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91,3 +1791,116 @@ taking $\alpha=\frac c{2n}$ and $\beta=c'''$.
1791
1791
그러니까 상수를 곱하는 대신, $r$에 대한 함수를 곱하여 곱의 법칙 $(fg)'=fg'+f'g$을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1792
1792
</div >
1793
1793
1794
+ ## 4. Appendix
1795
+
1796
+ ### 4.1 Homogeneous second order linear ODE with constant coefficient
1797
+
1798
+ <div class =" notice--info " >
1799
+ 책을 읽다보니 미분방정식을 풀어야 할 상황이 많이 나온다.
1800
+ 학부 때 '미분방정식' 수업을 들었었고, 또 '미분방정식론', '편미분방정식' 등의 수업도 듣고 학점도 잘 나왔던 것으로 기억하지만, 정작 기본적인 '미분방정식' 수업에서 제대로 된 설명을 듣지 못했기에 기본이 부족하다.
1801
+ 설명을 제대로 듣지 못했다면, 그때 따로 공부를 했으면 될 일이긴 하지만, 2학년이었던 당시에는 해석학과 선형대수, 집합론을 공부하는 데만 해도 시간이 부족했다.
1802
+ 미분연립방정식 같은 데에서는 Wronskian 같은 이름들도 나왔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여하튼 일반적인 ODE 이론이 많이 있다는 것만 알지, 제대로 공부해본 적이 없다.
1803
+ <br ><br >
1804
+ 이 책을, 아니 적어도 이 장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first order, second order의 homogeneous linear ODE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이해해야 한다.
1805
+ 대부분의 first order case는 integrating factor를 사용하면 풀리는 듯하는데, 이에 관해서는 정리해볼 수도 있지만 일이 커질 것 같아서 정리하지 않겠다.
1806
+ second order case에 해당하는 것은 이 장의 첫 부분의 simple harmonic motion인
1807
+ $$ y''(t)+c^2y(t)=0 $$
1808
+ 인데, 이 경우는 연습문제 3.6을 통해 풀릴 수 있다.
1809
+ 그런데 이것은 $c^2$이 nonnegative인 경우만을 상정하고 있다.
1810
+ 일반적으로
1811
+ $$ y''(t)+\lambda y(t)=0 $$
1812
+ 와 같은 식에서 $\lambda$가 음수이면 일반해가 어떻게 나오는지가 책의 내용만으로는 명확히 설명되지 않는다.
1813
+ 특히 1.2절의 (3)번 식인
1814
+ $$
1815
+ \begin{aligned}
1816
+ \psi''(t)-\lambda\psi(t)&=0\\
1817
+ \phi''(x)-\lambda\phi(x)&=0
1818
+ \end{aligned}\tag3
1819
+ $$
1820
+ 의 경우에도 $\lambda$의 부호에 대해 두루뭉실하게 넘어가는 것 같다.
1821
+ 마찬가지의 상황이 2.2절의
1822
+ $$ G''(\theta)+\lambda G(\theta)=0 $$
1823
+ 에서도 나타난다.
1824
+ 그래서, 일반적인 homogeneous second order linear ODE, 그 중에서도 계수가 상수인 경우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1825
+ 이것은 Trinity university의 R. C. Daileda라는 분이 만든 <a href =" http://ramanujan.math.trinity.edu/rdaileda/teach/f11/m1312/second_order.pdf " >자료</a >를 바탕으로 하였다.
1826
+ <br ><br >
1827
+ homogeneous second order linear ODE가 있을 때, $e^{rx}$와 $e^{-rx}$ 혹은 $\sin rx$와 $\cos rx$와 같은 꼴이 특정한 해가 된다는 것은 쉽게 보일 수 있다.
1828
+ 하지만 이 ODE의 일반해를 $ae^{cx}+be^{-cx}$ 또는 $a\sin cx+b\cos cx$로 둘 수 있다는 중요한 사실을, 대부분의 ODE 책에서는 간단히만 언급하고 지나간다.
1829
+ 그런데 정말 이러한 형식이 일반해인지를, 그러니까, 다른 해가 존재하지 않는지를 증명하는 것은 꽤 어려운 일이다.
1830
+ 일반적인 ODE theory에서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루는지 잘 모르겠다.
1831
+ (어떤 책에서는 'advanced course에서 다룰테니 이 책에서는 생략한다'라고 말하는 걸 봤다.)
1832
+ 하지만 이 자료에서는, 문제를 constant coefficient로 한정했을 때, 정확한 증명을 elementary한 수준에서 하고 있다.
1833
+ 미적분학과 integrating factor 기법만 알면 증명이 가능하다.
1834
+ 다만, 계산이 꽤 들어가기는 하고, 연습문제 3.10와 같은 ODE는 이 방법으로 풀 수 없다.
1835
+ <br ><br >
1836
+ 나는 위 자료를 따라가며 계산을 다 해보았고, 정말 유효한 증명인지 확인해보았다.
1837
+ 하지만, 저 자료가 워낙 잘 정리되어 있다보니 이걸 다시 블로그에 정리하는 것은 큰 의미는 없을 것 같고, 몇가지 용어들과 주요 결과만 적어보려 한다.
1838
+ </div >
1839
+
1840
+ Suppose that $y$ is a twice differentiable function of $x$.
1841
+ Then a differential equation of the form
1842
+
1843
+ $$
1844
+ P(x)\frac{d^2y}{dx^2}
1845
+ +
1846
+ Q(x)\frac{dy}{dx}
1847
+ +
1848
+ R(x)y
1849
+ =
1850
+ G(x)
1851
+ $$
1852
+
1853
+ is called a * second order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
1854
+ It is second order since the equation has derivatives of at most second order.
1855
+ It is linear since the left hand side is a linear equation of derivatives.
1856
+
1857
+ If $G(x)=0$ so that
1858
+
1859
+ $$
1860
+ P(x)\frac{d^2y}{dx^2}
1861
+ +
1862
+ Q(x)\frac{dy}{dx}
1863
+ +
1864
+ R(x)y
1865
+ =
1866
+ 0
1867
+ $$
1868
+
1869
+ then, it is called a * homogeneous* second order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1870
+
1871
+ Consider only the case when $P(x)$, $Q(x)$ and $R(x)$ are all constants;
1872
+
1873
+ $$
1874
+ a\frac{d^2y}{dx^2}+b\frac{dy}{dx}+cy=0\tag1.
1875
+ $$
1876
+
1877
+ <!-- To every ODE of the above form, there corresponds the characteristic equation ; -->
1878
+ Associated with an ODE of the above form is the characteristic equation ;
1879
+
1880
+ $$
1881
+ ar^2+br+c=0.\tag2
1882
+ $$
1883
+
1884
+ Here is a theorem :
1885
+
1886
+ <div class =" notice--info " >
1887
+ If the characteristic equation (2) has two distinct real roots $r_1$ and $r_2$, then the general solution to (1) is given by
1888
+
1889
+ $$
1890
+ y=c_1e^{r_1x}+c_2e^{r_2x}.
1891
+ $$
1892
+
1893
+ If (2) has a single (repeated) root $r$, then the general solution to (1) is given by
1894
+
1895
+ $$
1896
+ y=(c_1x+c_2)e^{rx}.
1897
+ $$
1898
+
1899
+ If (3) has imaginary roots $\alpha\pm\beta i$, then the general solution to (1) is given by
1900
+
1901
+ $$
1902
+ y=e^\alpha(c_1\cos\beta x+c_2\sin\beta x).
1903
+ $$
1904
+
1905
+ In the above solutions, $c_1$ and $c_2$ are arbitrary constants.
1906
+ </div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