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7 +6,7 @@ tags: [maugham]
6
6
author_profile : false
7
7
---
8
8
9
- # 0.
9
+ <!-- # 0.
10
10
11
11
10월에는 푸리에 분석에 대한 공부를 하다가, 11월에는 George Eliot의 「Silas Marner」를 원서로 읽는 데 열중하게 되었다.
12
12
그러면서 여러 책 읽는 것들을 병행했는데, 어느 순간에는 책을 많이 읽는 데 더 치중하게 되었다.
@@ -27,36 +27,34 @@ author_profile: false
27
27
그에 반해 「달과 6펜스」에 대한 글을 문득 쓰게 된 것은, 비록 두 번 (혹은 세 번) 정도밖에 읽지 않은 책이지만, 책을 읽으며 생각이 모이고 모여 쓰지 않고는 못견디는 순간이 왔기 때문이다.
28
28
이 글은, 내일(12/27) 있을 독서모임에 대한 감상 글로도 활용할 것이므로 이제부터는 존댓말 투로 쓰겠다.
29
29
30
- ![ sixpence_1] ( {{site.url}}\images\2024-12-26-maugham\sixpence_1.png ) {: .img-40-center}
30
+ {: .img-40-center} -->
31
31
32
32
33
33
# 1. 책읽기
34
34
35
35
「달과 6펜스」를 처음 읽었던 것은 고등학교 2학년 때였습니다.
36
36
이 책은, 매주 한 권씩 책을 읽어야 했던 중고등학교 시절 중에, 자발적으로 읽게 된 몇 안되는 소설 중 하나였습니다.
37
- 어느 노는 토요일의 하교 시간에 버스를 타고 집에 오게 되었는데, 「달과 6펜스」의 하이라이트를 보느라 정신없이 책에 정신이 팔렸던 버스 안의 기억이 선명합니다.
38
- 책에 대한 인상은 꽤 강렬했고 또 좋아하게 되어서, 아마 대학시절 중에 한 번정도 더 읽었을 것 같기도 하지만 잘 기억이 나지는 않습니다.
37
+ 어느 노는 토요일의 하교시간에 「달과 6펜스」의 하이라이트를 보느라 정신없이 책에 정신이 팔렸던 버스 안의 기억이 선명합니다.
38
+ 책에 대한 인상은 꽤 강렬했고 또 좋아하게 되어서, 아마 대학교를 다니던 중에 한 번정도 더 읽었을 것 같기도 하지만 잘 기억이 나지는 않습니다.
39
39
그러니 이번 독서모임을 위해 읽은 것은 두번째 혹은 세번째 독서가 된 것 같습니다.
40
40
41
- 하지만 책을 사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42
- 어려운 책은 아니었고 한 번 읽었던 책이기에 금방 스르륵 읽을 것 같은데, 그럴거면 돈을 쓰거나 책장을 차지하게 하고 싶지 않았던 것이지요 .
41
+ 이번 독서에서 책을 사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42
+ 어려운 책은 아니었고 한 번 읽었던 책이기에 금방 스르륵 읽을 것 같은데, 그럴거면 돈을 쓰거나 책장을 차지하게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
43
43
근처 도서관을 뒤졌지만 워낙 유명한 책이어서 그런지 이미 사람들이 대출해간 뒤였습니다.
44
44
그러다 지난 주, 한 광역시를 여행하게 되면서, 해당 지역의 도서관에 「달과 6펜스」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고, 여행 중에 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겠다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45
- 여행지를 방문하며 도서관에 들를 생각을 한 건, 당시 읽고 있었던 소설 「황야의 이리」에 나오는 하리 할러가 그렇게 행동했기 때문이기도 했습니다.
45
+ 여행지를 방문하며 도서관에 들를 생각을 한 건, 당시 읽고 있었던 헤세의 소설 「황야의 이리」에 나오는 하리 할러가 그렇게 행동했기 때문이기도 했습니다.
