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b635261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30520 from jihoon-seo/211117_Update_outdated_files_in_dev-1.22-ko.3_M28-M38
[ko] Update outdated files in dev-1.22-ko.3 (M28-M38)
2 parents f3bfa43 + 0f26532 commit b635261

File tree

10 files changed

+165
-171
lines changed

10 files changed

+165
-171
lines changed

content/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ingress-minikube.md

Lines changed: 131 additions & 146 deletions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content/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web-ui-dashboard.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35,7 +35,7 @@ card:
3535
대시보드 UI는 기본으로 배포되지 않는다. 배포하려면 다음 커맨드를 실행한다.
3636

3737
```
38-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3.1/aio/deploy/recommended.yaml
38+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4.0/aio/deploy/recommended.yaml
3939
```
4040

4141
## 대시보드 UI 접근

content/ko/docs/tasks/administer-cluster/change-pv-reclaim-policy.md

Lines changed: 4 additions & 4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88,8 +88,8 @@ kubectl patch pv <your-pv-name> -p "{\"spec\":{\"persistentVolumeReclaimPolicy\"
8888
* [퍼시스턴트볼륨](/ko/docs/concepts/storage/persistent-volumes/)에 대해 더 배워 보기.
8989
*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ko/docs/concepts/storage/persistent-volumes/#persistentvolumeclaims)에 대해 더 배워 보기.
9090

91-
### Reference
91+
### 레퍼런스 {#reference}
9292

93-
* [퍼시스턴트볼륨](/docs/reference/generated/kubernetes-api/{{< param "version" >}}/#persistentvolume-v1-core)
94-
* [퍼시스턴트볼륨클레임](/docs/reference/generated/kubernetes-api/{{< param "version" >}}/#persistentvolumeclaim-v1-core)
95-
* [PersistentVolumeSpec](/docs/reference/generated/kubernetes-api/{{< param "version" >}}/#persistentvolumeclaim-v1-core)의 `persistentVolumeReclaimPolicy` 필드에 대해 보기.
93+
* {{< api-reference page="config-and-storage-resources/persistent-volume-v1" >}}
94+
* Pay attention to the 퍼시스턴트볼륨의 `.spec.persistentVolumeReclaimPolicy` [필드](docs/reference/kubernetes-api/config-and-storage-resources/persistent-volume-v1/#PersistentVolumeSpec)에 주의한다.
95+
* {{< api-reference page="config-and-storage-resources/persistent-volume-claim-v1" >}}

content/ko/docs/tasks/run-application/horizontal-pod-autoscale-walkthrough.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82,8 +82,8 @@ service/php-apache created
8282
다음 명령어는 첫 번째 단계에서 만든 php-apache 디플로이먼트 파드의 개수를
8383
1부터 10 사이로 유지하는 Horizontal Pod Autoscaler를 생성한다.
8484
간단히 얘기하면, HPA는 (디플로이먼트를 통한) 평균 CPU 사용량을 50%로 유지하기 위하여 레플리카의 개수를 늘리고 줄인다.
85-
(kubectl run으로 각 파드는 200 밀리코어까지 요청할 수 있고,
86-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평균 CPU 사용은 100 밀리코어를 말한다).
85+
kubectl run으로 각 파드는 200 밀리코어를 요청하므로,
86+
여기서 말하는 평균 CPU 사용은 100 밀리코어를 말한다.
8787
이에 대한 자세한 알고리즘은 [여기](/ko/docs/tasks/run-application/horizontal-pod-autoscale/#알고리즘-세부-정보)를 참고하기 바란다.
8888

