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4
피드백
발표 영상 : https://youtu.be/DIeich4fJ_4?si=j0SdB1q4NHg0RuU7
-
강사님:
단순한 평가 방식이 아니라 AI를 이용해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맞춤형으로 개인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매우 인상적입니다. 짧은 시간 안에 핵심 기능을 완성도 있게 잘 개발해 주셨습니다. 특히 외부 api가 서비스의 핵심인 만큼 api 장애에 대한 처리가 잘 되어 있는 것은 매우 훌륭합니다.
한 가지 궁금한 점은 영상 분석 시 영상의 길이에 따라 처리 시간이 달라질 것 같은데 어느 정도 긴 영상에 대해서 처리 시간이 충분히 빠른 지 테스트가 되었을까요? 한번 분석이 된 영상에 대해서는 캐싱이 적용되어 충분히 빠르겠지만 처음 분석을 시도하면 시간이 꽤 걸릴 것 같은데 이 부분이 딱히 비동기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것 같아 보입니다. 이 부분은 중요한 기능이니 비동기 처리로 사용자 경험을 더 확보할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API를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인 만큼 무분별한 API 호출에 대한 방어가 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비용과 직결되는 부분이다 보니 악의적인 공격이나 무분별한 사용에 대응하는 부분을 우선적으로 도입 및 강화해야 할 것 같습니다. API 사용량 및 API 요금 체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대시보드 도입을 검토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video나 Wordbookr같은 주요 엔터티에 시간 필드가 없는 경우가 있는데 굳이 현재 필요 없어서 오버엔지니어링을 피하기 위해 제외 한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데이터에는 유지보수 측면에서 시간 필드가 있는 것이 좋고 추후 통계 및 분석이나 정렬 등에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저는 생성 날짜 정도는 도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
FT님:
짧은 시간동안 상업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만한 수준의 결과물을 만들어낸 것 같아 너무 수고 많으셨다는 말씀을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다만 결과물 영상 내에서 영상 분석 시간이 40초 이상이 소요된 것으로 나오는데 실제 서비스에서도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린다면 사용자들이 불편하다고 느낄 수 있으니 진행률을 알려주거나 비동기 처리를 하는 등 UX적인 측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일부 문장이 번역되지 않는 부분이 눈에 띄었는데,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위해 이 부분을 잘 보완해야할 것 같습니다. 난이도가 있는 주제이니만큼 어렵겠지만 더 완성도 있게 프로젝트를 완료하면 좋겠습니다. 그래도 건강이 최우선인거 다들 아시죠? 화이팅입니다!
-
BE 멘토님:
-
유즈케이스별 플로우 차트 정리
- 각 유즈케이스의 흐름을 플로우 차트로 정리해 시각화한 점이 아주 인상 깊었습니다.
- 다만, 영상 속에서는 전체 다이어그램이 조금 작게 보이는 경향이 있어 주요 기능(예: 영상 분석 요청 → 결과 확인 흐름 등)에 대해서는 확대하거나 따로 강조해서 보여주면 더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을 것 같아요.
-
영상 분석 프로세스 설명
- 영상 정보 저장부터 이벤트 발생, 기존 분석 결과 확인까지의 흐름을 코드로 잘 설명해주셔서 전체적인 서비스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이 과정에 참여하는 주요 프로세스를 함께 도식화해서 보여주시면, 보는 분들도 구조를 더 쉽게 파악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
- 클라이언트 요청부터 외부 API(GPT, Clova 등)까지의 전체 요청 흐름을 나타내는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특히 외부 연동 포인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실패 상황에 대비한 폴백 처리, 그리고 트래픽이 많아질 경우를 고려한 큐잉, 제한 등 트래픽 제어 전략도 함께 담아주시면 설계의 안정성을 더욱 잘 보여줄 수 있을 거예요.
-
확장성 관점의 아키텍처 제안
- 현재 구조도 훌륭하지만, 발표 때는 “향후 더 많은 트래픽이 유입되면 어떤 이슈가 생길 수 있을지”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적 확장 방안도 함께 제시해주시면 더욱 깊이 있는 발표가 될 것 같습니다.
- 예를 들면 캐시 도입, 비동기 큐 처리, 마이크로서비스 분리 등 다양한 확장 전략을 간단히라도 소개해주시면 좋겠어요.
-
외부 API 연동 및 팀워크
- GPT, YouTube, Clova 등 여러 외부 API를 연동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닌데, 그런 부분을 직접 구현해낸 점이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 문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예외 상황이 많은 경우가 많은데, 그런 부분까지 잘 대응해가며 진행한 점은 팀의 역량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 무엇보다도 중간에 몸이 안 좋은 상황에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프로젝트를 이어간 모습이 정말 대단했어요. 프로젝트도 물론 중요하지만, 컨디션과 건강 관리도 그만큼 중요하다는 점 꼭 기억해주셨으면 합니다. 😊
-
유즈케이스별 플로우 차트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