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8db8a30

Browse files
committed
Addressing additional feedback and carrying out an overall review
1 parent 055963c commit 8db8a30

File tree

1 file changed

+61
-59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61
-59
lines changed

content/ko/docs/contribute/localization.md

Lines changed: 61 additions & 59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1,13 +21,14 @@ card:
2121

2222
## 쿠버네티스 문서 현지화에 기여하기
2323

24-
당신은 현지화 문서의 내용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25-
[쿠버네티스 공식 Slack](https://slack.k8s.io/)에서 각 언어별 현지화 채널을
26-
찾을 수 있다. 이외에도 인사말을 나눌 수 있는 일반적인
27-
[SIG Docs Localizations Slack 채널](https://kubernetes.slack.com/messages/sig-docs-localizations)도 있다.
24+
당신은 현지화 문서의 내용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5+
[쿠버네티스 Slack](https://slack.k8s.io/)에서는, 각 언어별 현지화 채널을
26+
찾을 수 있다. 물론 인사말을 나눌 수 있는 일반적인
27+
[SIG Docs Localizations Slack 채널](https://kubernetes.slack.com/messages/sig-docs-localizations)
28+
있다.
2829

2930
{{< note >}}
30-
어떻게 현지화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상세 내용은
31+
어떻게 현지화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상세 내용은,
3132
이 페이지의 각 언어별 현지화 버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3233
{{< /note >}}
3334

@@ -38,48 +39,48 @@ card:
3839
을 참조하여 해당 현지화의 두 자리 언어 코드를 찾는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3940
두 자리 코드는 `ko`이다.
4041

41-
일부 언어는 언어 코드와 함께 ISO-3166에서 정의한 소문자 국가 코드를 사용한다.
42-
예를 들어, 브라질에서 사용하는 포르투갈어의
42+
일부 언어는 언어 코드와 함께 ISO-3166에서 정의한 소문자 국가 코드를
43+
사용한다. 예를 들어, 브라질에서 사용하는 포르투갈어의
4344
언어 코드는 `pt-br`이다.
4445

4546
### 저장소를 포크(fork) 및 클론(clone) 하기
4647

47-
첫번째로, [kubernetes/website](https://github.com/kubernetes/website) 리포지터리를
48-
자신의 리포지터리로 [포크(fork)](/ko/docs/contribute/new-content/open-a-pr/#fork-the-repo)한다.
48+
첫번째로, [kubernetes/website](https://github.com/kubernetes/website) 저장소를
49+
자신의 저장소로 [포크](/ko/docs/contribute/new-content/open-a-pr/#fork-the-repo)한다.
4950

50-
그런 다음, 포크한 리포지터리를 클론(clone)하고 `cd` 명령어로 해당 디렉터리에 들어간다.
51+
그런 다음, 포크한 저장소를 클론하고 `cd` 명령어로 해당 디렉터리에 들어간다.
5152

5253
```shell
5354
git clone https://github.com/<username>/website
5455
cd website
5556
```
5657

57-
website의 content 디렉터리에는 각 언어별 하위 디렉터리가 포함되어 있다.
58-
현지화 문서는 `content/<두 자리 코드>` 디렉터리 안에 있다.
58+
website의 content 디렉터리에는 각 언어별 하위 디렉터리가 포함되어 있다. 현지화
59+
문서는 `content/<두 자리 코드>` 디렉터리 안에 있다.
5960

6061
### 변경 제안하기
6162

62-
영어 원문을 기준으로 선택한 현지화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한다.
63-
자세한 내용은 [콘텐츠 현지화](#localize-content)를 참고한다.
63+
영어 원문을 기준으로 선택한 현지화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한다. 자세한
64+
내용은 [콘텐츠 현지화](#콘텐츠-현지화)를 참고한다.
6465

65-
업스트림(영문)의 기술적인 부정확성이나 기타 문제를 발견한 경우,
66-
먼저 업스트림(영문)을 수정한 뒤
66+
업스트림(영문)의 기술적인 부정확성이나 기타 문제를
67+
발견한 경우, 먼저 업스트림(영문)을 수정한 뒤
6768
동일한 수정을 작업 중인 현지화 문서에도 반영한다.
6869

