwic2xpZGUtdXBcIj5cbiAgICAgIDxidXR0b24gdi1pZj1cImRvY1N0YXRlID09PSAnc2F2ZWQnXCJcbiAgICAgICAgICAgICAgQGNsaWNrPVwiZG9jU3RhdGUgPSAnZWRpdGVkJ1wiPuyImOyglTwvYnV0dG9uPlxuICAgICAgPGJ1dHRvbiB2LWVsc2UtaWY9XCJkb2NTdGF0ZSA9PT0gJ2VkaXRlZCdcIlxuICAgICAgICAgICAgICBAY2xpY2s9XCJkb2NTdGF0ZSA9ICdlZGl0aW5nJ1wiPuyggOyepTwvYnV0dG9uPlxuICAgICAgPGJ1dHRvbiB2LWVsc2UtaWY9XCJkb2NTdGF0ZSA9PT0gJ2VkaXRpbmcnXCJcbiAgICAgICAgICAgICAgQGNsaWNrPVwiZG9jU3RhdGUgPSAnc2F2ZWQnXCI+7Leo7IaMPC9idXR0b24+XG4gICAgPC9UcmFuc2l0aW9uPlxuICA8L2Rpdj5cbjwvdGVtcGxhdGU+XG5cbjxzdHlsZT5cbi5idG4tY29udGFpbmVyIHtcbiAgZGlzcGxheTogaW5saW5lLWJsb2NrO1xuICBwb3NpdGlvbjogcmVsYXRpdmU7XG4gIGhlaWdodDogMWVtO1xufVxuXG5idXR0b24ge1xuICBwb3NpdGlvbjogYWJzb2x1dGU7XG4gIHdoaXRlLXNwYWNlOiBwcmU7XG59XG5cbi5zbGlkZS11cC1lbnRlci1hY3RpdmUsXG4uc2xpZGUtdXAtbGVhdmUtYWN0aXZlIHtcbiAgdHJhbnNpdGlvbjogYWxsIDAuMjVzIGVhc2Utb3V0O1xufVxuXG4uc2xpZGUtdXAtZW50ZXItZnJvbSB7XG4gIG9wYWNpdHk6IDA7XG4gIHRyYW5zZm9ybTogdHJhbnNsYXRlWSgzMHB4KTtcbn1cblxuLnNsaWRlLXVwLWxlYXZlLXRvIHtcbiAgb3BhY2l0eTogMDtcbiAgdHJhbnNmb3JtOiB0cmFuc2xhdGVZKC0zMHB4KTtcbn1cbjwvc3R5bGU+IiwiaW1wb3J0LW1hcC5qc29uIjoie1xuICBcImltcG9ydHNcIjoge1xuICAgIFwidnVlXCI6IFwiaHR0cHM6Ly9zZmMudnVlanMub3JnL3Z1ZS5ydW50aW1lLmVzbS1icm93c2VyLmpzXCIsXG4gICAgXCJ2dWUvc2VydmVyLXJlbmRlcmVyXCI6IFwiaHR0cHM6Ly9zZmMudnVlanMub3JnL3NlcnZlci1yZW5kZXJlci5lc20tYnJvd3Nlci5qc1wiXG4gIH1cbn0ifQ==)
561561

562-
## 트랜지션 모드
562+
## 트랜지션 모드 {#transition-modes}
563563

564564
이전 예제에서 진입 시 엘리먼트와 진출 시 엘리먼트는 동시에 애니메이션되며 두 엘리먼트가 DOM에 있을 때 레이아웃 문제를 피하기 위해 `position: absolute`로 만들어야 했습니다.
565565

@@ -580,7 +580,7 @@ Vue의 컴포넌트 시스템을 통해 트랜지션을 재사용할 수 있습
580580

581581
`<Transition>`은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mode="in-out"`도 지원합니다.
582582

583-
## 컴포넌트 간 트랜지션
583+
## 컴포넌트 간 트랜지션 {#transition-between-components}
584584

585585
`<Transition>`[동적 컴포넌트](/guide/essentials/component-basics.html#동적-컴포넌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586586

@@ -603,7 +603,7 @@ Vue의 컴포넌트 시스템을 통해 트랜지션을 재사용할 수 있습
603603

604604
</div>
605605

606-
## 동적 트랜지션
606+
## 동적 트랜지션 {#dynamic-transitions}
607607

608608
`<Transition>` `name`과 같은 prop도 동적일 수 있습니다!
609609
이를 통해 상태 변경에 따라 다른 트랜지션을 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ko-KR/src/guide/components/async.md

Lines changed: 4 additions & 4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6 +1,6 @@
1-
# 비동기 컴포넌트
1+
# 비동기 컴포넌트 {#async-components}
22

3-
## 기본 사용법
3+
## 기본 사용법 {#basic-usage}
44

55
거대한 앱에서는 앱을 더 작게 조각내어 나누고, 필요할 때만 서버에서 컴포넌트를 로드해야 할 수 있습니다.
66
이를 구현하기 위해 [`defineAsyncComponent`](/api/general.html#defineasynccomponent) 함수를 제공합니다:
@@ -54,7 +54,7 @@ export default {
5454

5555
</div>
5656

57-
## 로딩 및 애러 상태
57+
## 로딩 및 애러 상태 {#loading-and-error-states}
5858

5959
비동기 작업에는 필연적으로 로드 및 애러 상태가 포함됩니다.
6060
`defineAsyncComponent()`는 고급 옵션을 통해 이러한 상태 처리를 지원합니다:
@@ -83,7 +83,7 @@ const AsyncComp = defineAsyncComponent({
8383
애러 컴포넌트가 제공되면 로더 함수의 Promise가 reject로 반환될 때 표시됩니다.
8484
요청이 너무 오래 걸릴 때 애러 컴포넌트를 표시하도록 시간 초과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8585

86-
## 지연(suspense) 사용하기
86+
## 지연(suspense) 사용하기 {#using-with-suspense}
8787

8888
비동기 컴포넌트는 내장 컴포넌트인 `<Suspense>`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8989
`<Suspense>`와 비동기 컴포넌트 간의 상호 작용은 [`<Suspense>`](/guide/built-ins/suspense.html)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