8989
```shell

content/ko/docs/tasks/tools/install-kubectl-linux.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2,8 +12,8 @@ card:
1212

1313
## {{% heading "prerequisites" %}}
1414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 skew latestVersion >}} 클라이언트는 v{{< skew prevMinorVersion >}}, v{{< skew latestVersion >}}, v{{< skew nextMinorVersion >}}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16-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 skew currentVersion >}} 클라이언트는 v{{< skew currentVersionAddMinor -1 >}}, v{{< skew currentVersion >}}, v{{< skew currentVersionAddMinor 1 >}}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16+
호환되는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1717

1818
## 리눅스에 kubectl 설치
1919

content/ko/docs/tasks/tools/install-kubectl-macos.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2,8 +12,8 @@ card:
1212

1313
## {{% heading "prerequisites" %}}
1414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 skew latestVersion >}} 클라이언트는 v{{< skew prevMinorVersion >}}, v{{< skew latestVersion >}}, v{{< skew nextMinorVersion >}}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16-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 skew currentVersion >}} 클라이언트는 v{{< skew currentVersionAddMinor -1 >}}, v{{< skew currentVersion >}}, v{{< skew currentVersionAddMinor 1 >}}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16+
호환되는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1717

1818
## macOS에 kubectl 설치
1919

content/ko/docs/tasks/tools/install-kubectl-windows.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2,8 +12,8 @@ card:
1212

1313
## {{% heading "prerequisites" %}}
1414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 skew latestVersion >}} 클라이언트는 v{{< skew prevMinorVersion >}}, v{{< skew latestVersion >}}, v{{< skew nextMinorVersion >}}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16-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15+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 skew currentVersion >}} 클라이언트는 v{{< skew currentVersionAddMinor -1 >}}, v{{< skew currentVersion >}}, v{{< skew currentVersionAddMinor 1 >}}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16+
호환되는 최신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면 예기치 않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1717

1818
## 윈도우에 kubectl 설치
1919

content/ko/docs/tutorials/stateful-application/zookeeper.md

Lines changed: 7 additions & 1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0,7 +40,6 @@ weight: 40
4040
튜토리얼을 시작하기 전에 수동으로 3개의 20 GiB 볼륨을
4141
프로비저닝해야 한다.
4242

43-
4443
## {{% heading "objectives" %}}
4544

4645
이 튜토리얼을 마치면 다음에 대해 알게 된다.
@@ -50,7 +49,6 @@ weight: 40
5049
- 어떻게 ZooKeeper 서버 디플로이먼트를 앙상블 안에서 퍼뜨리는가.
5150
- 어떻게 PodDisruptionBudget을 이용하여 계획된 점검 기간 동안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하는가.
5251

53-
5452
<!-- lessoncontent -->
5553

5654
### ZooKeeper
@@ -262,13 +260,15 @@ server.3=zk-2.zk-hs.default.svc.cluster.local:2888:3888
262260

263261
### 앙상블 무결성 테스트
264262

265-
가장 기본적인 테스트는 한 ZooKeeper 서버에 데이터를 쓰고 다른 ZooKeeper 서버에서 데이터를 읽는 것이다.
263+
가장 기본적인 테스트는 한 ZooKeeper 서버에 데이터를 쓰고
264+
다른 ZooKeeper 서버에서 데이터를 읽는 것이다.
266265

267266
아래 명령어는 앙상블 내에 `zk-0` 파드에서 `/hello` 경로로 `world`를 쓰는 스크립트인 `zkCli.sh`를 실행한다.
268267

269268
```shell
270-
kubectl exec zk-0 zkCli.sh create /hello world
269+
kubectl exec zk-0 -- zkCli.sh create /hello world
271270
```
271+
272272
```
273273
WATCHER::
274274
@@ -279,7 +279,7 @@ Created /hello
279279
`zk-1` 파드에서 데이터를 읽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이용하자.
280280

281281
```shell
282-
kubectl exec zk-1 zkCli.sh get /hello
282+
kubectl exec zk-1 -- zkCli.sh get /hello
283283
```
284284

285285
`zk-0`에서 생성한 그 데이터는 앙상블 내에 모든 서버에서
@@ -409,7 +409,6 @@ numChildren = 0
409409

410410
`zk` 스테이트풀셋의 `spec``volumeClaimTemplates` 필드는 각 파드에 프로비전될 퍼시스턴트볼륨을 지정한다.
411411

412-
413412
```yaml
414413
volumeClaimTemplates:
415414
- metadata:
@@ -443,7 +442,6 @@ datadir-zk-2 Bound pvc-bee0817e-bcb1-11e6-994f-42010a800002 20Gi R
443442
444443
`스테이트풀셋`의 컨테이너 `template`의 `volumeMounts` 부분이 ZooKeeper 서버의 데이터 디렉터리에 퍼시스턴트볼륨 마운트하는 내용이다.
445444
446-
447445
```shell
448446
volumeMounts:
449447
- name: datadir
@@ -591,6 +589,7 @@ kubectl exec zk-0 -- ps -elf
591589

592590
`securityContext` 오브젝트의 `runAsUser` 필드 값이 1000 이므로
593591
루트 사용자로 실행하는 대신 ZooKeeper 프로세스는 ZooKeeper 사용자로 실행된다.
592+
594593
```
595594
F S UID PID PPID C PRI NI ADDR SZ WCHAN STIME TTY TIME CMD
596595
4 S zookeep+ 1 0 0 80 0 - 1127 - 20:46 ? 00:00:00 sh -c zkGenConfig.sh && zkServer.sh start-foreground
@@ -695,6 +694,7 @@ kubectl exec zk-0 -- ps -ef
695694

696695
컨테이너의 엔트리 포인트로 PID 1 인 명령이 사용되었으며
697696
ZooKeeper 프로세스는 엔트리 포인트의 자식 프로세스로 PID 27 이다.
697+
698698
```
699699
UID PID PPID C STIME TTY TIME CMD
700700
zookeep+ 1 0 0 15:03 ? 00:00:00 sh -c zkGenConfig.sh && zkServer.sh start-foreground
@@ -1033,7 +1033,6 @@ kubectl 을 종료하기 위해 `CTRL-C`를 이용하자.
10331033

