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nversation

@YangHJ2415
Copy link
Collaborator

@YangHJ2415 YangHJ2415 commented Sep 30, 2025

close #49

커밋 내용이 많은데,
30일 오후에 설명해드린 내용이 전부입니다.

Copy link

@github-actions github-actions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build.gradle.kts

🟢 좋은점:

  • Kotlin DSL의 표준 기능을 잘 활용하여 파일 읽기와 문자열 처리(예: readText(), substringAfter(), lines(), filter(), joinToString())를 간결하게 구현했습니다. 이는 Kotlin의 컬렉션 처리 최적화(when 표현식은 아니지만, 함수형 스타일)를 잘 따르고 있으며, null safety 측면에서 substringAfter()split()이 기본적으로 안전하게 동작합니다.
  • 기존 regionCodes 처리와 일관된 패턴을 유지하여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였습니다. 네이밍 컨벤션(예: areaCodes, contentTypeCodes)이 camelCase로 ktlint 규칙을 준수합니다.
  • ktlint 포맷팅이 잘 적용되어 보입니다: 들여쓰기, 줄 바꿈, 중괄호 사용이 일관적입니다.

🟡 개선사항:

  • YAML 파일 구조에 강하게 의존하는 문자열 파싱(substringAfter("codes:"), split(":"))을 사용 중입니다. 더 robust하게 하려면 Kotlin의 YAML 라이브러리(예: kotlinx.serialization의 YAML 지원)나 간단한 파서(예: yaml 플러그인 추가)를 도입하여 구조화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고려하세요. 이는 파일 형식 변경 시 안정성을 높입니다.
  • 파일 읽기 시 예외(파일 없음, 읽기 실패 등)를 처리하지 않았습니다. try-catchFile().takeIf { it.exists() } 같은 null-safe 체크를 추가하면 빌드 안정성이 향상됩니다.
  • buildConfigField의 멀티라인 문자열(\"\"\"$areaCodes\"\"\")에서 내용에 특수 문자(예: 백슬래시)가 포함될 수 있으니, 이스케이프를 더 세밀하게 검토하거나 raw 문자열 처리 방식을 최적화하세요. 또한, 상수 이름(AREA_CODES_DESCRIPTION)을 더 구체적으로(예: AREA_CODES_LIST) 명명하면 의도를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 문제점:

  • split(":")parts[0]parts[1]에 직접 접근하는데, YAML 라인이 예상치 못한 형식(예: 여러 콜

Copy link

@github-actions github-actions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aiChat/tool/TourToolExample.kt

🟢 좋은점:

  • Kotlin의 null safety를 잘 활용하여 toString() ?: "..." 형태로 null 체크를 수행하고 기본 응답을 제공함. 이는 예외적인 경우에 대한 안전한 처리를 보여줌.
  • @Tool@ToolParam 어노테이션을 적절히 사용해 AI 도구의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정의함. description 필드가 상세히 작성되어 도구의 목적(지역/위치/상세 기반 관광 정보 조회)을 잘 전달함.
  • 의존성 주입(DI)을 통해 TourService를 주입받아 서비스 로직을 분리함. 이는 SOLID 원칙(의존성 역전)을 준수하는 부분.

🟡 개선사항: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when 표현식이나 확장 함수를 활용할 여지가 있음. 예를 들어, tourService.parseParams() 결과를 처리할 때 when으로 contentTypeId에 따라 다른 로직을 분기하거나, String 파싱을 확장 함수로 추출하면 코드가 더 간결해질 수 있음. 현재는 기본적인 함수 호출로 충분하지만, 확장성을 고려한 리팩토링 추천.
  • ktlint 규칙 준수: 포맷팅은 대체로 좋으나, 주석이 한국어와 영어로 섞여 있음(예: "fetchTours - 지역기반 관광정보 조회"). 일관된 언어(영어 우선)로 통일하면 가독성이 높아짐. 네이밍 컨벤션은 camelCase를 따르지만, 메서드 이름이 get으로 중복되어 혼란스러움(아래 문제점 참조) – 더 구체적인 이름(예: getLocationBasedTours)으로 개선 추천.
  • BuildConfig 사용: description에 BuildConfig.CONTENT_TYPE_CODES_DESCRIPTION 등을 참조하지만, Spring Boot 환경에서 BuildConfig는 Android 빌드 도구에서 주로 사용됨. 만약 Gradle 플러그인으로 생성된 상수라면 괜찮으나, 상수 파일(예: Constants.kt)로 분리해 하드코딩 의존성을 줄이는 게 더 나음.
  • @ToolParamrequired = true와 default 값(예: `mapX

Copy link

@github-actions github-actions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client/TourApiClient.kt

🟢 좋은점: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null safety를 잘 활용했습니다. JsonNode의 path() 결과를 takeIf { it.isTextual }?.asText()로 안전하게 처리하여 NPE를 방지하고, runCatching으로 예외를 Result로 감싸서 graceful하게 처리하는 점이 우수합니다. when 표현식은 사용되지 않았으나, map()과 let() 등의 함수형 스타일을 적절히 적용했습니다.
  • 코드 중복을 제거하기 위해 extractItemNodes()라는 공통 헬퍼 함수를 도입하여 parseItems()와 parseDetailItems()를 간결하게 리팩토링한 점이 좋습니다. 이는 유지보수성을 높입니다.
  • ktlint 규칙 준수: 네이밍 컨벤션(예: camelCase 함수명, 파라미터명)이 일관되며, 포맷팅(들여쓰기, 줄바꿈)이 깔끔합니다. 불필요한 주석을 제거하고 코드 자체로 의도를 표현한 점도 적절합니다.
  • 데이터 클래스 활용: TourItem, TourDetailItem 등의 DTO가 data class로 가정되며(임포트된 dto 패키지 기반), 확장함수 없이도 간결한 구조를 유지합니다.

🟡 개선사항:

  • 글로벌 익셉션 처리: 이 클래스는 @component로 API 클라이언트이므로 @ControllerAdvice가 직접 적용되지 않지만, runCatching.onFailure { log.error(...) }로 내부 예외를 로깅하는 것은 좋습니다. 다만, 컨트롤러에서 이 클라이언트를 호출할 때 표준 에러 응답(예: HttpStatus.BAD_GATEWAY)을 위해 커스텀 예외(예: TourApiException)를 던지도록 개선하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현재는 실패 시 빈 응답을 반환하므로, 호출 측에서 이를 처리해야 합니다.
  • ApiResponse 사용: 이 코드는 클라이언트로 TourResponse나 TourDetailResponse를 직접 반환하므로 ApiResponse 래퍼가 여기서 적용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컨트롤러에서 이 응답을 ApiResponse로 감쌀 것을 가정하고, 클라이언트 응답에 에러 필드(예: resultCode)를 추가로 포함하면(현재

@YangHJ2415 YangHJ2415 merged commit e3f713c into main Sep 30, 2025
1 check passed
@YangHJ2415 YangHJ2415 deleted the feat/be/49 branch October 1, 2025 01:07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None yet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Successfully merging this pull request may close these issues.

Tour 도메인 완성, yaml 파일 생성

3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