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하지만, 또한 생각해보면, 예시 상황에서의 두 곡선의 길이가 같다면 곡률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상황을 가정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두 곡선의 길이는 무한소의 상황에서도 잘 상쇄되어 같아지 않을까 하고 추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
152
152
또한 만약 꼭 두 길이가 같지 않다면 어떤 경우에 같지 않은지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153
153
154
-
## 1.3 수학적인 묘사
154
+
<!--## 1.3 수학적인 묘사
155
155
156
156
이 문제는 아주 실용적인 문제라 할 만하지만, 순수하게 수학적인 문제로 여길 수도 있다.
157
157
즉, 다음과 같은 문제로 치환될 수 있을 것이다.
158
158
159
159
> 폐구간 $I$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2차원 곡선 $\alpha:I\to\mathbb R^2$, $\beta:I\to\mathbb R^2$이 있다.
160
160
> 모든 $t\in I$에 대하여 $\left|\alpha'(t)\right|\gt0$, $\left|\beta'(t)\right|\gt0$이고 $\alpha'(t)\parallel\beta'(t)$이며 $\left|\alpha(t)-\beta(t)\right|=2\lambda$일 때, 다음이 성립합니다;
[Ted Shifrin](https://math.stackexchange.com/users/71348/ted-shifrin)의 풀이를 그대로 옮겨 써보려 한다.
170
+
[Ted Shifrin](https://math.stackexchange.com/users/71348/ted-shifrin)의 풀이를 따라 적어보려 한다.
171
171
시간 $s$에서 자동차의 왼쪽 바퀴의 위치를 $\beta_-(s)$ 오른쪽 바퀴의 위치를 $\beta_+(s)$라고 하자.
172
-
또한, 자동차 뒷바퀴의 중심의 위치를 $\alpha(s)$라고 하자.
173
-
그러면
174
-
172
+
자동차 뒷바퀴의 중심의 위치는 $\alpha(s)$라고 하고 $\alpha$가 매끄러운(smooth) 곡선이라고 하자.
173
+
<!-- 그러면
175
174
$$\alpha = \frac{\beta_-+\beta_+}2$$
176
-
177
175
이고
178
-
179
176
$$\alpha'\perp\beta_-\beta_+$$
180
-
181
-
이다.
182
-
일반성을 잃지 않고 모든 $s$에 대하여 $\left|\left|\alpha'(s)\right|\right|=1$이라고 하고 $T(s)$를 $T(s)=\alpha'(s)$라고 정의하면 이것은 $\alpha$에 대한 통상적인 principal unit tangent vector가 된다.
177
+
이다. -->
178
+
일반성을 잃지 않고 모든 $s$에 대하여 $\left|\left|\alpha'(s)\right|\right|\ne0$이라고 하자.
179
+
$T(s)$를 $T(s)=\frac{\alpha'(s)}{\lvert\alpha'(s)\rvert}$라고 정의하면 $T$는 통상적인 principal unit tangent vector가 된다.
183
180
184
181
$$T\cdot T = \left|\left|T\right|\right|^2=1$$
185
182
186
-
의 양변을 미분하면
183
+
의 양변을 미분하면 $T\cdot T'=0$이고 $T\perp T'$이다.
184
+
$T(s)$를 양의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frac\pi2$만큼 회전한 벡터를 $N(s)$라고 하면
185
+
$N$은 이것은 통상적인 principal unit normal vector이고 <!--앞서 논리와 마찬가지로 하면 $N\cdot N'=0$이다. -->
186
+
<!-- 또한, $T(s)$와 $N(s)$는 평면의 orthonormal basis를 이루고 따라서 -->
187
187
188
-
$$T\cdot T' + T'\cdot T=0,$$
189
-
190
-
즉, $T\cdot T'=0$이다.
191
-
$T(s)$를 양의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 벡터를 $N(s)$라고 하면 이것은 통상적인 principal unit normal vector가 되며, 앞서 논리와 마찬가지로 하면 $N\cdot N'=0$이다.
192
-
또한, $T(s)$와 $N(s)$는 평면의 orthonormal basis를 이루고 따라서
193
-
194
-
$$T'(s)=\kappa(s)N(s)$$
188
+
$$T'(s)=\kappa(s)N(s)\tag{1}$$
195
189
196
190
를 만족시키는 실수 $\kappa(s)$가 존재한다.
197
191
$\kappa(s)$는, 말하자면 부호가 존재하는 곡률이다.
198
192
그러면
199
193
200
-
$$0=(T\cdot N)'=T'\cdot N + T\cdot N' = \kappa+T\cdot N'$$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