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nversation

@jhlee-codes
Copy link
Collaborator

@jhlee-codes jhlee-codes commented Sep 8, 2025

기본 요구사항

웹소켓 구현하기

  • 웹소켓 환경 구성

    • spring-boot-starter-websocket 의존성을 추가하세요.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websocket'
    • 웹소켓 메시지 브로커 설정

      @Configuration 
      @EnableWebSocketMessageBroker 
      public class WebSocketConfig implements WebSocketMessageBrokerConfigurer {...}
      • 메모리 기반 SimpleBroker를 사용하세요.

        @Override 
        public void configureMessageBroker(MessageBrokerRegistry config) {...}
        • SimpleBroker의 Destination Prefix는 /sub 으로 설정하세요.
          •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구독할 때 사용합니다.
        • Application Destination Prefix는 /pub 으로 설정하세요.
          •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발행할 때 사용합니다.
        @Override 
        public void registerStompEndpoints(StompEndpointRegistry registry) {...}
        • STOMP 엔드포인트는 /ws로 설정하고, SockJS 연결을 지원해야 합니다.
  • 메시지 송신

    • 첨부파일이 없는 단순 텍스트 메시지인 경우 STOMP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를 구현하세요.

      @Controller 
      public class MessageWebSocketController {    
       ...     
      @MessageMapping(...) 
      }
      • 클라이언트는 웹소켓으로 /pub/messages 엔드포인트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합니다.
        • @MessageMapping을 활용하세요.
      • 메시지 전송 요청의 페이로드 타입은 MessageCreateRequest 를 그대로 활용합니다.
    • 첨부파일이 포함된 메시지는 기존의 API (POST /api/messages)를 그대로 활용합니다.

  • 메시지 수신

    • 클라이언트는 채널 입장 시 웹소켓으로 /sub/channels.{channelId}.messages 를 구독해 메시지를 수신합니다.

    • 이를 고려해 메시지가 생성되면 해당 엔드포인트로 메시지를 보내는 컴포넌트를 구현하세요.

      @Component 
      public class WebSocketRequiredEventListener {     
      ...     
      private final SimpMessagingTemplate messagingTemplate;        @TransactionalEventListener(phase = TransactionPhase.AFTER_COMMIT)   public void handleMessage(MessageCreatedEvent event) {...} }
      • MessageCreatedEvent를 통해 새로운 메시지 생성 이벤트를 확인하세요.
      • SimpMessagingTemplate를 통해 적절한 엔드포인트로 메시지를 전송하세요.

SSE 구현하기

  • SSE 환경을 구성하세요.

    • 클라이언트에서 SSE 연결을 위한 엔드포인트를 구현하세요.

      • GET /api/sse
    • 사용자별 SseEmitter 객체를 생성하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컴포넌트를 구현하세요.

      @Service
      public class SseService {
      
        public SseEmitter connect(UUID receiverId, UUID lastEventId) {...}
      
        public void send(Collection<UUID> receiverIds, String eventName, Object data) {...}
      
        public void broadcast(String eventName, Object data) {...}
      
        @Scheduled(fixedDelay = 1000 * 60 * 30)
        public void cleanUp() {...}
      
        private boolean ping(SseEmitter sseEmitter) {...}
      }
      • connect: SseEmitter 객체를 생성합니다.
      • sendbroadcast: SseEmitter 객체를 통해 이벤트를 전송합니다.
      • cleanUp: 주기적으로 ping을 보내서 만료된 SseEmitter 객체를 삭제합니다.
      • ping: 최초 연결 또는 만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더미 이벤트를 보냅니다.
    • SseEmitter 객체를 메모리에서 저장하는 컴포넌트를 구현하세요.

      @Repository
      public class SseEmitterRepository {
        private final ConcurrentMap<UUID, List<SseEmitter>> data = new ConcurrentHashMap<>();
          ...
      }
      • ConcurrentMap: 스레드 세이프한 자료구조를 사용합니다.
      • List<SseEmitter>: 사용자 당 N개의 연결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 다중 탭)
    • 이벤트 유실 복원을 위해 SSE 메시지를 저장하는 컴포넌트를 구현하세요.

