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b02e50e

Browse files
committed
wheels problem finished anyway
1 parent aecf347 commit b02e50e

File tree

1 file changed

+115
-64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115
-64
lines changed

_posts/2025-03-17-wheels.md

Lines changed: 115 additions & 64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51,67 +151,61 @@ $$
151151
하지만, 또한 생각해보면, 예시 상황에서의 두 곡선의 길이가 같다면 곡률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상황을 가정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두 곡선의 길이는 무한소의 상황에서도 잘 상쇄되어 같아지 않을까 하고 추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
152152
또한 만약 꼭 두 길이가 같지 않다면 어떤 경우에 같지 않은지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153153

154-
## 1.3 수학적인 묘사
154+
<!-- ## 1.3 수학적인 묘사
155155
156156
이 문제는 아주 실용적인 문제라 할 만하지만, 순수하게 수학적인 문제로 여길 수도 있다.
157157
즉, 다음과 같은 문제로 치환될 수 있을 것이다.
158158
159159
> 폐구간 $I$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2차원 곡선 $\alpha:I\to\mathbb R^2$, $\beta:I\to\mathbb R^2$이 있다.
160160
> 모든 $t\in I$에 대하여 $\left|\alpha'(t)\right|\gt0$, $\left|\beta'(t)\right|\gt0$이고 $\alpha'(t)\parallel\beta'(t)$이며 $\left|\alpha(t)-\beta(t)\right|=2\lambda$일 때, 다음이 성립합니다;
161161
>
162-
> $$\int_I|\alpha(t)|\,dt=\int_I|\beta(t)|\,dt.$$
162+
> $$\int_I|\alpha(t)|\,dt=\int_I|\beta(t)|\,dt.$$ -->
163163

164164
# 2. 풀이
165165

166166
(2025년 8월 27일에 다시 쓰기 시작)
167167

168-
## 2.1 문제 상황 묘사 및 계산
168+
## 2.1 문제 상황 묘사
169169

170-
[Ted Shifrin](https://math.stackexchange.com/users/71348/ted-shifrin)의 풀이를 그대로 옮겨 써보려 한다.
170+
[Ted Shifrin](https://math.stackexchange.com/users/71348/ted-shifrin)의 풀이를 따라 적어보려 한다.
171171
시간 $s$에서 자동차의 왼쪽 바퀴의 위치를 $\beta_-(s)$ 오른쪽 바퀴의 위치를 $\beta_+(s)$라고 하자.
172-
또한, 자동차 뒷바퀴의 중심의 위치를 $\alpha(s)$라고 하자.
173-
그러면
174-
172+
자동차 뒷바퀴의 중심의 위치는 $\alpha(s)$라고 하고 $\alpha$가 매끄러운(smooth) 곡선이라고 하자.
173+
<!-- 그러면
175174
$$\alpha = \frac{\beta_-+\beta_+}2$$
176-
177175
이고
178-
179176
$$\alpha'\perp\beta_-\beta_+$$
180-
181-
이다.
182-
일반성을 잃지 않고 모든 $s$에 대하여 $\left|\left|\alpha'(s)\right|\right|=1$이라고 하고 $T(s)$를 $T(s)=\alpha'(s)$라고 정의하면 이것은 $\alpha$에 대한 통상적인 principal unit tangent vector가 된다.
177+
이다. -->
178+
일반성을 잃지 않고 모든 $s$에 대하여 $\left|\left|\alpha'(s)\right|\right|\ne0$이라고 하자.
179+
$T(s)$를 $T(s)=\frac{\alpha'(s)}{\lvert\alpha'(s)\rvert}$라고 정의하면 $T$는 통상적인 principal unit tangent vector가 된다.
183180

184181
$$T\cdot T = \left|\left|T\right|\right|^2=1$$
185182

186-
의 양변을 미분하면
183+
의 양변을 미분하면 $T\cdot T'=0$이고 $T\perp T'$이다.
184+
$T(s)$를 양의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frac\pi2$만큼 회전한 벡터를 $N(s)$라고 하면
185+
$N$은 이것은 통상적인 principal unit normal vector이고 <!--앞서 논리와 마찬가지로 하면 $N\cdot N'=0$이다. -->
186+
<!-- 또한, $T(s)$와 $N(s)$는 평면의 orthonormal basis를 이루고 따라서 -->
187187

