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nversation

@Mrbaeksang
Copy link
Collaborator

No description provided.

Copy link

@github-actions github-actions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build.gradle.kts

🟢 좋은점:

  • Kotlin DSL을 활용한 build.gradle.kts로, 플러그인 설정(ktlint, buildconfig)이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됨. 특히 useKotlinOutput()을 통해 생성된 BuildConfig.kt가 Kotlin 코드로 최적화되어 null safety와 같은 Kotlin 이점을 누릴 수 있음.
  • ktlint 필터에 exclude("**/BuildConfig.kt")를 추가하여 생성된 파일이 린팅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처리한 점이 좋음. 이는 ktlint 규칙(포맷팅, 네이밍 컨벤션)을 준수하면서도 빌드 아티팩트의 안정성을 높임.
  • YAML 파일에서 상수를 추출해 BuildConfig로 컴파일 타임 상수화하는 접근이 효율적임. 런타임에서 문자열 파싱을 피할 수 있어 성능 최적화(Kotlin 최적화 측면)에 부합함.

🟡 개선사항:

  • YAML 파싱이 substringAfter/substringBefore 같은 문자열 조작으로 구현되어 있어, YAML 형식 변경 시 취약함. Kotlin의 when 표현식이나 확장 함수를 활용해 더 안전한 파싱 로직(예: 간단한 YAML 라이브러리 추가 고려)을 도입하면 좋음. 예를 들어, file().readText().lines()를 when으로 분기 처리해 에지 케이스(빈 파일, 잘못된 형식) 대응.
  • 네이밍 컨벤션(ktlint 규칙 준수): regionCodes, promptsText 등의 변수명은 camelCase로 일관되지만, buildConfigField의 필드명(REGION_CODES_DESCRIPTION 등)은 UPPER_SNAKE_CASE로 상수 스타일이 적절함. 다만, 더 구체적인 설명(예: "REGION_CODES_DESCRIPTION" 대신 "REGION_CODES_LIST")으로 명확히 하면 유지보수성 향상.
  • 파일 경로가 하드코딩되어 있음. Gradle의 project.file()나 확장 함수로 추상화하면 재사용성 높아짐. 또한, Kotlin null safety를 더 활용해 file().takeIf { it.exists() }?.readText() ?: ""처럼 기본값 처리 추천.

🔴 문제점:

Copy link

@github-actions github-actions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common/constant/PromptConstant.kt

🟢 좋은점:

  • 파일 삭제로 인해 불필요한 상수 파일이 정리되어 코드베이스가 간결해짐. 원래 코드가 Kotlin의 object와 const val을 적절히 사용해 최적화된 구조였으나,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면 이는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긍정적 변경.

🟡 개선사항:

  • 삭제된 상수(KOREA_TRAVEL_GUIDE_SYSTEM, AI_ERROR_FALLBACK)가 다른 모듈(예: AI 프롬프트 생성 로직이나 에러 핸들링)에서 참조 중이라면, 해당 부분을 하드코딩하거나 다른 상수 파일로 대체하는 등의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추가로 검토하세요.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만약 이 상수들이 여전히 필요하다면 data class나 sealed class로 재구성해 null safety를 강화할 수 있음.

🔴 문제점:

  • 글로벌 익셉션 처리와 관련해 AI_ERROR_FALLBACK 상수가 표준 에러 응답의 일부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삭제로 인해 @ControllerAdvice나 에러 핸들링 로직이 깨질 수 있으니, 해당 상수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대체 응답을 구현해야 함. 또한, ktlint 규칙 준수 여부는 삭제로 인해 더 이상 적용되지 않으나, 프로젝트 전체 네이밍 컨벤션(예: 상수 네이밍)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삭제 이유와 영향 범위를 명확히 문서화하세요.

Copy link

@github-actions github-actions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aiChat/service/AiChatService.kt

🟢 좋은점:

  • Kotlin의 null safety를 잘 활용하여 .content() ?: BuildConfig.AI_ERROR_FALLBACK 형태로 null-safe한 fallback 처리 구현. 이는 예외 상황에서 안정적인 응답을 보장하며, Kotlin의 idiomatic한 패턴을 따름.
  • 상수 값을 PromptConstant에서 BuildConfig로 이동시켜 환경별(예: dev/prod) 설정을 용이하게 함. 이는 하드코딩을 피하고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긍정적.

🟡 개선사항:

  • try-catch 블록에서 Exception을 catch하는 대신, AI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예: OpenAI나 LangChain)의 구체적인 예외 타입(예: ApiException 또는 ChatException)을 타겟팅하면 더 세밀한 에러 핸들링이 가능. 현재는 모든 예외를 동일한 fallback으로 처리하므로, 로그나 디버깅 시 구분이 어려울 수 있음.
  • BuildConfig 사용은 Android/KMM 프로젝트에 적합하지만, 순수 Spring Boot 백엔드라면 application.yml이나 @Value 어노테이션으로 properties 파일에서 로드하는 게 더 표준적일 수 있음. BuildConfig가 런타임에 제대로 초기화되는지 확인 필요.

🔴 문제점:

  • 글로벌 익셉션 처리 규칙(@ControllerAdvice 사용)에 위배될 수 있음. Service 레이어에서 발생한 예외(try-catch로 잡힌 부분)가 Controller로 전파되지 않고 내부적으로 fallback으로 처리되므로, 표준 에러 응답(예: HTTP 500 + 에러 메시지)이 일관되게 적용되지 않을 위험이 있음. ControllerAdvice에서 이 예외를 재처리하거나, Service 예외를 커스텀 예외로 래핑하여 throw하는 방식으로 수정해야 함.

@Mrbaeksang Mrbaeksang merged commit 88a7c15 into main Sep 30, 2025
1 check passed
@Mrbaeksang Mrbaeksang deleted the feat/be/60 branch September 30, 2025 05:34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None yet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Successfully merging this pull request may close these issues.

3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