      @Repository
      public class SseMessageRepository {
      
        private final ConcurrentLinkedDeque<UUID> eventIdQueue = new ConcurrentLinkedDeque<>();
        private final Map<UUID, SseMessage> messages = new ConcurrentHashMap<>();
          ...
      }
      • 각 메시지 별로 고유한 ID를 부여합니다.
      • 클라이언트에서 LastEventId를 전송해 이벤트 유실 복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 기존에 클라이언트에서 폴링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요청하던 데이터를 SSE를 이용해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리팩토링하세요.

    • 새로운 알림 이벤트 전송

      • 새 알림이 생성되었을 때 클라이언트에 이벤트를 전송하세요.

      • 클라이언트는 이 이벤트를 수신하면 알림 목록에 알림을 추가합니다.

      • 이벤트 명세

        id 이벤트 고유 ID
        name notifications.created
        data NotificationDto
    • 파일 업로드 상태 변경 이벤트 전송

      • 파일 업로드 상태가 변경될 때 이벤트를 발송하세요.

      • 클라이언트는 해당 상태를 수신하면 파일 상태 UI를 다시 렌더링합니다.

      • 이벤트 명세

        id 이벤트 고유 ID
        name binaryContents.updated
        data BinaryContentDto
    • 채널 갱신 이벤트 전송

      • 채널 정보가 변경될 때, 이벤트를 발송하세요.

      • 클라이언트는 해당 이벤트를 수신하면 채널 UI를 다시 렌더링합니다.

      • 이벤트 명세

        id 이벤트 고유 ID
        name channels.created or updated or deleted
        data ChannelDto
    • 사용자 갱신 이벤트 전송

      • 사용자 정보 또는 로그인 상태가 변경될 때, 이벤트를 발송하세요.
      • 클라이언트는 해당 이벤트를 수신하면 사용자 UI를 다시 렌더링합니다.
      • 이벤트 명세
        id 이벤트 고유 ID
        name users.created or updated or deleted
        data UserDto

배포 아키텍처 구성하기

  • 다음의 다이어그램에 부합하는 배포 아키텍처를 Docker Compose를 통해 구현하세요.

    gtwxscalk-image.png

    • Reverse Proxy
      • Nginx 기반의 리버스 프록시 컨테이너를 구성하세요.
      • 역할 및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api/*/ws/* 요청은 Backend 컨테이너로 프록시 처리합니다.
        • 이 외의 모든 요청은 **정적 리소스(프론트엔드 빌드 결과)**를 서빙합니다.
          • 프론트엔드 정적 리소스는 Nginx 컨테이너 내부의 적절한 경로(/usr/share/nginx/html 등)에 복사하세요.
      •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유일한 컨테이너이며, 3000번 포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 Backend
      • Spring Boot 기반의 백엔드 서버를 Docker 컨테이너로 구성하세요.
      • Reverse Proxy를 통해 /api/*/ws/* 요청이 이 서버로 전달됩니다.
    • DBMemory DBMessage Broker
      • Backend 컨테이너가 접근 가능한 다음의 인프라 컨테이너들을 구성하세요
        • DB: PostgreSQL
        • Memory DB: Redis
        • Message Broker: Kafka
      • 각 컨테이너는 Docker Compose 네트워크를 통해 백엔드에서 통신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외부 네트워크와 단절되어야 합니다.

심화 요구사항

웹소켓 인증/인가 처리하기

  • 인증 처리

    • 디스코드잇 클라이언트는 CONNECT 프레임의 헤더에 다음과 같이 Authorization 토큰을 포함합니다.

      CONNECT
      Authorization:Bearer eyJhbGciOiJIUzI1NiJ9.eyJzdWIiOiJ3b29keSIsImV4cCI6MTc0OTM5MzA0OCwiaWF0IjoxNzQ5MzkyNDQ4LCJ1c2VyRHRvIjp7ImlkIjoiMDQwZTk2ZWMtMjdmNC00Y2MxLWI4MWQtNTMyM2ExZWQ5NTZhIiwidXNlcm5hbWUiOiJ3b29keSIsImVtYWlsIjoid29vZHlAZGlzY29kZWl0LmNvbSIsInByb2ZpbGUiOm51bGwsIm9ubGluZSI6bnVsbCwicm9sZSI6IlVTRVIifX0.JOkvCpnR0e0KMQYLh_hUWglgTvUIlfQOT58eD4Cym5o
      accept-version:1.2,1.1,1.0
      heart-beat:4000,4000
    • 서버 측에서는 ChannelInterceptor를 구현하여 연결 시 토큰을 검증하고,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SecurityContext에 설정해야 합니다.