69-
풀 리퀘스트의 변경 사항은 하나의 현지화로만 제한한다.
70-
여러 현지화 콘텐츠를 변경하는 풀 리퀘스트는 검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70+
풀 리퀘스트의 변경 사항은 하나의 현지화로만 제한한다. 여러 현지화
71+
콘텐츠를 변경하는 풀 리퀘스트는 검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7172

7273
해당 현지화에 변경 사항을 제안하려면 [콘텐츠 개선 제안](/docs/contribute/suggesting-improvements/)
7374
을 따른다. 이 과정은 업스트림(영문) 콘텐츠에 변경 사항을
7475
제안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7576

7677
## 신규 언어 현지화 시작하기
7778

78-
쿠버네티스 문서를 새로운 언어로 현지화하려면
79-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한다.
79+
쿠버네티스 문서를 신규 언어로 현지화하려면, 다음과
80+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한다.
8081

81-
기여자는 자신의 풀 리퀘스트를 스스로 승인할 수 없기 때문에,
82-
현지화를 시작하려면 _최소한 두 명 이상의 기여자_가 있어야 한다.
82+
기여자는 자신의 풀 리퀘스트를 스스로 승인할 수 없기 때문에, 현지화를
83+
시작하려면 _최소한 두 명 이상의 기여자_가 있어야 한다.
8384

8485
모든 현지화 팀은 자체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쿠버네티스 웹사이트는
8586
작업물을 호스팅하도록 제공할 뿐, 번역을 수행하고 기존 현지화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 -95,9 +96,10 @@ website의 content 디렉터리에는 각 언어별 하위 디렉터리가 포
9596
언어 코드를 결합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9697
예를 들어, 브라질에서 사용하는 포르투갈 언어의 경우 `pt-br`이다.
9798

98-
새로운 현지화를 시작할 때는, 쿠버네티스 프로젝트가
99+
신규 현지화를 시작할 때는, 쿠버네티스 프로젝트가
99100
변경 사항을 라이브 웹사이트에 반영하기 전에
100-
[최소 요구 콘텐츠](#최소-요구-콘텐츠)를 모두 현지화해야 한다.
101+
[최소 요구 콘텐츠](#최소-요구-콘텐츠)를 모두
102+
현지화해야 한다.
101103

102104
SIG Docs는 별도의 브랜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103105
그 목표를 단계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한다.
@@ -107,7 +109,7 @@ SIG Docs는 별도의 브랜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107109
현지화에 관심이 있다면 쿠버네티스 SIG Docs에 알린다.
108110
[SIG Docs Slack 채널](https://kubernetes.slack.com/messages/sig-docs)
109111
[SIG Docs Localizations Slack 채널](https://kubernetes.slack.com/messages/sig-docs-localizations)에 참여하면,
110-
다른 현지화 팀들이 새로운 팀이 시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질문에도 친절히
112+
다른 현지화 팀들이 신규 팀이 시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질문에도 친절히
111113
답변해줄 것이다.
112114

113115
또한, [SIG Docs Localization Subgroup meeting](https://github.com/kubernetes/community/tree/master/sig-docs)
@@ -116,18 +118,18 @@ SIG Docs localization subgroup의 목표는 SIG Docs의
116118
여러 현지화 팀들이 협력하여 각 언어별 기여 가이드를 만드는 프로세스를
117119
정의하고 문서화하는 것이다. 또한, SIG Docs localization subgroup은
118120
여러 현지화 팀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통 도구를 만들고 공유할 기회를 모색하고,
119-
SIG Docs Leadership team이 고려해야 할 새운 요구사항을 식별하는 역할도 한다.
121+
SIG Docs Leadership team이 고려해야 할 새로운 요구사항을 식별하는 역할도 한다.
120122
이 회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121123
[SIG Docs Localizations Slack 채널](https://kubernetes.slack.com/messages/sig-docs-localizations)에 문의하면 된다.
122124

123-
또한, `kubernetes/community` 리포지터리 안에
125+
또한, `kubernetes/community` 저장소 안에
124126
현지화를 위한 Slack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Slack 채널 추가에 대한 예시는
125127
[페르시아어 채널 추가 PR](https://github.com/kubernetes/community/pull/4980)에서 확인할 수 있다.
126128