46
46
47
47
스르륵 읽을 것이라는 예상은 꽤나 정확해서, 여행 중의 이틀동안 200페이지를 읽었습니다.
48
48
다만, 그 이후의 속도는 꽤 더뎌졌습니다.
49
49
그 이유는 여행이 끝나 더이상 책을 읽을 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마지막 부분의 독서속도가 왜인지 늦춰졌기 때문이기도 했습니다.
50
- 크리스마스에 본가를 방문하며 본가 근처의 도서관에 찾아가 또 몇십페이지를 보고, 다시 집근처의 도서관에서 다시 책을 빌려 읽는 것을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50
+ 크리스마스에 본가를 방문하며 근처의 도서관에 찾아가 또 몇 십 페이지를 보고, 다시 집 근처의 도서관에서 다시 책을 빌려 읽는 것을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51
51
52
- 고등학교 때 책을 열심히 봤던 것 치고 그 이후에 「달과 6펜스」를 자주 찾지 않은 것은, 영문학에 대한 반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
52
+ 고등학교 때 책을 열심히 봤던 것 치고 그 이후에 「달과 6펜스」를 자주 찾지 않은 것은, 어쩌면 영문학에 대한 반감이 있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53
53
당시의 저는 영미권의 소설들보다는 프랑스나 독일, 러시아의 문학이 왠지 더 끌렸습니다.
54
54
하지만 최근에 버지니아 울프나 토머스 하디, 에밀리 브론테와 친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영국 문학에 대한 관심이 생겼고, 지금 「달과 6펜스」를 다시 읽을 즈음에는 서머싯 몸의 책도 진지하게 볼 마음이 났습니다.
55
- <!-- 나서 이제는 「케이크와 맥주」도 펼치게 되었습니다. -->
56
55
57
56
다시 읽어보니, 서머싯 몸이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재주는 가히 천재적으로 보였습니다.
58
- 헤세 소설들에 나오는 '구도자적 깨달음'이나 도스토옙스키 소설들에 나오는 '병적인 고민' 같은 대단히 강렬한 테마는 없어도, 평범한 듯한 문체로 수수하게, 특이한 인물과 서사에 가만히 몰입하게 하는 작가의 글에 속절없이 빠져들었습니다.
59
- <!-- 마치 실제 일어난 일처럼 보이는 스토리에 가만히 몰입하게 하는 평범한 -->
57
+ 헤세 소설들에 나오는 '구도자적 깨달음'이나 도스토옙스키 소설들에 나오는 '병적인 고민' 같은 대단히 강렬한 테마는 없어도, 평범한 듯한 문체로 수수하게, 특이한 인물과 재미있는 서사에 가만히 몰입하게 하는 작가의 글에 속절없이 빠져들었습니다.
60
58
61
59
# 2. 스트릭랜드와 스트로브
62
60
@@ -65,7 +63,7 @@ author_profile: false
65
63
별처럼 자신의 길을 초연하게 걸어가는 그에게는 다른 그 무엇도 중요하지 않아 보입니다.
66
64
인생의 목표를 뚜렷이 정하고 그것에 천착하는 모습은 숭고해보이기까지 합니다.
67
65
68
- 스트릭랜드가 이기적인 성정을 가졌다는 사실은 그의 단점이자 장점처럼 보입니다.
66
+ 스트릭랜드가 이기적인 성격을 가졌다는 사실은 그의 단점이자 장점처럼 보입니다.
69
67
그는 본인이 원하는 바를 뚜렷이 지향하고, 누가 곁에 있건 아니면 시간이 얼마나 흘렀건, 같은 곳을 향해 바라볼 수 있는 종류의 사람입니다.
70
68
괴팍한 성격은 주변 사람들로 하여금 그에게 학을 떼고 떠나게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의 야성적인 매력으로 작용하여, 소수의 사람들이 그 매력에 끌리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71
69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