      참고 문서: Spring 공식 문서

      @Configuration
      @EnableWebSocketMessageBrok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WebSocketConfig implements WebSocketMessageBrokerConfigurer {
          ...
        @Override
        public void configureClientInboundChannel(ChannelRegistration registration) {
          registration.interceptors(...);
        }
      }
    • CONNECT 프레임일 때 엑세스 토큰을 검증하는 JwtAuthenticationChannelInterceptor 구현체를 정의하세요.

      public class JwtAuthenticationChannelInterceptor implements ChannelInterceptor {
          
          @Override
        public Message<?> preSend(Message<?> message, MessageChannel channel) {
              StompHeaderAccessor accessor = MessageHeaderAccessor.getAccessor(message,
              StompHeaderAccessor.class);
            if (StompCommand.CONNECT.equals(accessor.getCommand())) {
                ... // 검증 로직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authentication = ...
                accessor.setUser(authentication);
            }
            return message;
        }
        
      }
      • 검증 로직은 이전에 구현한 JwtAuthenticationFilter를 참고하세요.
      • 인증이 완료되면 SecurityContext에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대신 accessor 객체에 저장하세요.
    • SecurityContextChannelInterceptor를 등록하여 이후 메시지 처리 흐름에서도 인증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세요.

      ```java
      @Override
      public void configureClientInboundChannel(ChannelRegistration registration) {
        registration.interceptors(
            jwtAuthenticationChannelInterceptor,
          new SecurityContextChannelInterceptor(),
        );
      }
      
      
      
  • 인가 처리

    • AuthorizationChannelInterceptor를 사용해 메시지 권한 검사를 수행합니다.

    • AuthorizationChannelInterceptor를 활용하기 위해의존성을 추가하세요.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security:spring-security-messaging'
      
    • MessageMatcherDelegatingAuthorizationManager를 활용해 인가 정책을 정의하고, 채널에 추가하세요.

      ```java
      private AuthorizationChannelInterceptor authorizationChannelInterceptor() {
        return new AuthorizationChannelInterceptor(
            MessageMatcherDelegatingAuthorizationManager.builder()
                .anyMessage().hasRole(Role.USER.name())
                .build()
        );
      }
      
      
        ```java
        @Override
        public void configureClientInboundChannel(ChannelRegistration registration) {
          registration.interceptors(
              jwtAuthenticationChannelInterceptor,
            new SecurityContextChannelInterceptor(),
              authorizationChannelInterceptor()
          );
        }
      
      

분산 환경 배포 아키텍처 구성하기

  • 다음의 다이어그램에 부합하는 배포 아키텍처를 Docker Compose를 통해 구현하세요.

    zkdz2mts7-image.png

    • Backend-*
      • deploy.replicas 설정을 활용하세요.
    • Reverse Proxy
      • upstream 블록을 수정해 다음의 로드밸런싱 전략을 적용해 Backend로 트래픽을 분산시켜보세요.

        • Round Robin 기본값
        • Least Connections
        • IP Hash
        • Weight
      • $upstream_addr 변수를 활용해 실제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의 IP를 헤더에 추가하고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를 활용해 비교해보세요.

          ```
          location ^~ /api/sse {
                  ...
            add_header X-Upstream-Server $upstream_addr;
          }
        
          location ^~ /api/ {
              ...
            add_header X-Upstream-Server $upstream_addr;
          }
        
          location ^~ /ws/ {
              ...
            add_header X-Upstream-Server $upstream_addr;
          }
        
        
        
  • 분산환경에 따른 InMemoryJwtRegistry의 한계점을 식별하고 Redis를 활용해 리팩토링하세요.

    • 어떤 한계가 있는지 식별하고 PR에 남겨주세요.