127129
### 쿠버네티스 Github organization에 가입하기
128130

129131
현지화 PR을 생성했다면, 쿠버네티스 Github organization의 멤버
130-
될 수 있다. 팀의 각 구성원은 `kubernetes/org` 리포지터리에서 자신의
132+
될 수 있다. 팀의 각 멤버는 `kubernetes/org` 저장소에서 자신의
131133
[Organization 멤버십 요청](https://github.com/kubernetes/org/issues/new/choose)
132134
직접 생성해야 한다.
133135

@@ -138,31 +140,31 @@ SIG Docs Leadership team이 고려해야 할 새운 요구사항을 식별하는
138140
현지화 팀 등록 예시는
139141
[스페인어 현지화 팀 추가 PR](https://github.com/kubernetes/org/pull/685)에서 확인할 수 있다.
140142

141-
`@kubernetes/sig-docs-**-owners` 팀의 구성원은
143+
`@kubernetes/sig-docs-**-owners` 팀의 멤버는
142144
해당 현지화 디렉터리(`/content/**/`) 내의 콘텐츠 변경 PR만 승인할 수 있다. 각
143-
현지화에 대해, `@kubernetes/sig-docs-**-reviews` 팀이 PR의 리뷰어를
144-
자동으로 지정한다. `@kubernetes/website-maintainers` 팀의 구성원은
145-
번역 작업을 조율하기 위해 새로운 현지화 브랜치를 생성할 수 있다.
146-
`@kubernetes/website-milestone-maintainers` 팀의 구성원은 `/milestone`
145+
현지화에 대해, `@kubernetes/sig-docs-**-reviews` 팀이 신규 PR의 리뷰어를
146+
자동으로 지정한다. `@kubernetes/website-maintainers` 팀의 멤버는
147+
번역 작업을 조율하기 위해 신규 현지화 브랜치를 생성할 수 있다.
148+
`@kubernetes/website-milestone-maintainers` 팀의 멤버는 `/milestone`
147149
[Prow 명령어](https://prow.k8s.io/command-help)를 사용하여 이슈나 PR에 마일스톤을 할당할 수 있다.
148150

149-
150151
### 워크플로 구성하기
151152

152-
다음으로, `kubernetes/test-infra` 리포지터리에 현지화용 GitHub 라벨을
153+
다음으로, `kubernetes/test-infra` 저장소에 현지화용 GitHub 라벨을
153154
추가한다. 라벨은 특정 언어에 해당하는 이슈와 풀 리퀘스트를 필터링하는 데
154155
사용된다.
155156

156-
레이블 추가 예시는 [이탈리아어 레이블 추가 PR](https://github.com/kubernetes/test-infra/pull/11316)에서 확인할 수 있다.
157+
레이블 추가 예시는
158+
[이탈리아어 레이블 추가 PR](https://github.com/kubernetes/test-infra/pull/11316)에서 확인할 수 있다.
157159

158160
### 사이트 구성 수정하기
159161

160162
쿠버네티스 웹사이트는 Hugo를 웹 프레임워크로 사용한다. 웹사이트의 Hugo에
161163
대한 구성은
162164
[`hugo.toml`](https://github.com/kubernetes/website/tree/main/hugo.toml)
163-
파일에 있다. 새로운 현지화를 지원하려면 `hugo.toml`을 수정해야 한다.
165+
파일에 있다. 신규 현지화를 지원하려면 `hugo.toml`을 수정해야 한다.
164166

165-
`hogo.toml`의 기존 [languages] 블록 아래에 언어에 대한
167+
`hogo.toml`의 기존 [languages] 블록 아래에 신규 언어에 대한
166168
구성 블록을 추가한다. 예를 들어, 독일어 블록은 다음과 같다.
167169

