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_posts/2024-10-05-Fourier_1.md
+231-3Lines changed: 231 additions & 3 deletions
Display the source diff
Display the rich diff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8,15 +18,15 @@ toc: true
18
18
이 책의 1장부터 4장까지는 Fourier Series에 대한 내용이고, 5장부터 6장까지는 Fourier transform에 대한 내용이며, 7장은 Finite Fourier Analysis, 8장은 Dirichlet's Theorem에 대해 다루고 있는 것 같다.
19
19
나는 1장부터 읽어가고 있고, 이 포스트는 1장에 대한 기록이다.
20
20
21
-
1장의 제목은 "Genesis of Fourier Analysys"이고 각 절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되어 있다.
21
+
1장의 제목은 "Genesis of Fourier Analysis"이고 각 절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되어 있다.
22
22
1. The vibrating string
23
23
2. The heat equation
24
24
3. Exercises
25
25
4. Problem
26
26
27
27
그러니 주 내용은 1절과 2절이다.
28
28
그런데 내용을 읽다보면, 본문에서는 다루지 않고 증명하지 않는 여러 기초적인 문제들이 있다.
29
-
이 문제는 당연히 3절에 위치해있다.
29
+
이 문제들은 당연히 3절에 위치해있다.
30
30
나는 이 포스트의 3절에 해당되는 문제들을 다 풀어보았다.
31
31
그리고 4절은 보지 않을 예정이다.
32
32
@@ -568,6 +568,234 @@ Note that the function $f$ in the last expression is the extended version (on $\
568
568
569
569
### 2.1 Derivation of the heat equation
570
570
571
+
<divclass="notice--info">
572
+
책의 내용이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따로 찾아보았고 별도로 유도해보았다.
573
+
<ahref="http://www-personal.umd.umich.edu/~adwiggin/TeachingFiles/FourierSeries/Resources/HeatEquationDerivation.pdf"> 미시건 대학교 자료</a>가 굉장히 이해가 잘 되게 설명되어 있어서 이 자료를 가장 많이 참고했다.
574
+
이 자료에서 Fourier's law가 소개되고 사용되고 있는데, 사실 Stein의 책과 다른 자료들에서도 Fourier's law는 기본으로 깔고 시작하는 것 같다.
575
+
Fourier's law의 의미는 대충 알겠지만, 정확한 의미를 잘 모르겠어서 그냥 <ahref="https://en.wikipedia.org/wiki/Thermal_conduction#Overview">열전도공식</a>인 $\kappa A\Delta T/l$ 만을 참고하여 heat equation을 유도해보았다.
576
+
one dimensional heat equation은 미시건 대학교 자료로 거의 설명이 가능했지만, 이차원에서는 관련된 설명을 쉽게 찾을 수 없었다.
577
+
하지만, 그냥 일차원과 비슷하게 해보니 원하던 결과가 나왔다.
578
+
<br><br>
579
+
벡터 미적분학에 나오는 flux의 개념과 이와 연관된 divergence theorem이 2-3차원의 heat equation을 설명하는 데 적합할 것으로 보이고, 미시건 대학교 자료 및 다른 자료에서 flux, divergence theorem 등의 말들이 보인다.
580
+
하지만 아직은 flux 및 divergence로서 heat equation을 이해하지 못했다.
581
+
나중에 Stein이 다루진 않겠지만, 만약 다루게 된다면 그때 가서 이해해야지.
582
+
</div>
583
+
584
+
<pclass='text-size-12'> one dimensional heat equation : my trial </p>
585
+
586
+
Consider a homogeneous rod, which we model as an $x$-axis.
587
+
Let $\sigma$ be the amount of heat need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one unit mass by one degree
588
+
and let $\delta$ be the mass density of the rod.
589
+
Then, it takes $\sigma T\delta L$ to raise the temperature of a rod of length $L$ by $T$.