      • InMemoryJwtRegistry는 JWT 토큰 정보를 각 컨테이너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 따라서 사용자가 backend-1에서 로그인해 토큰을 발급받어라도, 해당 정보는 backend-1 컨테이너에만 저장된다.
      • 이후 사용자의 요청이 로드밸런서를 통해 다른 컨테이너(backend-2)로 전달되면, 그 컨테이너의 InMemoryJwtRegistry에는 해당 토큰 정보가 없으므로 토큰을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 즉, 분산 환경에서는 인스턴스 간 토큰 상태를 공유하지 못하므로 토큰 관리가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다.
      • 스크린샷 2025-09-05 오후 3 59 02
    • RedisJwtRegistry 구현체를 활용하세요.

      @Configuration
      public class RedisConfig {
      
        @Bean
        public RedisTemplate<String, Object> redisTemplate(RedisConnectionFactory connectionFactory,
            @Qualifier("redisSerializer") GenericJackson2JsonRedisSerializer redisSerializer) {
          RedisTemplate<String, Object> template = new RedisTemplate<>();
          template.setConnectionFactory(connectionFactory);
      
          // Use String serializer for keys
          template.setKeySerializer(new StringRedisSerializer());
          template.setHashKeySerializer(new StringRedisSerializer());
      
          // Use JSON serializer for values
          template.setValueSerializer(redisSerializer);
          template.setHashValueSerializer(redisSerializer);
      
          template.afterPropertiesSet();
          return template;
        }
      
        @Bean("redisSerializer")
        public GenericJackson2JsonRedisSerializer redisSerializer(ObjectMapper objectMapper) {
          ObjectMapper redisObjectMapper = objectMapper.copy();
          redisObjectMapper.activateDefaultTyping(
              LaissezFaireSubTypeValidator.instance,
              DefaultTyping.EVERYTHING,
              As.PROPERTY
          );
          return new GenericJackson2JsonRedisSerializer(redisObjectMapper);
        }
      }
      package com.sprint.mission.discodeit.redis;
      
      import java.time.Duration;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redis.core.RedisTemplate;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redis.core.ValueOperations;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Slf4j
      @RequiredArgsConstructor
      @Component
      public class RedisLockProvider {
      
        private static final Duration LOCK_TIMEOUT = Duration.ofSeconds(10);
        private static final String LOCK_KEY_PREFIX = "lock:";
      
        private final RedisTemplate<String, Object> redisTemplate;
      
        public void acquireLock(String key) {
          String lockKey = LOCK_KEY_PREFIX + key;
          String lockValue = Thread.currentThread().getName() + "-" + System.currentTimeMillis();
          ValueOperations<String, Object> valueOps = redisTemplate.opsForValue();
      
          // SETNX: 키가 없으면 설정하고 TTL 지정
          Boolean acquired = valueOps.setIfAbsent(lockKey, lockValue, LOCK_TIMEOUT);
      
          if (Boolean.TRUE.equals(acquired)) {
            log.debug("분산 락 획득 성공: {} (값: {})", lockKey, lockValue);
          } else {
            log.debug("분산 락 획득 실패: {}", lockKey);
            throw new RedisLockAcquisitionException("분산 락 획득 실패: " + lockKey);
          }
        }
      
        public void releaseLock(String key) {
          String lockKey = LOCK_KEY_PREFIX + key;
          try {
            redisTemplate.delete(lockKey);
            log.debug("분산 락 해제 완료: {}", lockKey);
          } catch (Exception e) {
            log.warn("분산 락 해제 실패: {}", lockKey, e);
          }
        }
        public static class RedisLockAcquisitionException extends RuntimeException {
      
          public RedisLockAcquisitionException(String message) {
            super(message);
          }
        }
      }
      • 원자적 연산을 위해 분산락을 사용합니다.
      package com.sprint.mission.discodeit.security.jwt;
      
      import com.sprint.mission.discodeit.dto.data.JwtInformation;
      import com.sprint.mission.discodeit.event.message.UserLogInOutEvent;
      import com.sprint.mission.discodeit.redis.RedisLockProvider.RedisLockAcquisitionException;
      import com.sprint.mission.discodeit.redis.RedisLockProvider;
      import java.time.Duration;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et;
      import java.util.UUID;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cache.annotation.CacheEvic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EventPublisher;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redis.core.RedisTemplate;
      import org.springframework.retry.annotation.Backoff;
      import org.springframework.retry.annotation.Retryable;
      import org.springframework.scheduling.annotation.Scheduled;
      
