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erged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5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21 changes: 21 additions & 0 deletions contains-duplicate/seungseung88.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21 @@
// 시간 복잡도: O(n) => 배열을 한 번만 순회하므로
// 공간 복잡도: O(n) => 최악의 경우 모든 요소를 객체에 저장하므로
const containsDuplicate = (nums) => {
const indices = {};

// 배열을 한 번 순회
for (let i = 0; i < nums.length; i += 1) {
const num = nums[i];

// 아직 등장하지 않은 숫자라면 객체에 기록
if (!indices[num]) {
indices[num] = 1;
} else {
// 이미 등장한 숫자라면 중복이므로 true 반환
return true;
}
}

// 중복이 없으면 false 반환
return false;
};
31 changes: 31 additions & 0 deletions longest-consecutive-sequence/seungseung88.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1 @@
/**
* 시간복잡도: O(n)
* - set.has() => O(1)
* - while() => 최악의 경우 O(n)
* 공간복잡도: new Set() => O(n)
*/
const longestConsecutive = (nums) => {
// 빈 배열일 때 0 리턴
if (nums.length === 0) return 0;

// 중복 제거
const set = new Set(nums);

// 연속되는 숫자의 길이를 넣을 변수 설정
let longest = 0;

set.forEach((v) => {
// 일단 연속되는 배열에서는 가장 최솟값을 찾음
if (!set.has(v - 1)) {
let cnt = 1;

// 연속되는 배열에서 가장 긴 배열을 저장
while (set.has(v + cnt)) {
cnt += 1;
longest = longest < cnt ? cnt : longest;
Copy link
Membe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의도는 충분히 알겠으나 단순히 아래 코드가 가독성이 더 나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

if (cnt > longest) {
  longest = cnt;
}

}
}
});

return longest;
};
32 changes: 32 additions & 0 deletions top-k-frequent-elements/seungseung88.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2 @@
/**
* 시간 복잡도: O(n log n)
* - nums 배열 순회하며 빈도수 카운트: O(n)
* - 빈도수 기준 내림차순 정렬: O(n log n)
* - 상위 k개 선택: O(k) -> k는 n보다 작으므로 무시
*
* 공간 복잡도: O(n)
* - countNums 객체: 최악의 경우 모든 숫자가 다른 경우 O(n)
* - sortedCountNums 배열: countNums와 동일한 크기 O(n)
* - answer 배열: k 크기이지만 k는 n보다 작으므로 무시
*/
const topKFrequent = (nums, k) => {
// 각 숫자의 빈도수를 저장하는 객체
const countNums = {};

// nums 배열을 순회하며 각 숫자의 빈도수를 카운트
for (let i = 0; i < nums.length; i += 1) {
const num = nums[i];
countNums[num] = !countNums[num] ? 1 : countNums[num] + 1;
}

// 빈도수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
const sortedCountNums = Object.entries(countNums).sort((a, b) => b[1] - a[1]);
const answer = [];

// 상위 k개의 숫자를 answer 배열에 저장
for (let i = 0; i < k; i += 1) {
answer[i] = Number(sortedCountNums[i][0]);
}
Copy link
Membe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선언적으로 처리한다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할수도 있을 것 같아요!

Suggested change
const answer = [];
// 상위 k개의 숫자를 answer 배열에 저장
for (let i = 0; i < k; i += 1) {
answer[i] = Number(sortedCountNums[i][0]);
}
const answer = Array.from(sortedCountNums.entries())
.sort((a, b) => b[1] - a[1])
.slice(0, k)
.map(item => item[0]);


return answer;
};
21 changes: 21 additions & 0 deletions two-sum/seungseung88.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21 @@
// 배열을 한 번 도니 시간 복잡도 O(n)
// 최악의 경우 nums의 크기 배열만큼 증가하므로 공간 복잡도는 O(n)

const twoSum = (nums, target) => {
// {값: 인덱스} 형태로 저장
const indicies = {};

for (let i = 0; i < nums.length; i += 1) {
// 타겟값에서 현재 가리키는 숫자를 뺀 값을 저장
const complement = target - nums[i];

// complement가 indicies안에 존재하면 해당 값을 반환
if (complement in indicies) {
const j = indicies[complement];
return [j, i];
}
// 존재 하지 않으면 값과 인덱스 형태로 저장 ex> { 11: 0, 15: 1, 2: 2 }
indicies[nums[i]] = i;
console.log(indici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