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159b87f

Browse files
committed
Solution: 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1 parent 02e60bb commit 159b87f

File tree

1 file changed

+113
-0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113
-0
lines changed
Lines changed: 113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113 @@
1+
/**
2+
* 풀이
3+
* - 아래와 같은 배열 memo를 이용하여 이중 반복문을 실행하는 풀이입니다
4+
* - memo[i]: nums[i]로 끝나는 subsequence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긴 subsequence의 길이
5+
*
6+
* Big O
7+
* - N: 배열 nums의 길이
8+
* - Time complexity: O(N^2)
9+
* - Space complexity: O(N)
10+
*/
11+
12+
class Solution {
13+
public:
14+
int lengthOfLIS(vector<int>& nums) {
15+
vector<int> memo;
16+
memo.push_back(1);
17+
18+
int res = 1;
19+
for (int i = 1; i < nums.size(); ++i) {
20+
int tmp = 1;
21+
for (int j = 0; j < i; ++j) {
22+
if (nums[j] < nums[i]) tmp = max(tmp, memo[j] + 1);
23+
}
24+
memo.push_back(tmp);
25+
res = max(res, tmp);
26+
}
27+
28+
return res;
29+
}
30+
};
31+
32+
/**
33+
* 풀이
34+
* - wikipedia의 pseudo code를 참고하였습니다
35+
* 달레님 블로그에 실린 풀이를 통해서 훨씬 간단하게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를 구할 수 있으므로, 문제의 풀이만을 원하신다면 달레님 블로그를 추천드리고
36+
* 좀 더 general하고 확장성 있는 알고리즘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wiki도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해하는 데에는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37+
*
38+
* 제가 읽고 이해한 결과 wiki 풀이와 달레님 풀이의 비교는 다음과 같습니다
39+
*
40+
* 공통점: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를 구할 수 있음 (LIS의 길이)
41+
* 차이점: wiki 풀이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를 구하는 것에 비해 overkill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굳이 필요 없는 부분이 꽤 있음)
42+
* 대신, wiki 풀이는 확장성이 좀 더 넓은 풀이입니다 (각 길이에 해당하는 increasing subsequence를 재구축할 수 있음)
43+
*
44+
* 관심 있으신 분들께서는 한 번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45+
* -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Longest_increasing_subsequence#Efficient_algorithms
46+
*
47+
* - memo[l]: 현재 nums[i]를 탐색중이라고 할 때, l <= i인 l에 대하여
48+
* 길이가 l인 increasing subsequence들의 마지막 원소 중에서
49+
* 가장 최소값인 nums[k]의 인덱스 k
50+
* nums를 순차적으로 탐색해 나감에 따라 계속 갱신되며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if x < y then nums[memo[x]] < nums[memo[y]])
51+
*
52+
* - predec[i]: nums[i]를 마지막 원소로 하는 가장 긴 increasing subsequence에서 nums[i] 바로 앞에 오는 원소의 index
53+
*
54+
* - nums를 순차적으로 탐색하며, 현재 탐색 중인 nums[i]를 마지막 원소로 삼는 가장 긴 Increasing subsequence를 찾습니다
55+
* 가장 긴 Increasing subsequence는 memo 배열에 대해 이분탐색을 실행하여 알아낼 수 있습니다
56+
*
57+
* Big O
58+
* - N: 배열 nums의 길이
59+
*
60+
* - Time complexity: O(NlogN)
61+
* - nums의 각 원소마다 memo에 대해 이분탐색을 실행하므로 N이 증가함에 따라 실행 시간은 N * logN 형태로 증가합니다
62+
* - Space complexity: O(N)
63+
* - memo 배열의 크기는 N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합니다
64+
*/
65+
66+
class Solution {
67+
public:
68+
int lengthOfLIS(vector<int>& nums) {
69+
int n = nums.size();
70+
71+
vector<int> memo(n + 1, -1);
72+
73+
// vector<int> predec(n, -1);
74+
// 각 길이에 맞는 increasing subsequence를 재구축할 때 쓰입니다
75+
76+
int max_len = 0;
77+
for (int i = 0; i < nums.size(); ++i) {
78+
int lo = 1;
79+
int hi = max_len + 1;
80+
while (lo < hi) {
81+
int mid = lo + (hi - lo) / 2;
82+
if (nums[memo[mid]] < nums[i]) lo = mid + 1;
83+
else hi = mid;
84+
}
85+
// 위 이분탐색을 마치면 lo == hi인데
86+
// lo (혹은 hi)가 의미하는 바는 `nums[i]가 마지막 원소인 increasing subsequence 중에 길이가 가장 긴 녀석의 길이` 입니다
87+
int curr_len = lo;
88+
// 이해하기 쉽게끔 curr_len이라는 변수를 선언해줍니다
89+
90+
// predec[i] = memo[curr_len - 1];
91+
// nums[i]가 마지막으로 오는 가장 긴 increasing subsequence에서 nums[i]의 바로 전 원소의 index를 기록해줍니다
92+
//
93+
memo[curr_len] = i;
94+
95+
if (curr_len > max_len) {
96+
// 만약 이전까지 찾았던 max_len보다 더 길이가 긴 increasing subsequence를 max_len
97+
max_len = curr_len;
98+
}
99+
}
100+
101+
return max_len;
102+
103+
// 길이 L짜리 increasing subsequence 중 하나를 재구축하려면 아래처럼 하면 됩니다
104+
// [P...P[memo[L]], ..., P[P[memo[L]]], P[memo[L]] ,memo[L]]
105+
106+
// vector<int> s(L, -1);
107+
// int k = memo[L];
108+
// for (int i = L - 1; i >= 0; --i) {
109+
// s[i] = nums[k];
110+
// k = predec[k];
111+
// }
112+
}
113+
};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