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c494454

Browse files
eunsuckingwatilde
authored andcommitted
fix korean translation based on review (#131)
1 parent b29703d commit c494454

File tree

13 files changed

+35
-36
lines changed

13 files changed

+35
-36
lines changed

i18n/ko.json

Lines changed: 6 additions & 6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4,19 +44,19 @@
4444
"package-niceties": {
4545
"problem": "아직 수정해야 할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4646
"error": "앗! 뭔가 잘못된 것 같습니다.",
47-
"success": "괜찮은 것 같군요! README와 메타데이터가 없는 패키지는, 사용법이나 git repository 링크가 없는\n대량의 JavaScript 파일들일 뿐입니다."
47+
"success": "괜찮은 것 같군요! README와 메타데이터가 없는 패키지는, 사용법이나 git repository 링크가 없는\n대량의 JavaScript와 같습니다."
4848
},
4949
"publish": {
50-
"error": "이런!\n당신의 {{name}} 패키지는 성공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습니다.\n다시 한번 시도해주세요."
50+
"error": "이런!\n당신의 {{name}} 패키지는 성공적으로 배포되지 않았습니다.\n다시 한번 시도해주세요."
5151
},
5252
"version": {
5353
"invalid_semver": "버전의 형식이 잘못된 것 같습니다.\n`npm help semver`을 실행하여 버전 형식을 조사해보세요.\n현재 버전 번호: {{version}}\n",
5454
"old_version": "이런!\n버전이 {{version}}인 그대로입니다.\n`npm help version`을 실행하여 버전 갱신방법을 조사해보세요.",
5555
"success": "잘하셨어요!\n`how-to-npm`을 실행하여 다음 과제에 도전하세요."
5656
},
5757
"publish-again": {
58-
"not_republished": "이런!\n갱신된 패키지를 공개하지 않은 것 같군요.\n`npm publish`을 실행하여 다시 확인해주세요.",
59-
"current_missing": "음... 2번이상 갱신하신 것 같습니다만,\n현재 버전인 ({{version}})은 아직 공개되어 있지 않은 것 같군요.\n현재 확인되는 공개된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n{{{found}}}\n다시 공개를 해주세요!",
58+
"not_republished": "이런!\n갱신된 패키지를 배포하지 않은 것 같군요.\n`npm publish`을 실행하여 다시 확인해주세요.",
59+
"current_missing": "음... 2번이상 배포신 것 같습니다만,\n현재 버전인 ({{version}})은 아직 배포되어 있지 않은 것 같군요.\n현재 확인되는 배포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n{{{found}}}\n다시 배포를 해주세요!",
6060
"success": "와우! 이걸로 당신도 미래의\nTJames \"Substack\" Halidaychuk이군요! 이제 아무도 당신을 막을 수 없습니다.\n`how-to-npm`을 실행하여 다음 과제에 도전하세요."
6161
},
6262
"dist-tag": {
@@ -94,9 +94,9 @@
9494
"05 Listing Dependencies": "05 패키지 리스트",
9595
"06 npm Test": "06 테스트",
9696
"07 Package Niceties": "07 올바른 패키지",
97-
"08 Publish": "08 패키지 공개",
97+
"08 Publish": "08 패키지 배포",
9898
"09 Version": "09 패키지 버전 관리",
99-
"10 Publish Again": "10 패키지 재공개",
99+
"10 Publish Again": "10 패키지 재배포",
100100
"11 Dist Tag": "11 태그 추가",
101101
"12 Dist Tag Removal": "12 태그 삭제",
102102
"13 Outdated": "13 패키지의 버전 상태",

problems/00-install-npm/problem.ko.txt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6 +1,6 @@
11
어서오세요. npm 워크숍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이제부터 npm에 관련된
22
여러 가지 과제에 도전하게 됩니다. 이 워크숍을 통해서 여러분들은
3-
직접 패키지를 만들고 공개하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3+
직접 패키지를 만들고 배포하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44

55
도움되는 명령어들:
66

problems/00-install-npm/skip.ko.txt

Lines changed: 1 addition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5 +2,4 @@
22
다음 명령어로 언제든지 최신 버전의 npm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33
`npm install npm -g`
44

5-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환경에 따라서, `sudo`와 같이 실행하거나
6-
관리자로 실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5+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환경에 따라서, `sudo` 혹은 관리자로 실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problems/02-login/problem.ko.txt

Lines changed: 3 additions & 3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0 +1,10 @@
11
npm을 최대한 즐기기 위해 직접 생태계에 참가해 봅시다.
2-
참가하기 위해 계정을 만들어 봅시다.
2+
먼저, 계정을 만들어 봅시다.
33

44
이것은 튜토리얼이기 때문에 유사 npm 서버를 재현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55
*실제* 계정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단, 실제 세계에서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면
6-
실제 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실제 계정을 작성하면 npmjs.com 페이지에 계정전용 페이지가
7-
만들어지고 당신이 만든 패키지를 공개할 수 있으며 그 패키지를 다른 사람이 받을 수도 있습니다.
6+
실제 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실제 계정을 작성하면 npmjs.com 페이지에 계정 전용 페이지가
7+
만들어지고 당신이 만든 패키지를 배포할 수 있으며 그 패키지를 다른 사람이 받을 수도 있습니다.
88

99
현재 로그인 중인 계정을 확인하려면, `npm whoami`을 실행해주세요.
1010

problems/03-start-a-project/continue.ko.txt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4 +1,4 @@
1-
추가과제로 이 프로젝트를 git 저장소로 만들어봅시다.
1+
추가 과제로 이 프로젝트를 git 저장소로 만들어봅시다.
22