168170
```toml
@@ -186,23 +188,22 @@ languageNameLatinScript = "Deutsch"
186188
"Deutsch (German)"`와 같이 설정한다.
187189

188190
`languageNameLatinScript`는 라틴 문자로 된 언어명을 가져와
189-
테마에서 사용할 수 있다.
190-
languageNameLatinScript에는 “라틴 문자로 된 언어명”을
191+
테마에서 사용할 수 있다. languageNameLatinScript에는 “라틴 문자로 된 언어명”을
191192
지정한다. 예를 들어, `languageNameLatinScript = "Korean"` 또는
192193
`languageNameLatinScript = "Deutsch"`롸 같이 설정한다.
193194

194195
`weight` 매개변수는 언어 선택 바에서 언어의 표시 순서를 결정한다.
195196
값이 낮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아, 해당 언어가 먼저 표시된다.
196197
`weight`를 지정할 때는 기존 언어 블록의 값을
197-
확인하고, 새로 추가되는 언어를 포함하여
198+
확인하고, 신규로 추가되는 언어를 포함하여
198199
모든 언어의 순서가 올바르게 정렬되도록 조정해야 한다.
199200

200201
Hugo의 다국어 지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1202
[다국어 모드](https://gohugo.io/content-management/multilingual/)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03

203-
### 새로운 현지화 디렉터리 추가하기
204+
### 신규 현지화 디렉터리 추가하기
204205

205-
리포지터리의 [`content`](https://github.com/kubernetes/website/tree/main/content) 폴더에
206+
저장소의 [`content`](https://github.com/kubernetes/website/tree/main/content) 폴더에
206207
언어별 하위 디렉터리를
207208
추가한다. 예를 들어, 독일어의 두 자리 코드는 `de`이다.
208209

@@ -220,7 +221,7 @@ mkdir content/de
220221

221222
해당 언어로 된 행동 강령을 추가하려면
222223
[`cncf/foundation`](https://github.com/cncf/foundation/tree/main/code-of-conduct-languages)
223-
리포지터리에 PR을 열면 된다.
224+
저장소에 PR을 열면 된다.
224225

225226
### OWNERS 파일 설정하기
226227

@@ -259,7 +260,7 @@ labels:
259260
260261
언어별 OWNERS 파일을 추가한 후, [root
261262
`OWNERS_ALIASES`](https://git.k8s.io/website/OWNERS_ALIASES) 파일에
262-
해당 현지화의 새로운 쿠버네티스 팀인 `sig-docs-**-owners`와
263+
해당 현지화의 신규 쿠버네티스 팀인 `sig-docs-**-owners`와
263264
`sig-docs-**-reviews`를 업데이트한다.
264265

265266
각 팀에는, [Github에 현지화 팀 추가하기](#GitHub에-현지화-팀-추가하기)에서
@@ -288,12 +289,12 @@ labels:
288289

289290
### 풀 리퀘스트 생성하기
290291

291-
다음으로, `kubernetes/website` 리포지터리에 현지화를 추가하기 위해
292+
다음으로, `kubernetes/website` 저장소에 현지화를 추가하기 위해
292293
[풀 리퀘스트를 생성](/docs/contribute/new-content/open-a-pr/#open-a-pr)한다. 이 PR은
293294
승인되기 전에 [최소 요구 콘텐츠](#최소-요구-콘텐츠)를
294295
모두 포함해야 한다.
295296

296-
새로운 현지화를 추가한 예시는
297+
신규 현지화를 추가한 예시는
297298
[프랑스어 문서 PR](https://github.com/kubernetes/website/pull/12548)에서 확인할 수 있다.
298299

299300
### 현지화된 README 파일 추가하기
@@ -324,7 +325,7 @@ Docs는 다음을 수행한다.
324325
- 웹사이트에서 언어 선택 기능을 활성화한다.
325326
- [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https://www.cncf.io/about/)(CNCF) 채널,
326327
[쿠버네티스 블로그](/blog/) 등을 통해
327-
현지화 공개를 홍보한다.
328+
신규 현지화 공개를 홍보한다.
328329

329330
## 콘텐츠 현지화
330331

@@ -361,7 +362,7 @@ cp -ra content/en/docs/tutorials/kubernetes-basics/ content/de/docs/tutorials/
361362
최소 품질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반드시 광범위한 사람의 검수가 필요하다.
362363
{{< /caution >}}
363364

364-
문법과 의미의 정확성을 보장하려면, 현지화 팀 구성원이
365+
문법과 의미의 정확성을 보장하려면, 현지화 팀 멤버가
365366
게시 전에 모든 기계 번역 결과를 꼼꼼히 검토해야 한다.
366367

367368
### SVG 이미지 현지화하기
@@ -415,7 +416,7 @@ SVG(Scalable Vector Graphics) 이미지 안의 텍스트를 번역할 때는,
415416
대상 버전의 소스 파일을 찾으려면 다음을 수행한다.
416417

417418
1. https://github.com/kubernetes/website 를 통해
418-
쿠버네티스 웹사이트 리포지터리로 이동한다.
419+
쿠버네티스 웹사이트 저장소로 이동한다.
419420

420421
1. 아래 표에서 대상 버전에 해당하는 브랜치를 선택한다.
421422

@@ -433,10 +434,10 @@ SVG(Scalable Vector Graphics) 이미지 안의 텍스트를 번역할 때는,
433434

434435
현지화에는
435436
[`i18n/en/en.toml`](https://github.com/kubernetes/website/blob/main/i18n/en/en.toml)의
436-
내용을 새로운 언어별 파일에 포함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독일어의 경우 파일 경로는
437+
내용을 신규 언어별 파일에 포함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독일어의 경우 파일 경로는
437438
`i18n/de/de.toml`이 된다.
438439

439-
`i18n/`새로운 현지화 디렉터리와 파일을 추가한다. 예를 들어,
440+
`i18n/`신규 현지화 디렉터리와 파일을 추가한다. 예를 들어,
440441
독일어(`de`)의 경우 다음과 같다.
441442

442443
```bash
@@ -493,10 +494,11 @@ SIG Docs에서 이 과정을 자동화할 때까지 업로드 절차를 지원
493494
현지화 브랜치에서 협업하기 위해 다음을 따른다.
494495

