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nversation

@beekeeper24
Copy link
Collaborator

No description provided.

Copy link

@github-actions github-actions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common/config/websocket/JwtHandshakeInterceptor.kt

🟢 좋은점:

  • Kotlin의 null safety를 잘 활용했습니다. 토큰 추출 시 ?: return false로 안전하게 처리하여 NPE를 방지하고, 조기 반환으로 코드 흐름을 명확히 했습니다.
  • ktlint 규칙을 준수하며 포맷팅이 일관적입니다. 들여쓰기, 공백, 네이밍 컨벤션(예: beforeHandshake, userId)이 적절합니다.
  • WebSocket 특성상 HTTP API 응답이 아니므로 ApiResponse 적용이 불필요하며, 인터셉터의 목적(인증)에 맞게 간결하게 구현되었습니다. SockJS 호환 우회 부분에 주석으로 의도를 명확히 설명한 점이 좋습니다.

🟡 개선사항: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when 표현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현재 if-else 체인(OPTIONS/info 체크, 토큰 유효성 검사)이 있지만, when으로 리팩토링하면 더 읽기 쉽고 확장성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예: when { HttpMethod.OPTIONS == method || uri.path.endsWith("/info") -> true ... }.
  • 토큰 검증 실패나 예외 발생 시(예: JwtUtil 내부 오류) 로깅을 추가하면 디버깅에 유용합니다. SLF4J나 Logger를 주입하여 logger.warn("Invalid token: ${token?.take(10)}")처럼 기록하세요.
  • UriComponentsBuilder.fromUri(request.uri).build().queryParams.getFirst("token")는 동작하지만, 더 간단히 request.uri.query?.split('&')?.find { it.startsWith("token=") }?.substringAfter("token=") 같은 확장 함수를 만들어 Kotlin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불필요한 빌드 오버헤드 있음)
  • afterHandshake가 빈 구현이니, 필요 시 연결 성공 로깅을 추가하거나 제거를 고려하세요. 글로벌 익셉션 처리(@ControllerAdvice)는 WebSocket 컨텍스트에서 직접 적용되지 않지만, JwtUtil 내부 예외를 try-catch로 감싸 표준 에러 핸들링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문제점:

  • import `java.lang

Copy link

@github-actions github-actions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common/config/websocket/WebSocketConfig.kt

🟢 좋은점: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null safety가 잘 지켜짐 (코드에 nullable 타입이나 ? 연산자 사용이 없으며, 안전한 구조). 클래스 구조가 간결하고, WebSocketMessageBrokerConfigurer 인터페이스를 올바르게 구현하여 기본적인 STOMP 설정 (엔드포인트 등록, 브로커 구성)이 적절함.
  • ktlint 규칙 준수: 포맷팅이 일관되며 (들여쓰기, 세미콜론 없음), 네이밍 컨벤션이 표준적 (e.g., registerStompEndpoints 메서드 오버라이드, 변수명 camelCase). 임포트도 불필요한 것 없이 깔끔함.

🟡 개선사항:

  • Kotlin 최적화: 생성자에서 JwtHandshakeInterceptor를 주입받지만 실제 registerStompEndpoints에서 new JwtHandshakeInterceptor()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사용 중. 주입받은 인스턴스를 재사용하도록 수정하면 의존성 주입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음 (e.g., .addInterceptors(jwtHandshakeInterceptor)). 이는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하고 테스트 용이성을 높임.
  • ktlint 규칙: 주석이 영어/한국어 혼용 (e.g., "// JWT 체크", "// 개발 중 호환성")으로 일관성 부족. 모든 주석을 영어로 통일하거나 프로젝트 스타일 가이드에 맞춰 조정 추천. 또한, .setAllowedOrigins("*")는 개발 환경에 적합하지만, 프로덕션 배포 시 특정 도메인으로 제한 (e.g., .setAllowedOrigins("https://yourdomain.com"))하여 보안 강화 고려.
  • 글로벌 익셉션 처리: WebSocket 구성 클래스이므로 @ControllerAdvice가 직접 적용되지 않지만, JwtHandshakeInterceptor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외 (e.g., JWT 검증 실패)를 WebSocket 핸들러나 전역 핸들러로 라우팅하여 표준 에러 응답 (e.g., STOMP ERROR 프레임)으로 처리하는 로직 추가 추천. ApiResponse 규칙은 HTTP API가 아닌 WebSocket이므로 적용되지 않으나, 메시지 응답 시 유사한 표준화 (e.g., 커스텀 메시지 래

Copy link

@github-actions github-actions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common/util/JwtUtil.kt

🟢 좋은점:

  • Kotlin의 null safety를 잘 활용: validateToken 함수에서 token: String? 파라미터를 받고 token != null 체크로 안전하게 처리함. 이는 Kotlin 최적화 규칙(Null Safety)을 준수.
  • 코드가 간단하고 명확하며, object를 사용한 싱글톤 패턴으로 유틸리티 클래스에 적합. ktlint 규칙(포맷팅, 네이밍 컨벤션)을 크게 위반하지 않음 (camelCase 네이밍 준수, 들여쓰기 일관됨).
  • 주석으로 임시 구현임을 명확히 표시하여 유지보수성을 높임.

🟡 개선사항: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when 표현식이나 확장 함수를 도입할 여지가 있지만, 현재 구현이 테스트용으로 간단하므로 필수 아님. 실제 JWT 구현 시 when을 활용해 토큰 유효성 검증 로직을 더 표현력 있게 만들 수 있음 (e.g., 토큰 형식, 만료 시간 등 케이스 분기).
  • getUserIdFromToken 함수가 입력 token을 무시하고 고정값("user123")을 반환하므로, 실제 구현 시 토큰 파싱 로직(예: JWT 라이브러리 사용)을 추가해 입력을 활용하도록 개선. 테스트용이지만, 일관성을 위해 validateToken 결과를 재사용하는 패턴 고려.
  • 주석이 한국어로 되어 있음: 영어로 통일하면 국제화 및 팀 협업에 유리 (e.g., "Temporary implementation for testing purposes").

🔴 문제점:

  • 글로벌 익셉션 처리나 ApiResponse 규칙은 이 유틸리티 파일과 직접 관련 없으나, 이 함수들이 컨트롤러에서 호출될 때 예외(예: null 토큰 처리)가 발생하면 @ControllerAdvice로 처리되지 않을 위험이 있음. 실제 구현 시 토큰 검증 실패 시 표준 예외 던지기(예: IllegalArgumentException) 추가 필수.
  • 보안 취약점: 테스트용 고정 토큰("test-token")과 ID가 하드코딩되어 있어 프로덕션 환경에서 노출 시 위험. 주석

@beekeeper24 beekeeper24 merged commit 5f3f3c9 into main Sep 25, 2025
1 check passed
@beekeeper24 beekeeper24 deleted the beekeeper/1 branch September 25, 2025 07:12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None yet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Successfully merging this pull request may close these issues.

3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