33
npm은 관례로써 각 모듈과 프로젝트가 git 저장소를 하나씩 가지고 있습니다.
44
`git init`을 실행해서 현재 디렉터리를 git 프로젝트로 만들어 봅시다.

problems/03-start-a-project/problem.ko.txt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4 +1,4 @@
1-
npm은 현재 프로젝트의 구축을 돕게 하려면, npm에 현재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를 조금 알려 줄 필요가 있습니다. package.json이라는 파일을 통해서 npm에게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습니다.
1+
npm이 현재 프로젝트의 구축을 돕게 하려면, 현재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를 조금 알려 줄 필요가 있습니다. package.json이라는 파일을 통해서 npm에게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습니다.
22

33
`npm init --scope=<유저명>`에서 <유저명> 부분에 이전 과제에서 작성한 계정을 입력한 뒤, 실행해주세요. package.json이 만들어질 것입니다.
44
(추가 과제로서 이 프로젝트를 git 저장소로 만들어봅시다)

problems/05-listing-dependencies/continue.ko.txt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3,8 +3,8 @@
33
의존 패키지들은 package.json내의 'dependencies' 필드에 추가돼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44
'@linclark/pkg' 모듈을 설치했을 때 package.json 이 이 모듈을 의존하도록 갱신하지 않았습니다.
55

6-
이것이 원인으로 npm은 'extraneous' 라는 경고를 표시해서, 의존 패키지를 관리하는
7-
'dependencies' 필드가 추가되지 않았음을 알리고 있습니다.
6+
이 경우 npm은 'extraneous'라는 경고를 표시해서, 의존 패키지를 관리하는
7+
'dependencies' 필드가 추가되지 않았음을 알려줍니다.
88

99
이 상황을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모듈 설치 시에 `--save` 플래그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1010
모듈을 시험 삼아 써볼 때는 이 기능은 별로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모듈을 현재 프로젝트에

problems/08-publish/problem.ko.txt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3,13 +3,13 @@
33
별로 쓸모가 없겠죠?
44

55
다행히도 npm은 모든 npm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세계의 사용자들과
6-
패키지를 공개하고 공유하는 것이 아주 간단합니다.
6+
패키지를 배포하고 공유하는 것이 아주 간단합니다.
77

88
패키지는 `npm publish` 명령어를 통해서 레지스트리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99

1010
시험 삼아 실행해보세요. 간단합니다!
1111

12-
(현재 올바른 디렉터리에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주세요. 실수로 공개하게 되었다면,
12+
(현재 올바른 디렉터리에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주세요. 실수로 배포하게 되었다면,
1313
삭제할 수 있습니다만, 그동안에 누가 보거나 다운로드를 할 수 있습니다.)
1414

1515
완료했다면 `$ADVENTURE_COMMAND verify`를 실행해주세요.

problems/08-publish/success.ko.txt

Lines changed: 3 additions & 3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5,11 +5,11 @@
55
직접 실행해서 무엇이 표시되는지 확인해보세요.
66

77
이 `npm view` 명령어는 패키지의 상세정보를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8-
방금 자신이 공개한 패키지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같은 이름의 패키지가 존재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8+
방금 자신이 배포한 패키지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같은 이름의 패키지가 존재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99

10-
이걸로 hwo-to-npm 내의 가상 npm에 패키지를 공개하였습니다.
10+
이걸로 hwo-to-npm 내의 가상 npm에 패키지를 배포하였습니다.
1111
현재 디렉터리를 나와서 똑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면, 실제 전 세계 사람들에게
12-
당신의 코드가 공개됩니다!
12+
당신의 코드가 배포됩니다!
1313

1414
npm은 코드 공유뿐만 아니라 코드를 관리하기 쉬운 작은 단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515
혼자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도 이 장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problems/09-version/problem.ko.txt

Lines changed: 4 additions & 4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5 +1,5 @@
1-
npm에 공개된 모든 패키지는 버전 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2-
패키지를 갱신하여 재공개하면, 버전 번호도 같이 갱신됩니다.
1+
npm에 배포된 모든 패키지는 버전 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2+
패키지를 갱신하여 재배포하면, 버전 번호도 같이 갱신됩니다.
33

44
npm의 버전 번호는 "SemVer"라는 표준을 따릅니다.
55
"SemVer"는 "Semantic Version"의 줄임말입니다. 이 표준의 사양은
@@ -20,8 +20,8 @@ npm에는 `npm version`이라는 package.json을 갱신하는 명령어가 있
2020
이 명령어를 사용하는 게 불안하다면 package.json 파일을 열어서 version 필드에
2121
새로운 버전을 입력하셔도 괜찮습니다.
2222

23-
npm 레지스트리는 버전 번호를 갱신하지 않으면 패키지를 재공개 할 수 없게 합니다.
24-
무슨 일이 있더라도 말이죠. 그렇기 때문에, 공개를 할 때는 사소한 변경이라도
23+
npm 레지스트리는 버전 번호를 갱신하지 않으면 패키지를 재배포 할 수 없게 합니다.
24+
무슨 일이 있더라도 말이죠. 그렇기 때문에, 배포를 할 때는 사소한 변경이라도
2525
버전 번호를 갱신 하는 것에 익숙해지는 것이 좋습니다.
2626

2727
걱정하지 마세요. 정수는 아주 많으므로 전부 다 써버릴 일은 없을 거예요.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