      @Slf4j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RedisJwtRegistry implements JwtRegistry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SER_JWT_KEY_PREFIX = "jwt:user:";
        private static final String ACCESS_TOKEN_INDEX_KEY = "jwt:access_tokens";
        private static final String REFRESH_TOKEN_INDEX_KEY = "jwt:refresh_tokens";
        private static final Duration DEFAULT_TTL = Duration.ofMinutes(30);
      
        private final int maxActiveJwtCount;
        private final JwtTokenProvider jwtTokenProvider;
        private final ApplicationEventPublisher eventPublisher;
        private final RedisTemplate<String, Object> redisTemplate;
        private final RedisLockProvider redisLockProvider;
      
        @CacheEvict(value = "users", key = "'all'")
        @Retryable(retryFor = RedisLockAcquisitionException.class, maxAttempts = 10,
            backoff = @Backoff(delay = 100, multiplier = 2))
        @Override
        public void registerJwtInformation(JwtInformation jwtInformation) {
          String userKey = getUserKey(jwtInformation.getUserDto().id());
          String lockKey = jwtInformation.getUserDto().id().toString();
      
          redisLockProvider.acquireLock(lockKey);
          try {
            Long currentSize = redisTemplate.opsForList().size(userKey);
      
            while (currentSize != null && currentSize >= maxActiveJwtCount) {
              Object oldestTokenObj = redisTemplate.opsForList().leftPop(userKey);
              if (oldestTokenObj instanceof JwtInformation oldestToken) {
                removeTokenIndex(oldestToken.getAccessToken(), oldestToken.getRefreshToken());
              }
              currentSize = redisTemplate.opsForList().size(userKey);
            }
      
            redisTemplate.opsForList().rightPush(userKey, jwtInformation);
            redisTemplate.expire(userKey, DEFAULT_TTL);
            addTokenIndex(jwtInformation.getAccessToken(), jwtInformation.getRefreshToken());
      
          } finally {
            redisLockProvider.releaseLock(lockKey);
          }
      
          eventPublisher.publishEvent(
              new UserLogInOutEvent(jwtInformation.getUserDto().id(), true)
          );
        }
      
        @CacheEvict(value = "users", key = "'all'")
        @Override
        public void invalidateJwtInformationByUserId(UUID userId) {
          String userKey = getUserKey(userId);
      
          List<Object> tokens = redisTemplate.opsForList().range(userKey, 0, -1);
          if (tokens != null) {
            tokens.forEach(tokenObj -> {
              if (tokenObj instanceof JwtInformation jwtInfo) {
                removeTokenIndex(jwtInfo.getAccessToken(), jwtInfo.getRefreshToken());
              }
            });
          }
      
          redisTemplate.delete(userKey);
          eventPublisher.publishEvent(new UserLogInOutEvent(userId, false));
        }
      
        @Override
        public boolean hasActiveJwtInformationByUserId(UUID userId) {
          String userKey = getUserKey(userId);
          Long size = redisTemplate.opsForList().size(userKey);
          return size != null && size > 0;
        }
      
        @Override
        public boolean hasActiveJwtInformationByAccessToken(String accessToken) {
          return Boolean.TRUE.equals(
              redisTemplate.opsForSet().isMember(ACCESS_TOKEN_INDEX_KEY, accessToken)
          );
        }
      
        @Override
        public boolean hasActiveJwtInformationByRefreshToken(String refreshToken) {
          return Boolean.TRUE.equals(
              redisTemplate.opsForSet().isMember(REFRESH_TOKEN_INDEX_KEY, refreshToken)
          );
        }
      
