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2
feat(be) : Tour 엔티티 및 Client 기초 설계 #23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Conversation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client/TourApiClient.kt
🟢 좋은점:
- Kotlin의 null safety를 잘 활용하여 JSON 노드 파싱 시
takeIf { it.isTextual }?.asText()패턴으로 안전하게 옵셔널 값을 처리함. 이는 NPE를 방지하고 코드의 안정성을 높임. UriComponentsBuilder를 사용해 쿼리 파라미터를 안전하게 빌드하며,encode()를 호출하여 URL 인코딩 문제를 예방함. 이는 외부 API 호출의 신뢰성을 높이는 좋은 관행.- 의존성 주입(constructor injection)을 통해
RestTemplate,ObjectMapper,@Value를 사용하며, 설정 값을 외부화하여 코드의 유연성을 확보함. - ktlint 규칙 준수: 네이밍 컨벤션(camelCase), 포맷팅(들여쓰기, 줄바꿈)이 일관되며, 불필요한 공백이나 긴 줄이 없음. 함수와 변수 이름이 직관적임.
🟡 개선사항:
- 디버깅을 위한
println문을 SLF4J나 Logback 같은 로깅 프레임워크(예:private val log = LoggerFactory.getLogger(TourApiClient::class.java))로 대체하면 프로덕션 환경에서 더 적합하고, 로그 레벨(DEBUG/INFO)을 조절할 수 있음. 예:log.info("관광 정보 조회 API 호출: $url"). fetchTourInfo에서 첫 번째 아이템만 반환하도록 구현되었으나, API 응답이 리스트 형태이므로List<TourResponse>를 반환하거나, 파라미터에 따라 여러 아이템을 매핑하는 확장성을 고려할 수 있음. 현재는 단일 객체로 제한되어 있지만,when표현식을 사용해 응답 유형(단일 vs. 리스트)에 따라 처리 로직을 분기하면 더 유연해짐.- 예외 처리(
catch (e: Exception))가 광범위함.RestClientException이나JsonProcessingException같은 구체적인 예외를 catch하여 세밀한 에러 핸들링을 추가하면 좋음. 또한, null 반환 대신 커스텀 예외(예:TourApiException)를 던져 호출 측에서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dto/InternalData.kt
🟢 좋은점:
- Kotlin data class를 적절히 사용해 불변성을 보장하고, equals/hashCode/toString 등의 메서드가 자동 생성되어 DTO로서 효율적임 (Kotlin 최적화 준수).
- 기본값(default value)을 활용해 numOfRows, pageNo, contentTypeId에 대해 옵셔널한 동작을 지원하며, 이는 Kotlin의 관용적인 패턴임 (null safety와 기본값 활용으로 안전성 강화).
- ktlint 규칙 준수: camelCase 네이밍 컨벤션 (e.g., numOfRows, contentTypeId), 적절한 들여쓰기와 줄바꿈, trailing comma 사용 (Kotlin 1.4+에서 허용됨).
🟡 개선사항:
- 주석이 한국어로 작성되어 있음. 프로젝트가 국제화되거나 팀원이 다국적일 경우 영어 주석으로 통일하는 게 좋음 (e.g., "// Number of rows per page, defaults to 10 if not provided").
- areaCode와 sigunguCode 필드가 non-null String으로 선언되어 있지만, 주석상 "미 입력시 전체"를 지원한다면 String? (nullable)로 변경하고 기본값 "" 또는 null을 고려해 null safety를 더 강화할 수 있음. 현재는 생성자에서 반드시 값이 필요해 API 호출 시 불편할 수 있음.
- contentTypeId를 "12"로 하드코딩했는데, enum이나 상수로 분리하면 (e.g., companion object에 CONTENT_TYPE_TOUR = "12" 정의) 유지보수성과 Kotlin 최적화(확장성)가 향상될 수 있음.
🔴 문제점:
- pageNo 필드의 주석과 코드가 불일치: 주석은 "미 입력시 10"이라고 되어 있지만, 실제 기본값은 1임. 이는 버그 유발 가능성 있으므로 주석 수정 (e.g., "defaults to 1") 또는 코드 기본값을 10으로 변경해야 함.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dto/TourResponse.kt
🟢 좋은점:
- Kotlin data class를 적절히 사용하며, 불변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equals(), hashCode(), toString() 등이 자동 생성되어 효율적입니다.
