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ocs: fixprerenderToNode.md #1264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Merged
Merged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56,7 +56,7 @@ app.use('/', async (request, response) => {
* **optional** `bootstrapModules`: `bootstrapScripts`와 같지만, [`<script type="module">`](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Guide/Modules)을 출력합니다.
* **optional** `identifierPrefix`: [`useId`](/reference/react/useId)로 생성된 ID에 React가 사용하는 문자열 접두사입니다. 한 페이지에서 여러 개의 루트를 사용할 때 충돌을 피하는 데 유용합니다. [`hydrateRoot`](/reference/react-dom/client/hydrateRoot#parameters)에 전달한 접두사와 동일해야 합니다.
* **optional** `namespaceURI`: 스트림의 루트 [namespace URI](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Document/createElementNS#important_namespace_uris)를 담은 문자열입니다. 기본값은 일반 HTML입니다. SVG의 경우 `'http://www.w3.org/2000/svg'`, MathML의 경우 `'http://www.w3.org/1998/Math/MathML'`을 전달하세요.
* **optional** `onError`: 서버 오류가 발생할 때마다, [복구 가능](/reference/react-dom/server/renderToPipeableStream#recovering-from-errors-outside-the-shell) [불가능](/reference/react-dom/server/renderToPipeableStream#recovering-from-errors-inside-the-shell) 여부와 관계없이 호출되는 콜백입니다. 기본적으로 `console.error`만 호출합니다. [충돌 보고를 기록](/reference/react-dom/server/renderToPipeableStream#logging-crashes-on-the-server)하도록 재정의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console.error`를 호출해야합니다. 셸이 출력되기 전에 [상태 코드를 설정](/reference/react-dom/server/renderToPipeableStream#setting-the-status-code)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optional** `onError`: 서버 오류가 발생할 때마다, [복구 가능](/reference/react-dom/server/renderToPipeableStream#recovering-from-errors-outside-the-shell) [불가능](/reference/react-dom/server/renderToPipeableStream#recovering-from-errors-inside-the-shell) 여부와 관계없이 호출되는 콜백입니다. 기본적으로 `console.error`만 호출합니다. [충돌 보고를 기록](/reference/react-dom/server/renderToPipeableStream#logging-crashes-on-the-server)하도록 재정의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console.error`를 호출해야 합니다. 셸이 출력되기 전에 [상태 코드를 설정](/reference/react-dom/server/renderToPipeableStream#setting-the-status-code)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optional** `progressiveChunkSize`: 청크의 바이트 수입니다. [기본 휴리스틱에 대해 더 읽어보세요.](https://github.com/facebook/react/blob/14c2be8dac2d5482fda8a0906a31d239df8551fc/packages/react-server/src/ReactFizzServer.js#L210-L225)
* **optional** `signal`: [프리렌더링을 중단하고](#aborting-prerendering) 나머지를 클라이언트에서 렌더링할 수 있게 하는 [중단 신호](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AbortSignal)입니다.

Expand Down Expand Up @@ -289,7 +289,7 @@ Suspense는 Effect나 이벤트 핸들러 내부에서 데이터가 패칭될

---

### 사전 렌더링 중단하 {/*aborting-prerendering*/}
### 사전 렌더링 중단하기 {/*aborting-prerendering*/}

타임아웃 이후 사전 렌더링을 "포기"하도록 강제할 수 있습니다.

Expand Down