        @Retryable(retryFor = RedisLockAcquisitionException.class, maxAttempts = 10,
            backoff = @Backoff(delay = 100, multiplier = 2))
        @Override
        public void rotateJwtInformation(String refreshToken, JwtInformation newJwtInformation) {
          String userKey = getUserKey(newJwtInformation.getUserDto().id());
          String lockKey = newJwtInformation.getUserDto().id().toString();
      
          redisLockProvider.acquireLock(lockKey);
          try {
            List<Object> tokens = redisTemplate.opsForList().range(userKey, 0, -1);
      
            if (tokens != null) {
              for (int i = 0; i < tokens.size(); i++) {
                if (tokens.get(i) instanceof JwtInformation jwtInfo &&
                    jwtInfo.getRefreshToken().equals(refreshToken)) {
      
                  removeTokenIndex(jwtInfo.getAccessToken(), jwtInfo.getRefreshToken());
                  jwtInfo.rotate(newJwtInformation.getAccessToken(),
                      newJwtInformation.getRefreshToken());
                  redisTemplate.opsForList().set(userKey, i, jwtInfo);
                  addTokenIndex(newJwtInformation.getAccessToken(),
                      newJwtInformation.getRefreshToken());
                  redisTemplate.expire(userKey, DEFAULT_TTL);
                  break;
                }
              }
            }
      
          } finally {
            redisLockProvider.releaseLock(lockKey);
          }
        }
      
        @Scheduled(fixedDelay = 1000 * 60 * 5)
        @Override
        public void clearExpiredJwtInformation() {
          Set<String> userKeys = redisTemplate.keys(USER_JWT_KEY_PREFIX + "*");
      
          for (String userKey : userKeys) {
            List<Object> tokens = redisTemplate.opsForList().range(userKey, 0, -1);
      
            if (tokens != null) {
              boolean hasValidTokens = false;
      
              for (int i = tokens.size() - 1; i >= 0; i--) {
                if (tokens.get(i) instanceof JwtInformation jwtInfo) {
                  boolean isExpired =
                      !jwtTokenProvider.validateAccessToken(jwtInfo.getAccessToken()) ||
                          !jwtTokenProvider.validateRefreshToken(jwtInfo.getRefreshToken());
      
                  if (isExpired) {
                    redisTemplate.opsForList().set(userKey, i, "EXPIRED");
                    redisTemplate.opsForList().remove(userKey, 1, "EXPIRED");
                    removeTokenIndex(jwtInfo.getAccessToken(), jwtInfo.getRefreshToken());
                  } else {
                    hasValidTokens = true;
                  }
                }
              }
      
              if (!hasValidTokens) {
                redisTemplate.delete(userKey);
              }
            }
          }
        }
        
        private String getUserKey(UUID userId) {
          return USER_JWT_KEY_PREFIX + userId.toString();
        }
      
        private void addTokenIndex(String accessToken, String refreshToken) {
          // Set에 토큰 추가 (add: 중복되면 무시됨)
          redisTemplate.opsForSet().add(ACCESS_TOKEN_INDEX_KEY, accessToken);
          redisTemplate.opsForSet().add(REFRESH_TOKEN_INDEX_KEY, refreshToken);
      
          // 인덱스 키에도 만료 시간 설정 (메모리 누수 방지)
          redisTemplate.expire(ACCESS_TOKEN_INDEX_KEY, DEFAULT_TTL);
          redisTemplate.expire(REFRESH_TOKEN_INDEX_KEY, DEFAULT_TTL);
        }
      
        private void removeTokenIndex(String accessToken, String refreshToken) {
          // Set에서 토큰 제거
          redisTemplate.opsForSet().remove(ACCESS_TOKEN_INDEX_KEY, accessToken);
          redisTemplate.opsForSet().remove(REFRESH_TOKEN_INDEX_KEY, refreshToken);
        }
      }
  • 분산환경에 따른 웹소켓과 SSE의 한계점을 식별하고 Kafka를 활용해 리팩토링하세요.

    • 어떤 한계가 있는지 식별하고 PR에 남겨주세요.

      • WebSocket과 SSE는 기본 구현이 노드 로컬 메모리 상태에 의존하기 때문에 분산 환경에서는 세션/구독/이벤트가 공유되지 않는다.
      • 이로 인해 컨테이너 A에서 발생한 이벤트는 컨테이너 B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 직접 전달되지 않아, 실시간 동기화가 깨진다.
      • Kafka 같은 중앙 메시지 브로커를 사용해야 컨테이너 간 이벤트를 전파하고, 모든 노드가 동일한 세션·구독 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를 전달해야 한다.
    • 일반적인 카프카 이벤트와 다르게 각 서버 인스턴스마다 이벤트를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컨슈머 group id를 적절히 설정하세요.