188-
$$T\cdot T' + T'\cdot T=0,$$
189-
190-
즉, $T\cdot T'=0$이다.
191-
$T(s)$를 양의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 벡터를 $N(s)$라고 하면 이것은 통상적인 principal unit normal vector가 되며, 앞서 논리와 마찬가지로 하면 $N\cdot N'=0$이다.
192-
또한, $T(s)$와 $N(s)$는 평면의 orthonormal basis를 이루고 따라서
193-
194-
$$T'(s)=\kappa(s)N(s)$$
188+
$$T'(s)=\kappa(s)N(s)\tag{1}$$
195189

196190
를 만족시키는 실수 $\kappa(s)$가 존재한다.
197191
$\kappa(s)$는, 말하자면 부호가 존재하는 곡률이다.
198192
그러면
199193

200-
$$0=(T\cdot N)'=T'\cdot N + T\cdot N' = \kappa+T\cdot N'$$
201-
202-
에서
203-
204-
$$\kappa = -T\cdot N'$$
194+
$$
195+
\kappa(s) = \kappa(s)\left(N(s)\cdot N(s)\right)=\left(\kappa(s)N(s)\right)\cdot N(s)=T'(s)\cdot N(s)
196+
\tag{2}
197+
$$
205198

206-
이고
199+
이다.
207200

208201
$$
209-
\begin{align*}
202+
\begin{aligned}
210203
N'
211204
&=(N'\cdot N)N + (N'\cdot T)T\\
212205
&=0 + (-\kappa T)\\
213206
&=-\kappa T
214-
\end{align*}
207+
\end{aligned}
208+
\tag{3}
215209
$$
216210

217211
이다.
@@ -231,75 +225,132 @@ $|\beta_{\pm}'|$를 일정한 폐구간 사이에서 적분하면 각 바퀴가
231225

232226
$$
233227
\begin{align*}
234-
\beta_+'
235-
&=\left(\alpha + \lambda N\right)'\\
236-
&=\alpha' + \lambda N'\\
237-
&=T - \lambda\kappa T\\
238-
&=(1-\lambda\kappa)T\\
239-
\beta_-'
240-
&=\left(\alpha - \lambda N\right)'\\
241-
&=\alpha' - \lambda N'\\
242-
&=T + \lambda\kappa T\\
243-
&=(1+\lambda\kappa)T\\
228+
\beta_\pm'
229+
&=\left(\alpha \pm \lambda N\right)'\\
230+
&=\alpha' \pm \lambda N'\\
231+
&\stackrel{(3)}=T \mp \lambda\kappa T\\
232+
&=(1\mp\lambda\kappa)T
244233
\end{align*}
245234
$$
246235

247236
이다.
248-
만약 곡률반지름이 커서 곡률 $\vert\kappa\vert$의 절댓값이 적고, 그로인해 $1\pm\lambda\kappa>0$이 만족된다고 가정하자.
249-
그러면 오른쪽 바퀴가 이동한 거리는
237+
만약 곡률반지름이 커서 곡률 $\vert\kappa\vert$의 절댓값이 적고, 그로 인해 $1\pm\lambda\kappa>0$이 만족된다고 가정하자.
238+
그러면 바퀴가 이동한 거리는
250239

251240
$$
252241
\begin{align*}
253-
\int\left|\beta_+(s)\right|\,ds
254-
&=\int\left|\left(1-\lambda\kappa(s)\right)T\right|\,ds\\
255-
&=\int\left(1-\lambda\kappa(s)\right)\,ds\\
256-
&=\int\,ds -\lambda\int\kappa(s)\,ds\\
257-
%&\stackrel{\ast}=\int\,ds
242+
\int_{s_1}^{s_2}\left|\beta_\pm(s)\right|\,ds
243+
&=\int_{s_1}^{s_2}\left|\left(1\mp\lambda\kappa(s)\right)T\right|\,ds\\
244+
&=\int_{s_1}^{s_2}\left(1\mp\lambda\kappa(s)\right)\,ds\\
245+
&=\int_{s_1}^{s_2}\,ds\mp\lambda\int_{s_1}^{s_2}\kappa(s)\,ds\\
246+
%&\stackrel{\ast}=\int_{s_1}^{s_2}\,ds
258247
\end{align*}
259248
$$
260249

