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2
feat(be): URL 빌더 구현 및 테스트 컨트롤러 추가 (#61) #64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Conversation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weather/client/WeatherApiClient.kt
🟢 좋은점: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null safety가 잘 적용되어 있습니다. 함수 반환 타입이
String?,TemperatureData?,LandForecastData?로 nullable하게 정의되어 있고, try-catch 블록에서 예외 발생 시 null을 반환하는 패턴이 일관되게 유지되어 안전한 코드 흐름을 보장합니다. - ktlint 규칙 준수: 코드 포맷팅이 깔끔하며, 네이밍 컨벤션이 camelCase로 일관되게 적용되어 있습니다 (e.g.,
fetchMidForecast,buildMidFcstUrl). 불필요한 공백이나 들여쓰기 이슈가 없어 보입니다. - 변경사항으로 UrlBuilder를 도입하여 API 키와 base URL을 하드코딩하지 않고 외부 빌더로 분리한 점이 모듈화와 테스트 용이성을 높여 Kotlin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잘 활용한 예입니다.
🟡 개선사항:
- Kotlin 최적화: 현재 try-catch 블록에서
@Suppress("UNCHECKED_CAST")를 사용하고 있지만,RestTemplate의getForObject결과를 더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when표현식이나 sealed class를 활용한 결과 타입 검증을 추가하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파싱 실패 시 커스텀 예외를 던지거나, 확장 함수로 JSON 파싱 로직을 추출하여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글로벌 익셉션 처리: 이 클라이언트 클래스에서
RestTemplate호출 시 발생할 수 있는RestClientException등의 예외가 상위 레이어(컨트롤러)로 전파될 수 있으므로, 로그 import(log)를 활용해 예외 발생 시 로깅을 추가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ControllerAdvice는 컨트롤러 레이어에서 적용되겠지만, 여기서 기본적인 예외 핸들링(예:catch (e: Exception) { log.error(...); return null })을 강화하면 전체적인 에러 흐름이 안정적입니다. - ApiResponse 사용: 이 코드는 내부 클라이언트이므로 직접 ApiResponse를 감쌀 필요는 없지만, 상위 서비스/컨트롤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weather/client/builder/UrlBuilder.kt
🟢 좋은점: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expression body(
=)를 사용해 함수를 간결하게 구현했으며, null safety가 자연스럽게 적용되어 타입 안전성(모든 파라미터가 non-null String)이 보장됨. UriComponentsBuilder를 활용해 URL 빌드 과정에서 쿼리 파라미터 인코딩이 자동 처리되어 안전함. - ktlint 규칙 준수: 포맷팅(들여쓰기, 줄바꿈)이 일관되며, 네이밍 컨벤션(클래스명 UrlBuilder, 함수명 buildMidFcstUrl 등)이 camelCase로 적절함. 임포트와 패키지 선언도 깔끔함.
- @component와 @value를 사용해 스프링 의존성 주입이 명확하며, 외부 API 키와 베이스 URL을 프로퍼티로 분리해 보안과 유지보수성을 높임.
🟡 개선사항:
- Kotlin 최적화: 세 함수(buildMidFcstUrl, buildMidTaUrl, buildMidLandFcstUrl)가 쿼리 파라미터 구조가 거의 동일해 중복 코드가 발생함. 공통 private 함수(예:
private fun buildCommonUrl(endpoint: String, specificParams: Map<String, String>): String)로 리팩토링하거나, when 표현식을 사용해 endpoint에 따라 동적으로 빌드하는 확장 함수를 고려하면 더 유연하고 DRY(Don't Repeat Yourself) 원칙을 따를 수 있음. - ktlint 규칙: 하드코딩된 쿼리 파라미터 값(pageNo=1, numOfRows=10, dataType="JSON")을 클래스 상수(예: companion object 내 const val)로 추출하면 가독성과 재사용성이 높아짐. API 스펙 변경 시 한 곳에서 수정 가능.
- 네이밍: 파라미터명(stnId, regId, tmFc)이 API 문서에 맞지만, 내부적으로 더 설명적인 이름(예: stationId, regionId, forecastTime)으로 변경하면 코드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음. (ktlint의 네이밍 컨벤션 위반은 아니지만, 최적화 관점에서 제안)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weather/config/RegionCodeProperties.kt
🟢 좋은점: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원본 코드가 data class를 사용하고 null safety(
?:연산자)를 적절히 적용하여 기본값을 처리한 점이 좋았으나, 삭제로 인해 불필요한 코드가 제거되어 전체 프로젝트의 클린업에 기여할 수 있음. (이 기능이 더 이상 필요 없거나 다른 곳으로 마이그레이션된 경우 적절한 결정)
🟡 개선사항:
- 삭제 이유를 커밋 메시지나 관련 이슈/문서에 명확히 기록하는 것이 좋음. 예를 들어, 이 RegionCodeProperties가 다른 구성(예: 하드코딩이나 외부 API)으로 대체되었다면, 그 부분을 확인하고 테스트 케이스를 업데이트하여 기능 연속성을 보장.
- ktlint 규칙 준수 여부는 원본 코드에서 포맷팅과 네이밍(예:
getCodeByLocation)이 표준적이었으나, 삭제 후 관련 사용하는 코드(예: weather 서비스)에서 이 메서드 호출을 제거/대체했는지 검토 필요.
🔴 문제점:
- 만약 이 파일의 기능(지역 코드 매핑)이 여전히 weather API나 관련 로직에서 사용된다면, 삭제로 인해 런타임 에러(예: NullPointerException 또는 기본값 "11B10101" 의존)가 발생할 수 있음. 글로벌 익셉션 처리(@ControllerAdvice)가 적용되어도, 이 config가 제거되면 API 응답(ApiResponse)에서 예상치 못한 에러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삭제 전에 해당 기능의 대체 로직을 반드시 구현하고 단위 테스트로 검증해야 함.
|
확인했습니다! |
변경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