590
+
Suppose that if two objects $A$ and $B$ in $x$-axis have temperature $T_A$ and $T_B$ ($T_A\gt T_B$) and if $L$ be the distance between them, then the heat $H$ transfered from $A$ to $B$ is
<pclass='text-size-12'> two dimensional heat equation : my trial </p>
635
+
636
+
Consider a homogeneous plane, which we model as an $xy$-plane.
637
+
Let $\sigma$ be as before and let $\delta$ be the planar mass density.
638
+
It takes $\sigma T\delta A$ to raise the temperature of a region of area $A$ by $T$.
639
+
Suppose that if two rectangles $A$ and $B$, whose intersecting segment has length $h$ have temperature $T_A$ and $T_B$ ($T_A\gt T_B$) and if $L$ be the distance between them, then the heat $H$ transfered from $A$ to $B$ is
Combining the two, namely, $\frac{\partial H}{\partial t}=H_1+H_2+H_3+H_4$, we have
760
+
761
+
$$
762
+
\sigma h^2\frac{\partial u}{\partial t}(\tilde x,\tilde y, t)
763
+
=
764
+
\kappa h^2\left[
765
+
\frac{\partial^2u}{\partial x^2}(x_\ast, y_0, t)
766
+
+
767
+
\frac{\partial^2u}{\partial y^2}(x_0, y_\ast, t)
768
+
\right]
769
+
$$
770
+
771
+
Dividing both sides by $h^2$ and $h\to 0$,
772
+
773
+
$$
774
+
\sigma\frac{\partial u}{\partial t}(x_0, y_0, t)
775
+
=
776
+
\kappa\left[
777
+
\frac{\partial^2u}{\partial x^2}(x_0, y_0, t)
778
+
+
779
+
\frac{\partial^2u}{\partial y^2}(x_0, y_0, t)
780
+
\right]
781
+
$$
782
+
783
+
since $x_\ast,\tilde x\to x_0$ and $y_\ast,\tilde y\to y_0$.
784
+
This equation holds for all $(x_0, y_0)$ in the plane and for all $t$.
785
+
Thus
786
+
787
+
$$
788
+
\sigma\frac{\partial u}{\partial t}
789
+
=
790
+
\kappa\left[
791
+
\frac{\partial^2u}{\partial x^2}
792
+
+
793
+
\frac{\partial^2u}{\partial y^2}
794
+
\right].
795
+
$$
796
+
797
+
This is called the **(time dependent) heat equation**.
798
+
571
799
## 3. Exercises
572
800
573
801
<pclass='text-size-12'> 3.1 </p>
@@ -1555,7 +1783,7 @@ taking $\alpha=\frac c{2n}$ and $\beta=c'''$.
1555
1783
학부때 integrating factor의 방법은 당연히 배웠던 기억이 있다.
1556
1784
그동안 까맣게 잊고 있었지만 이번에 다시 기억해내게 되었다.
1557
1785
<br><br>
1558
-
그리고, 나는 원래 문제였던 second order homogenous ODE를 first order homogeneous ODE로 바꾸어서 이것을 integrating factor로 풀어낸 것인데, 사실은 second order homogeneous ODE를 푸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Ninad Munshi의 댓글 및 답변)
1786
+
그리고, 나는 원래 문제였던 second order homogeneous ODE를 first order homogeneous ODE로 바꾸어서 이것을 integrating factor로 풀어낸 것인데, 사실은 second order homogeneous ODE를 푸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Ninad Munshi의 댓글 및 답변)
1559
1787
하지만 이런 ODE 일반론에 대한 공부는 나중으로 미루고, 지금은 Fourier Analysis 책을 더 볼 것이다.
1560
1788
<br><br>
1561
1789
막힌 부분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하면서, 주어진 first order ODE의 좌변을 어떻게든 곱의 법칙을 사용하여 간단히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했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단순히 상수를 곱하거나 나눠서는 곱의 법칙으로 간소화가 안될 것 같았다.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