- Null safety가 잘 적용되었습니다. API 매뉴얼에 따라 필수 값(contentId, contentTypeId, createdTime, modifiedTime, title)은 NonNull(String)로, 선택적 값(addr1, areaCode 등)은 nullable(String?)로 지정하여 런타임 NullPointerException을 방지합니다.
- 주석이 상세하고, 변경자(9.25 양현준)와 목적(관광 정보 응답 DTO)을 명확히 설명하며, 각 필드의 의미를 API 매뉴얼 기반으로 기술하여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였습니다.
- ktlint 규칙 준수: 포맷팅(들여쓰기, 줄바꿈)이 일관되며, 네이밍 컨벤션(camelCase)이 적절합니다. 마지막 필드의 trailing comma도 Kotlin 스타일 가이드에 맞습니다.
🟡 개선사항:
- 필드 타입 최적화: createdTime과 modifiedTime은 String 대신 LocalDateTime? (또는 Instant?)으로 변환하는 확장 함수나 컨버터를 별도로 도입하면, 클라이언트 측에서 날짜 처리 시 더 안전하고 Kotlin다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외부 API 응답 그대로 String으로 유지된 듯하나, 내부 DTO에서는 파싱 고려 추천)
- 네이밍 일관성: lDongRegnCd, lDongSignguCd의 'l' prefix(법정동을 의미하는 듯)가 약간 모호할 수 있습니다. 주석으로 설명은 좋지만, 더 명확한 네이밍(e.g., legalDongRegionCode)으로 변경하거나, 별도의 enum/class로 코드화하면 확장성 좋음. (외부 API 필드명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면 그대로 두는 게 나을 수 있음)
- 확장 함수 활용: 이 DTO에 toString() 커스터마이징이나 validation 확장 함수(e.g., fun TourResponse.isValid(): Boolean = contentId.isNotBlank())를 추가하면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더 유용할 수 있습니다.
🔴 문제점:
- 없음. 코드가
src/test/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client/TourApiClientTest.kt
Show resolved
Hide resolved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client/TourApiClient.kt
Show resolved
Hide resolved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client/TourApiClient.kt
🟢 좋은점:
- Kotlin의 null safety를 잘 활용하여 JSON 노드 처리 시
takeIf { it.isTextual }?.asText()패턴으로 안전하게 옵셔널 값을 추출함. 이는 null 포인터 예외를 방지하며, Kotlin의 idiomatic한 접근. UriComponentsBuilder를 사용해 쿼리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부분이 깔끔하고, 인코딩까지 처리하여 URI 안전성을 확보함.@Component와 의존성 주입(constructor injection)을 통해 Spring의 DI를 적절히 활용.@Value로 외부 설정값을 주입하는 것도 표준적.- ktlint 규칙 준수: 코드 포맷팅(들여쓰기, 줄 바꿈)이 일관되며, 네이밍 컨벤션(예:
buildUrl,fetchTourInfo)이 camelCase로 적합함. 불필요한 공백이나 긴 줄이 없음.
🟡 개선사항:
- 예외 처리 부분에서
println으로 디버깅 로그를 출력하고 있지만, 프로덕션 환경을 고려해 SLF4J나 Logback 같은 로깅 프레임워크(예:private val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this::class.java))로 대체하는 게 좋음. 현재는 콘솔 출력으로 인해 로그 관리가 어려움. fetchTourInfo메서드가 API 응답의 첫 번째 아이템만 반환하도록 구현되었는데, API가 리스트를 반환하는 구조라면 전체 리스트를 매핑하는 로직(예:itemsNode.map { ... })으로 확장하거나, 의도를 명확히 문서화(주석 추가)하는 게 유용함. 현재는 단일 객체 반환으로 제한적.- 쿼리 파라미터 중
params.sigunguCode등이 null일 수 있는데,UriComponentsBuilder에서 null 값이 쿼리에 포함되지 않도록queryParam호출 전에 null 체크(예:if (params.sigunguCode != null) .queryParam(...))를 추가하면 더 안전함.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JSON 파싱 시
when표현식이나 확장 함수(예: JsonNode 확장으로 `safeAsText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dto/InternalData.kt
🟢 좋은점: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data class를 적절히 사용하며, 기본값(default value)을 통해 optional 파라미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null safety도 잘 지켜져 있으며(모든 필드가 non-null 타입), 불필요한 null 체크가 없어 안전합니다.