495496
1. [@kubernetes/website-maintainers](https://github.com/orgs/kubernetes/teams/website-maintainers)
496-
팀의 구성원이 https://github.com/kubernetes/website 에서
497-
소스 브랜치로부터 현지화 브랜치를 생성한다.
497+
팀의 멤버가 https://github.com/kubernetes/website 에서
498+
소스 브랜치로부터
499+
현지화 브랜치를 생성한다.
498500

499-
[`kubernetes/org`](https://github.com/kubernetes/org) 리포지터리에
501+
[`kubernetes/org`](https://github.com/kubernetes/org) 저장소에
500502
[현지화 팀을 추가](#GitHub에-현지화-팀-추가하기)할 때
501503
팀의 승인자가 `@kubernetes/website-maintainers` 팀에 포함된다.
502504

@@ -506,7 +508,7 @@ SIG Docs에서 이 과정을 자동화할 때까지 업로드 절차를 지원
506508

507509
예를 들어, 독일어 현지화 팀의 승인자가
508510
쿠버네티스 v1.12 소스 브랜치를 기반으로
509-
kubernetes/website 리포지터리에 직접 dev-1.12-de.1 현지화 브랜치를 생성한다.
511+
kubernetes/website 저장소에 직접 dev-1.12-de.1 현지화 브랜치를 생성한다.
510512

511513
1. 개인 기여자는 현지화 브랜치를 기반으로
512514
기능 브랜치를 생성한다.
@@ -555,9 +557,9 @@ dev-1.12-de.3 등이 될 수 있다.
555557
누구나 새 현지화 브랜치에 대한 풀 리퀘스트를 열 수 있다. 그 과정에서
556558
특별한 권한은 필요하지 않다.
557559

558-
포크(fork)한 리포저티리에서 작업하거나, 원본 리포지터리에서 직접 작업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559-
["리포지터리를 포크(fork) 및 클론(clone) 하기"](#리포지터리를-포크(fork)-및-클론(clone)-하기)를 참고한다.
560+
포크(fork)한 리포저티리에서 작업하거나, 원본 저장소에서 직접 작업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561+
["저장소를 포크(fork) 및 클론(clone) 하기"](#저장소를-포크(fork)-및-클론(clone)-하기)를 참고한다.
560562

561563
## 업스트림에 기여하기
562564

563-
SIG Docs는 영문 원본에 대한 업스트림 기여와 수정 제안을 언제나 환영한다.
565+
SIG Docs는 영문 원본에 대한 업스트림 기여와 수정 제안을 언제나 환영한다.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