주요 변경사항

1. 프로젝트 버전이 변경되었습니다. v3.0-M12

  • 세부 사항
    # build.gradle 
      ... 
      version = '2.3-M11' 
      version = '3.0-M12' 
    ...
    
    • 3.0api-doc 버전을 따릅니다.
    • M12: 미션 12을 의미합니다.

2. 프론트엔드가 변경되었습니다.

  • v3.0.0
    • 폴링이 삭제되고, 웹소켓, SSE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스크린샷

멘토에게

  • 셀프 코드 리뷰를 통해 질문 이어가겠습니다.

@jhlee-codes jhlee-codes requested a review from ssjf409 September 8, 2025 09:46
@jhlee-codes jhlee-codes added the 매운맛🔥 뒤는 없습니다. 그냥 필터 없이 말해주세요. 책임은 제가 집니다. label Sep 8, 2025
@ssjf409
Copy link
Collaborator

ssjf409 commented Sep 14, 2025

지현님 죄송한데, 이전에 리뷰했던 내용도 다 변경사항에 들어와서..
코드량이 너무 많아서 이번에 하는 변경 사항이 눈에 안 들어옵니다.

이전에 했던건 안 보이게 해주실 수 있을까요

@ssjf409
Copy link
Collaborator

ssjf409 commented Sep 14, 2025

아, 제가 10, 11 꺼 머지 하면 될까요 ?

@ssjf409
Copy link
Collaborator

ssjf409 commented Sep 14, 2025

머지를 해도 마찬가지네요. base 브랜치 (codeit-bootcamp-spring:이지현)에 10, 11 때 리뷰 했던 커밋들이 들어있게해주세요.

@jhlee-codes
Copy link
Collaborator Author

지현님 죄송한데, 이전에 리뷰했던 내용도 다 변경사항에 들어와서.. 코드량이 너무 많아서 이번에 하는 변경 사항이 눈에 안 들어옵니다.

이전에 했던건 안 보이게 해주실 수 있을까요

넵! 스프린트 미션 11 이후 커밋들만 남겨두었습니다!

/**
* SseEmitter 제거
*/
public void remove(UUID receiverId, SseEmitter sseEmitter) {
Copy link
Collabora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것도 add처럼 원자성 있게 처리해야할것 같아요.

public void remove(UUID receiverId, SseEmitter sseEmitter) {
    data.computeIfPresent(receiverId, (key, emitters) -> {
        emitters.remove(sseEmitter);
        return emitters.isEmpty() ? null : emitters;
    });
}

Comment on lines +62 to +63
List<Notification> notifications = notificationRepository.findAllByReceiverId(receiverId,
Sort.by(Sort.Direction.DESC, "createdAt"));
Copy link
Collabora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findAll 처럼 전체 조회하는거면.. DB에서 정렬하는 것 보다, application에서 정렬하는게 DB 리소스를 덜 쓰는 일일거 같아요.

}

redisTemplate.opsForList().rightPush(userKey, jwtInformation);
redisTemplate.expire(userKey, DEFAULT_TTL);
Copy link
Collabora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렇게 하면 userKey 하나하나에 TTL을 건게 아니라,
List에 TTL을 건거인데, 의도하신거가요?

Copy link
Collaborator Auth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해당 코드는 코드잇에서 제공하는 코드였습니다..!! (심화 요구사항 - 분산 환경 배포 아키텍처 구성하기)

@ssjf409
Copy link
Collaborator

ssjf409 commented Sep 16, 2025

캐시에서 전체를 다 읽는 코드 부분이 많아요.
전에도 코멘트 남겼지만, 그렇게 하면 매번 전체 데이터를 읽어보고 날리고 반복하는건 너무 비효율적인거 같아요.

@jhlee-codes
Copy link
Collaborator Author

jhlee-codes commented Sep 18, 2025

남겨주신 리뷰들 참고해 앞으로 수정해보겠습니다!
그동안 꼼꼼하게 리뷰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매운맛🔥 뒤는 없습니다. 그냥 필터 없이 말해주세요. 책임은 제가 집니다.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Successfully merging this pull request may close these issues.

2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