- ktlint 규칙 준수: 네이밍 컨벤션(camelCase)이 일관되며, 전체 포맷팅(들여쓰기, 줄바꿈)이 표준적입니다. 주석도 기능 설명을 명확히 제공합니다.
🟡 개선사항:
- Kotlin 최적화: areaCode와 sigunguCode 필드가 "미 입력시 전체 조회"로 설명되어 있지만, 기본값이 없어 생성 시 반드시 값을 제공해야 합니다. 전체 조회를 지원한다면 기본값(예: "" 또는 "0")을 추가하거나, nullable(String?)로 변경해 null safety를 활용하는 것을 고려하세요. 또한, when 표현식이나 확장 함수를 활용한 유틸리티(예: contentTypeId의 유효성 검증)를 추가하면 더 최적화될 수 있습니다.
- ktlint 규칙: 주석이 한국어로 작성되어 있지만, 프로젝트가 국제화되거나 팀 협업을 고려하면 영어 주석으로 통일하는 게 좋습니다. (예: "Parameters for tourism information API call")
🔴 문제점:
- ktlint 규칙 위반(문법 오류): sigunguCode 필드 뒤에 불필요한 쉼표(,)가 있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data class 정의의 마지막 필드 뒤 쉼표를 제거하세요. (예: val sigunguCode: String)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dto/TourResponse.kt
🟢 좋은점: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data class를 적절히 사용하며, API 매뉴얼에 따라 필수 필드(contentId, contentTypeId, createdTime, modifiedTime, title)는 non-null String으로 지정하여 null safety를 잘 준수함. 옵션 필드(addr1, areaCode 등)는 nullable(String?)로 처리하여 안전성 확보.
- ktlint 규칙 준수: 네이밍 컨벤션(camelCase)이 일관되며, 포맷팅(들여쓰기, 줄바꿈)이 깔끔함. 주석이 KDoc 스타일로 상세히 작성되어 가독성 좋음.
- 이전 TODO 주석을 제거하고 실제 API 스펙에 맞는 필드로 확장하여 실용성 향상.
🟡 개선사항:
- Kotlin 최적화: createdTime과 modifiedTime 필드가 String으로 되어 있지만, 날짜/시간 처리라면 LocalDateTime이나 Instant 같은 타입으로 변경하고, 생성자나 확장 함수에서 String 파싱 로직을 추가하는 게 좋음 (e.g., ISO 형식 가정 시). null safety를 더 강화하기 위해 기본값(default value)이나 validation 어노테이션(@notblank 등)을 고려.
- ktlint 규칙: 주석이 한국어로 작성되어 있지만, 영어로 통일하거나 KDoc 태그(@param 등)를 추가하면 더 표준적임. lDongRegnCd, lDongSignguCd 같은 필드 이름은 API 원본에 맞추되, Kotlin 컨벤션에 따라 iDongRegnCd로 변경 고려 (접두사 'l'이 불필요할 수 있음).
🔴 문제점:
- 없음. (DTO 정의만으로 글로벌 익셉션 처리나 ApiResponse 래핑은 컨트롤러 레벨에서 적용되므로 이 파일에서 직접적인 문제 없음. API 사용 시 ApiResponse로 감싸는 걸 확인 필요.)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client/TourApiClient.kt
🟢 좋은점:
- Kotlin의 null safety를 잘 활용하여 JSON 노드 처리 시
takeIf { it.isTextual }?.asText()패턴으로 안전하게 옵셔널 값을 추출함. 이는 null 포인터 예외를 방지하며, Kotlin의 idiomatic한 접근. UriComponentsBuilder를 사용해 URL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부분이 깔끔하고, 인코딩까지 처리하여 URI 안전성을 확보함.@Component와 의존성 주입(constructor injection)을 통해 Spring의 DI를 적절히 활용하며,@Value로 외부 설정 값을 주입하는 점이 좋음.- ktlint 규칙 준수: 코드 포맷팅(들여쓰기, 줄 바꿈)이 일관되며, 네이밍 컨벤션(예:
buildUrl,fetchTourInfo)이 camelCase로 표준적임. 불필요한 import나 중복 코드 없음.