261-
이고 마찬가지로 왼쪽 바퀴가 이동한 거리는
250+
<!-- 이고 마찬가지로 왼쪽 바퀴가 이동한 거리는
262251
263252
$$
264-
\int\left|\beta_+(s)\right|\,ds
265-
=\int\,ds +\lambda\int\kappa(s)\,ds
266-
$$
253+
\int_{s_1}^{s_2}\left|\beta_+(s)\right|\,ds
254+
=\int_{s_1}^{s_2}\,ds +\lambda\int_{s_1}^{s_2}\kappa(s)\,ds
255+
$$ -->
267256

257+
이다.
268258
이 문제에서의 핵심은 두 식의 오른쪽 부분에서 등장하는 적분이 0이 된다는 것이다.
269259

270260
$$
271-
\int\kappa(s)\,ds\tag{$\ast$} = 0
261+
\int_{s_1}^{s_2}\kappa(s)\,ds\tag{4} = 0
272262
$$
273263

274-
정확하게는, 운행을 멈췄을 때 자동차가 향하는 방향이 운행을 시작했을 때 자동차가 향하는 방향과 같고 운행중에 완전히 회전하지 않았다는 가정 하에 $(\ast)$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275-
따라서 이 문제는 식 $(\ast)$을 증명하는 문제로 한원된다.
264+
정확하게는, 운행을 멈췄을 때 자동차가 향하는 방향이 운행을 시작했을 때 자동차가 향하는 방향과 같고 운행중에 완전히 회전하지 않았다는 가정 하에 $(4)$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265+
따라서 이 문제는 식 $(4)$을 증명하는 문제로 한원된다.
276266

277-
## 2.2 total curvature
267+
## 2.2 예시
278268

279-
곡선 $\alpha:[a,b]\to\mathbb R^2$에 대하여 해당 적분값을 구해보자.
269+
곡선 $\alpha:[s_1,s_2]\to\mathbb R^2$에 대하여 해당 적분값을 구해보자.
280270

281-
### 2.3.1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물체
282-
$\alpha$를 $(m_0,n_0)$에서 출발하여 $(m,n)$의 방향으로 향하는 직선이라고 하자($a\le s\le b$).
283-
$\alpha(s)=(m_0+ms,n_0+ns)$이고 $T=(m,n)$이고 $\sqrt{m^2+n^2}=1$이다.
271+
### 2.3.1 직진하는 자동차
272+
273+
$\alpha$를 $(m_0,n_0)$에서 출발하여 $(m,n)$의 방향으로 향하는 직선이라고 하자($s_1\le s\le s_2$).
274+
$\alpha(s)=(m_0+m(s-s_1),n_0+n(s-s_1))$이고 $T=(m,n)$이고 $\sqrt{m^2+n^2}=1$이다.
284275
$N=(-n,m)$, $T'=(0,0)$에서 $\kappa=0$이다.
285-
이 문제는 시작점과 종료점에서 향하는 방향이 같으며 식 $(\ast)$의 값은
276+
이 문제는 시작점과 종료점에서 향하는 방향이 같으며 식 $(4)$의 값은
286277

287278
$$
288-
\int_a^b\kappa(s)\,ds\tag{$\ast$}
289-
=\int_a^b0\,ds=0
279+
\int_{s_1}^{s_2}\kappa(s)\,ds
280+
=\int_{s_1}^{s_2}0\,ds=0
290281
$$
291282

292283
가 된다.
293284

294-
### 2.3.2 반원 위를 움직이는 물체
295-
$\alpha$를 $(1,0)$에서 출발하여 일정한 속력으로 단위원을 따라 $(-1,0)$에서 멈추는 곡선이라고 하자.
285+
### 2.3.2 반원 위를 움직이는 자동차
286+
$\alpha$를 $(1,0)$에서 출발하여 일정한 속력 $1$로 단위원을 따라 $(-1,0)$에서 멈추는 곡선이라고 하자.
296287
$\alpha(s)=(\cos s,\sin s)$이고 $T=(-\sin s,\cos s)$이고 $0\le s\le\pi$이다.
297288
$N=(-\cos s,-\sin s)$, $N'=(\sin s,-\cos s)$이다.
298-
그러면 이 문제는 시작점과 종료점에서 향하는 방향이 반대이고 $\kappa(s) = -T\cdot N'=1$이며 식 $(\ast)$의 값은
289+
그러면 이 문제는 시작점과 종료점에서 향하는 방향이 반대이고 $\kappa(s) = -T\cdot N'=1$이며 식 $(4)$의 값은
299290

