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기 세팅, 라우터, API 모듈 작업
- 문서 트리 렌더링, 문서 선택, 하위 문서 생성, 문서 삭제
- 문서 로드, 수정 및 자동 저장
- Vanila JavaScript
- HTML5, CSS
- 큰 따옴표 → 기본
- 그 외 → 빽틱
- 소프트 탭(2칸)
- 변수명 → 카멜 케이스 예시) camelCase
- 상수명 → 전부대문자/띄어쓰기는 “_” 예시) UPPER_SNAKE_CASE
- 클래스명 → 첫 글자 대문자 예시) PascalCase
- Git Flow 방식에서 develop과 feature 브랜치를 사용
feature/기능명
방식으로 브랜치를 서로 나누어 작업한다.
구조: type: subject
type
: 어떤 종류의 커밋인지 나타냅니다. (가장 중요!)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feature)fix
: 버그 수정docs
: 문서 수정 (README.md 등)style
: 코드 포맷팅, 세미콜론 누락, 코드 변경이 없는 경우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기능 변경 없이 코드 구조를 개선)chore
: 빌드 업무 수정, 패키지 매니저 설정 등 자잘한 작업
subject
: 커밋 내용을 50자 이내로 요약해서 적습니다.
구조: [Type] subject
- 종류는 커밋 메세지와 동일하지만, 대괄호**[]**를 아용해서 작성합니다. 첫 문자는 대문자로.
type
: 어떤 종류의 PR인지 나타냅니다.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feature)fix
: 버그 수정docs
: 문서 수정 (README.md 등)style
: 코드 포맷팅, 세미콜론 누락, 코드 변경이 없는 경우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기능 변경 없이 코드 구조를 개선)chore
: 빌드 업무 수정, 패키지 매니저 설정 등 자잘한 작업
subject
: PR의 핵심 내용을 30자 이내로 요약해서 적습니다.
- 팀장 이상윤 : 초기 세팅, 사이드바 JS기능 작업
- 팀원 김준영 : 전반적인 HTML+CSS 작업
- 팀원 송주원 : 편집기 JS 기능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