🟡 개선사항:
- 예외 처리 부분에서
println을 사용해 로그를 출력하는데,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SLF4J나 Logback 같은 로깅 프레임워크로 대체하는 게 좋음 (e.g.,private val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this::class.java)추가 후logger.error("관광 정보 조회 오류: ${e.message}", e)). 현재는 단순 출력으로 디버깅에만 유용하지만, 추적성과 성능 측면에서 부족. fetchTourInfo메서드가 API 응답의 첫 번째 아이템만 반환하도록 구현되었는데, API가 리스트를 반환하는 구조라면 전체 리스트를 매핑하는List<TourResponse>로 확장하거나, 의도를 명확히 문서화(주석 추가)하는 게 유용함. 현재는 단일 객체 반환으로 제한적.- 쿼리 파라미터 중 하드코딩된 값들(MobileOS="WEB", MobileApp="KoreaTravelGuide", _type="json" 등)을
@Value나 상수로 추출하여 구성 가능성을 높임. 예:companion object에 const val로 정의. InternalDataparams의 유효성 검증(예: numOfRows > 0, areaCode not null)을 메서드 시작 부분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dto/InternalData.kt
🟢 좋은점: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data class를 적절히 사용하며, 기본값(default value)을 설정하여 API 호출 시 생략 가능한 파라미터를 잘 지원함. null safety를 위해 String? 타입을 사용한 점이 적합함.
- ktlint 규칙 준수: 코드 포맷팅(들여쓰기, 줄바꿈)이 일관되며, 네이밍 컨벤션(camelCase)이 잘 지켜짐. 주석도 간결하게 작성되어 가독성을 높임.
🟡 개선사항:
- Kotlin 최적화: contentTypeId, areaCode, sigunguCode의 기본값을 ""(빈 문자열) 대신 null로 변경하는 것을 고려. 빈 문자열은 유효한 입력으로 해석될 수 있어 null safety를 더 명확히 할 수 있음. 만약 빈 문자열이 의도된 기본값이라면, KDoc 주석에 이를 명시적으로 설명 추가.
- 주석 개선: 현재 블록 주석으로 작성되었으나, KDoc 형식(@param 등)으로 변경하면 IDE 지원(호버 시 설명 표시)이 강화됨. 예: 각 필드 위에 @param 추가.
- ktlint: 불필요한 공백 줄(예: 패키지 선언 후 빈 줄)이 많지 않으나, ktlint on-the-fly 포맷팅을 적용해 더 세밀하게 다듬을 수 있음.
🔴 문제점:
- 없음. (이 DTO는 예외 처리나 API 응답 래퍼와 직접 관련이 없어 해당 규칙은 적용되지 않음. 코드 자체에 치명적 오류 없음.)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dto/TourResponse.kt
🟢 좋은점:
- Kotlin data class를 적절히 사용하며, equals(), hashCode(), toString() 등의 자동 생성으로 DTO로서의 효율성을 높임. 이는 Kotlin 최적화 규칙을 잘 따름.
- null safety를 철저히 적용: API 매뉴얼에 따라 필수 값(contentId, contentTypeId 등)은 NonNull(String)로, 선택적 값(addr1, firstimage 등)은 String?으로 지정하여 NullPointerException 방지.
- ktlint 규칙 준수: camelCase 네이밍 컨벤션(예: contentId, modifiedTime)을 따르고, 코드 포맷팅(들여쓰기, 줄 바꿈)이 일관됨. Javadoc 스타일 주석으로 문서화가 잘 되어 있음.
🟡 개선사항:
- createdTime과 modifiedTime 필드가 String으로 되어 있지만, 날짜/시간 형식이라면 LocalDateTime이나 Instant 같은 Kotlin/JDK 타입으로 변환하는 확장 함수나 매퍼를 추가로 고려. (현재 API 소스에서 String으로 오는 경우라면 그대로 유지하되, 소비자 측에서 파싱 부담 줄이기 위해.)
- 각 필드에 개별 Javadoc 주석(@param)을 추가하면 더 나은 문서화가 될 수 있음. 현재는 클래스 레벨 주석만 있으므로, API 문서 생성 시 유용.
- 네이밍 일관성 강화: lDongRegnCd와 lDongSignguCd의 'l' prefix(아마 'legal' 의미?)가 다른 필드(contentId 등)와 다름. API 매뉴얼에 맞춰 sigunguCode처럼 표준화하거나, 주석에서 명확히 설명.
🔴 문제점:
Tour Dto
Tour Client
그리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close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