300291
$$
301-
\int_0^\pi\kappa(s)\,ds\tag{$\ast$}
292+
\int_0^\pi\kappa(s)\,ds
302293
=\int_0^\pi1\,ds=\pi
303294
$$
304295

305296
가 된다.
297+
298+
## 2.3 total curvature
299+
300+
식 (4)와 같은 식은 [total curvature](https://en.wikipedia.org/wiki/Total_curvature)라고 불린다.
301+
폐구간 $[s_1, s_2]$의 시작점 $s_1$에 대하여 $T(s_1)=\left(\cos\theta_1,\sin\theta_1\right)$을 만족시키는 $\theta_1=\theta(s_1)\in[0,2\pi)$가 존재한다.
302+
$\alpha$의 smoothness로부터 $T$도 smooth하고, 따라서 모든 $s$에 대하여
303+
304+
$$T(s)=\left(\cos(\theta(s)),\sin(\theta(s))\right)$$
305+
306+
을 만족시키는 연속함수 $\theta:[s_1,s_2]\to\mathbb R$가 존재한다.
307+
308+
각각의 $s$에 대하여
309+
310+
$$
311+
\begin{bmatrix}\cos\frac\pi2&-\sin\frac\pi2\\\sin\frac\pi2&\cos\frac\pi2\end{bmatrix}
312+
\begin{bmatrix}\cos\theta\\\sin\theta\end{bmatrix}
313+
=
314+
\begin{bmatrix}-\sin\theta\\\cos\theta\end{bmatrix},
315+
$$
316+
317+
로부터 $N(s)=(-\sin\theta,\cos\theta)$이다.
318+
또한 $T'(s)$를 계산하면
319+
320+
$$T'(s)=\frac1{ds}(\cos\theta,\sin\theta)=\frac{d\theta}{ds}(-\sin\theta,\cos\theta).$$
321+
322+
이므로 식 (1) 또는 (2)로부터
323+
324+
$$\kappa(s)=\frac{d\theta}{ds}\tag{5}$$
325+
326+
가 얻어진다.
327+
그러면, 문제의 가정으로부터 $\theta_1=\theta_2$이므로
328+
329+
$$
330+
\begin{align*}
331+
\int_{s_1}^{s_2}\kappa(s)\,ds
332+
&=\int_{s_1}^{s_2}\frac{d\theta}{ds}\,ds\\
333+
&=\int_{\theta_1}^{\theta_2}\,d\theta\\
334+
&=\theta_2-\theta_1\\
335+
&=0
336+
\end{align*}
337+
$$
338+
339+
이 된다.
340+
따라서, 주어진 가정이 만족되면 왼바퀴와 오른바퀴가 이동한 거리는 같게 된다.
341+
342+
# 3. 후기
343+
344+
처음 문제를 생각한 건 3월이었고, 당시에는 핵심 내용이었던 total curvature를 이해하지 못했었다.
345+
8월에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식 (5)를 어딘가에서 보게 되었다.
346+
어젯밤에, $T$가 단위벡터이니 $\theta$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용해 (5)를 증명하려 했으나 실패했다가, 오늘(8/30) 다시 증명해보니 증명이 되는 듯했다.
347+
348+
하지만, $\theta$라는 함수가 어떻게하면 엄밀하게 묘사될 수 있는지는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다.
349+
이에 관해서도 [질문](https://math.stackexchange.com/q/5093308/746048)을 올려봤으나 아직까지 (8/31) 답이 달리지는 않고 있다.
350+
351+
또한, 내가 다룬 것은 곡률이 작아 $\lvert\kappa\rvert\lt\frac1\lambda$인 경우만을 다루었다.
352+
곡률의 절댓값이 $\frac1\lambda$보다 큰 경우는 어렵고, TedShifrin이 이에 관해서도 적어놓았지만 이해가 가지는 않는다.
353+
대학 2학년때 K교수님 수업에서 다뤘던 문제에서도 곡률이 너무 크면 계산이 어려웠었는데, 그와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겠다.
354+
355+
그래서, 아무튼 어느 정도까지는 엄밀하게 해당 문제를 풀었다고 생각된다.
356+
결국 *두 바퀴가 이동한 거리는 같다*.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