10341034
`zk-0`에서 온전성 테스트 때에 입력한 값을 가져오는 `zkCli.sh`를 이용하자.
10351035

1036-
10371036
```shell
10381037
kubectl exec zk-0 zkCli.sh get /hello
10391038
```
@@ -1132,10 +1131,8 @@ drain으로 노드를 통제하고 유지보수를 위해 노드를 오프라인
11321131
서비스는 혼란 예산을 표기한 서비스는 그 예산이 존중은 존중될 것이다.
11331132
파드가 즉각적으로 재스케줄 할 수 있도록 항상 중요 서비스를 위한 추가 용량을 할당해야 한다.
11341133

1135-
11361134
## {{% heading "cleanup" %}}
11371135

1138-
11391136
- `kubectl uncordon`은 클러스터 내에 모든 노드를 통제 해제한다.
11401137
- 반드시 이 튜토리얼에서 사용한 퍼시스턴트 볼륨을 위한 퍼시스턴트 스토리지 미디어를 삭제하자.
11411138
귀하의 환경과 스토리지 구성과 프로비저닝 방법에서 필요한 절차를 따라서

content/ko/releases/notes.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8,6 +8,6 @@ sitemap:
88
priority: 0.5
99
---
1010

11-
릴리스 노트는 사용자의 쿠버네티스 버전에 해당하는 [변경로그(Changelog)](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tree/master/CHANGELOG)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skew latestVersion >}} 의 변경로그는 [깃허브](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blob/master/CHANGELOG/CHANGELOG-{{< skew latestVersion >}}.md)에 있다.
11+
릴리스 노트는 사용자의 쿠버네티스 버전에 해당하는 [변경로그(Changelog)](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tree/master/CHANGELOG)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skew currentVersionAddMinor 0 >}} 의 변경로그는 [깃허브](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blob/master/CHANGELOG/CHANGELOG-{{< skew currentVersionAddMinor 0 >}}.md)에 있다.
1212

13-
대안으로, 릴리스 노트는 [relnotes.k8s.io](https://relnotes.k8s.io)에서 온라인으로 검색 및 필터링이 가능하다. {{< skew latestVersion >}}로 필터링된 릴리스 노트는 [relnotes.k8s.io](https://relnotes.k8s.io/?releaseVersions={{< skew latestVersion >}}.0)에서 확인한다.
13+
대안으로, 릴리스 노트는 [relnotes.k8s.io](https://relnotes.k8s.io)에서 온라인으로 검색 및 필터링이 가능하다. {{< skew currentVersionAddMinor 0 >}}로 필터링된 릴리스 노트는 [relnotes.k8s.io](https://relnotes.k8s.io/?releaseVersions={{< skew currentVersionAddMinor 0 >}}.0)에서 확인한다.

content/ko/training/_index.html

Lines changed: 1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4,6 +14,9 @@
1414
<h2>클라우드 네이티브 커리어를 구축하세요</h2>
1515
<p>쿠버네티스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무브먼트의 핵심입니다. 리눅스 재단이 제공하는 교육과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커리어에 투자하고, 쿠버네티스를 배우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세요.</p>
1616
</div>
17+
<div class="logo-certification cta-image" id="logo-kcnf">
18+
<img src="/images/training/kubernetes-kcnf-white.svg" />
19+
</div>
1720
<div class="logo-certification cta-image" id="logo-cka">
1821
<img src="/images/training/kubernetes-cka-white.svg"/>
1922
</div>
@@ -81,6 +84,15 @@ <h2>리눅스 재단과 함께 배우기</h2>
8184
<div class="main-section padded">
8285
<h2>쿠버네티스 공인 자격 획득하기</h2>
8386
<div class="col-container">
87+
<div class="col-nav">
88+
<h5>
89+
<b>쿠버네티스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문가(Kubernetes and Cloud Native Associate, KCNA)</b>
90+
</h5>
91+
<p>쿠버네티스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문가 시험은 사용자의 쿠버네티스와 더 넓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생태계에 대한 핵심 지식과 기술을 보여줍니다.</p>
92+
<p>인증된 KCNA는 전체적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생태계, 특히 쿠버네티스에 대한 개념적 지식을 확인시켜 줄 것입니다.</p>
93+
<br>
94+
<a href="https://training.linuxfoundation.org/certification/kubernetes-cloud-native-associate/" target="_blank" class="button">Go to Certification</a>
95+
</div>
8496
<div class="col-nav">
8597
<h5>
8698
<b>공인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 개발자(Certified Kubernetes Application Developer, CKAD)</b>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